아르테미시아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테미시아 1세는 할리카르나소스의 사트라프인 리그다미스 1세의 딸이자 카리아의 여왕으로, 남편 사후 왕위를 계승했다. 그녀는 페르시아 전쟁에 참전하여 살라미스 해전에서 페르시아 함대를 이끌었으며, 헤로도토스는 그녀를 유일한 여성 지휘관으로 묘사했다. 아르테미시아는 크세르크세스 1세에게 해전을 피하고 소아시아로 후퇴할 것을 조언했지만, 다른 사령관들의 의견에 따라 살라미스 해전에 참여했다. 전투 중 그녀의 용맹함과 지략은 크세르크세스의 칭찬을 받았으며, 훗날 역사가들은 그녀의 결단력과 지성을 높이 평가했다. 아르테미시아는 다양한 문헌과 대중문화 작품에 등장하며, 영화 《300: 제국의 부활》에서 에바 그린이 연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제독 - 그레이스 호퍼
그레이스 호퍼는 미국의 컴퓨터 과학자이자 해군 제독으로, 세계 최초의 컴파일러인 A-0을 개발하고 COBOL 개발에 기여하며 컴퓨터 시스템 표준화에 크게 기여했다. - 고대 할리카르낫소스인 - 헤로도토스
헤로도토스는 기원전 5세기 소아시아 출신으로, 페르시아 전쟁을 중심으로 그리스 및 주변 지역의 역사, 문화, 풍습을 다룬 서양 최초의 역사서인 『역사』를 저술하여 '역사의 아버지'라 불리는 고대 그리스 역사가이자 지리학자이다. - 기원전 5세기 사람 - 무마시
무마시는 공자와 관련된 일화를 통해 그의 삶과 정치 철학을 엿볼 수 있는 인물로, 공자와의 여행, 복자천의 다스림에 대한 질문 등을 통해 덕치와 백성을 위한 정치 방식을 고찰하고 자신의 정치 방식을 돌아보았다.
아르테미시아 1세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할리카르나소스, 코스, 니시로스, 칼림노스의 여왕 |
출생지 | 할리카르나소스(오늘날의 보드룸, 튀르키예) |
왕조 | 리다미드 |
종교 | 그리스 다신교 |
가계 | |
아버지 | 리다미스 1세 |
자녀 | 피신델리스 (아들) 리다미스 2세 (손자) |
기타 | |
후임 | 피신델리스 |
2. 가계 및 초기 생애
아르테미시아의 아버지는 할리카르나소스의 사트라프인 리그다미스 1세(Λύγδαμις Αgrc)였고,[61] 어머니는 크레타섬 출신이다.[60] 남편이 죽은 뒤 왕위를 계승했으며, 당시 피신델리스(Πισίνδηλιςgrc)라는 어린 아들이 있었다.[62]
아르테미시아 1세는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기간에 페르시아의 동맹으로 참전했으며, 아르테미시온 해전과 살라미스 해전에서 페르시아 함대의 지휘관으로 활약했다.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그녀는 페르시아 군에서 유일한 여성 지휘관이었다.[60]
아르테미시아의 손자인 리그다미스 2세는 헤로도토스가 그에게 반란을 일으키다 실패하여 추방당했을 때의 군주였다.[62]
3. 페르시아 전쟁 참전
헤로도토스는 그녀의 참전에 대해 "남편이 죽고 어린 아들이 있었지만, 용감한 열정으로 군대를 따랐다"라고 묘사하며, 그녀가 할리카르나소스, 코스, 니시로스, 칼린다( Κάλυνδοςel )의 군대를 이끌고 함선 5척을 제공했다고 기록했다. 또한 그녀의 함선은 시돈 함선 다음으로 좋은 평판을 얻었으며, 모든 동맹국 중에서 크세르크세스에게 최고의 조언을 했다고 한다.[21]
3. 1. 살라미스 해전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살라미스 해전에서 페르시아 함대가 패배할 위기에 처하자, 아테네 함선이 아르테미시아의 배를 추격했다. 아르테미시아는 탈출하기 위해 아군 함선, 즉 칼린도스 왕 다마시티모스(Δαμασίθυμος)가 타고 있던 배를 향해 돌진하여 침몰시켰다.[22] 헤로도토스는 아르테미시아와 다마시티모스 사이에 헬레스폰토스에서 불화가 있었을 가능성을 제시했지만 확신하지는 못했다.[23]
폴리아에누스는 아르테미시아가 그리스 함선에 의해 추격당하자 페르시아 깃발을 내리고 아군 함선을 공격하도록 명령했다고 기록했다.[24][25] 아테네 함선의 선장 아메이니아스(Ameinias of Athens)는 아르테미시아가 아군 함선을 공격하는 것을 보고, 그녀의 배가 그리스 편이라고 오인하여 추격을 멈추고 다른 함선을 쫓아갔다.[27][28]
헤로도토스는 아테네 함장들이 아르테미시아를 생포하는 사람에게 1만 드라크마의 상금을 걸었을 정도로 그녀를 잡고 싶어 했다고 전한다. 이는 아테네인들이 여자가 자신들을 상대로 원정에 나선 것을 용납할 수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29] 폴리아에누스는 아르테미시아가 상황에 따라 페르시아 깃발과 그리스 깃발을 바꿔 달아 위기를 모면했다고 덧붙였다.[30]
크세르크세스는 아이갈레오 산 기슭에서 전투를 지켜보면서 아르테미시아가 아군 함선을 침몰시키는 것을 보고, 그녀가 적 함선을 격침시킨 것으로 착각했다. 그는 "내 부하들은 여자들이 되었고, 내 여자들은 남자들이 되었구나"라고 감탄했다.[31] 칼린도스 함선의 선원들은 모두 사망하여 아르테미시아의 행동을 고발할 수 없었다.[31] 폴리아에누스에 따르면, 크세르크세스는 "오 제우스, 너는 분명히 남자의 재료로 여자를 만들었고, 여자의 재료로 남자를 만들었구나."라고 말했다고 한다.[32]
플루타르크는 《영웅전》에서 아르테미시아가 크세르크세스 1세의 형제이자 페르시아 해군 제독인 아리아메네스(Ἀριαμένης)의 시신을 발견하여 크세르크세스에게 가져다주었다고 기록했다.[34]
3. 1. 1. 전투 이전
살라미스 해전 전에 크세르크세스는 모든 해군 사령관을 불러 모아 마르도니오스를 보내 해전을 벌일지 여부를 물었다.[13] 아르테미시아를 제외한 모든 사령관은 해전을 벌여야 한다고 조언했다.[14]
헤로도토스의 기록에 따르면, 그녀는 마르도니오스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왕에게 그의 배를 아끼고 해전을 벌이지 말라고 전하십시오. 우리의 적들은 바다에서 우리보다 훨씬 강합니다. 마치 남자가 여자보다 강한 것처럼요. 그리고 왜 해전을 감수해야 합니까? 그가 이 원정을 시작한 아테네는 그의 것이고 나머지 그리스도 그의 것입니다. 그 누구도 그에게 맞설 수 없으며, 한때 저항했던 자들은 파멸되었습니다.[15]
> 만약 크세르크세스가 해전에 서두르지 않고 대신 그의 배를 해안 가까이에 유지하고 그곳에 머물거나 펠로폰네소스로 이동한다면 승리는 그의 것입니다. 그리스인들은 그에게 오래 버틸 수 없을 것입니다. 그들은 자신들의 도시로 떠날 것입니다. 왜냐하면, 내가 알기로는, 이 섬에는 식량이 비축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우리 군대가 펠로폰네소스를 향해 진군할 때, 거기에서 온 사람들은 걱정하게 될 것이고, 아테네를 방어하기 위해 여기에 남아 싸우지 않을 것입니다.[16]
> 하지만 그가 서둘러 교전한다면, 저는 해군이 패배하고 육군 역시 약화될까 두렵습니다. 게다가 그는 또한 이집트인, 키프로스, 킬리키아인, 팜필리아인과 같이 믿을 수 없는 동맹국들을 가지고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그들은 완전히 쓸모가 없습니다.[17]
크세르크세스는 그녀의 조언에 만족했고 그녀를 이미 존경했지만, 이제 그녀를 더욱 칭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나머지 사령관의 조언을 따르라는 명령을 내렸다. 크세르크세스는 아르테미시움 해전에서 그의 군인들이 그곳에 그들을 지켜볼 사람이 없었기 때문에 겁쟁이처럼 행동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번에는 그들이 용감하게 행동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직접 해전을 지켜볼 것이다.[18]
플루타르코스는 ''헤로도토스의 악의에 대하여''에서 헤로도토스가 아르테미시아를 다가올 일들을 예언하는 무녀처럼 보이게 하기 위해 그러한 내용을 썼다고 믿었다.[19]
3. 1. 2. 전투 중
테미스토클레스의 계략에 따라 크세르크세스는 그리스 함대를 불리한 조건에서 공격하게 되었다. 이는 자신의 함대 일부를 펠로폰네소스로 보내 그리스 군대의 해산을 기다리는 대신 취해진 결정이었다. 아르테미시아는 크세르크세스 휘하의 해군 지휘관 중 유일하게 이 작전에 반대했지만, 이후 살라미스 해전 (기원전 480년 9월)에서 뛰어난 지휘 능력을 발휘하여 왕의 칭찬을 받았다.[1]
아르테미시아는 기원전 480년 9월 페르시아 제국의 동맹국으로 살라미스 해전에 참여했다. 그녀는 할리카르나소스, 코스, 니시로스, 칼린다(Κάλυνδοςel)의 군대를 이끌었고, 함선 5척을 제공했다. 그녀가 이끌고 온 함선들은 시돈 함선 다음으로 함대 전체에서 두 번째로 좋은 평판을 얻었다.[20]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전투 중 페르시아 함대가 패배에 직면했을 때, 아테네 함선이 아르테미시아의 함선을 추격했고 그녀는 탈출할 수 없었다. 왜냐하면 그녀 앞에 아군 함선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녀는 칼린도스 출신 사람들이 탑승하고 있었고 다마시티모스(Δαμασίθυμοςel) 칼린도스의 왕이 타고 있던 아군 함선을 향해 돌진하기로 결정했다. 칼린도스 함선은 침몰했다.[22] 헤로도토스는 확신하지 못하지만, 아르테미시아가 이전에 헬레스폰토스에서 다마시티모스와 불화가 있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23]
폴리아에누스에 따르면, 아르테미시아는 자신이 그리스인들의 손에 떨어질 위기에 처한 것을 보자 페르시아 깃발을 내리라고 명령하고, 함장은 그녀를 지나치는 칼린도스 동맹의 페르시아 선박을 향해 돌진하여 공격하도록 지시했는데, 그 선박은 다마시티모스가 지휘하고 있었다.[24][25]
아테네 함선의 선장인 아메이니아스(Ameinias of Athens)[26]는 그녀가 페르시아 함선을 향해 돌진하는 것을 보고, 그녀의 함선이 그리스 함선이거나 페르시아를 버리고 그리스를 위해 싸우는 것으로 추정하여 다른 함선을 따라가기 위해 방향을 돌렸다.[27][28]
헤로도토스는 아메이니아스가 아르테미시아가 그 함선에 타고 있다는 것을 몰랐다고 믿었는데, 그렇지 않았다면 그녀를 생포하거나 자신이 생포될 때까지 추격을 멈추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아테네 함장들에게 명령이 내려졌고, 그녀를 생포하는 사람에게 1만 드라크마의 상금이 주어졌기 때문이다. 그들은 여자가 아테네를 상대로 원정을 벌이는 것을 용납할 수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29]
폴리아에누스는 아르테미시아가 그녀의 함선에 두 개의 다른 깃발을 가지고 있었다고 보고한다. 그녀가 그리스 함선을 추격할 때, 그녀는 페르시아 깃발을 게양했다. 그러나 그녀가 그리스 함선에 의해 추격당했을 때는, 적들이 그녀를 그리스인으로 오인하고 추격을 포기하도록 하기 위해 그리스 깃발을 게양했다.[30]
크세르크세스는 아이갈레오 산 기슭에 있는 자신의 옥좌에서 전투를 지켜보던 중 이 사건을 목격했고, 그 자리에 있던 다른 사람들은 아르테미시아가 그리스 함선을 공격하여 침몰시켰다고 생각했다. 크세르크세스 옆에 있던 한 남자가 그에게 "폐하, 아르테미시아가 얼마나 잘 싸우고 있는지 보십시오. 그녀는 지금 적의 함선을 침몰시켰습니다."라고 말하자, 크세르크세스는 "내 부하들은 여자들이 되었고, 내 여자들은 남자들이 되었구나."라고 대답했다. 칼린도스 함선의 선원 중 그녀를 고발할 수 있을 만큼 살아남은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31] 폴리아에누스에 따르면, 크세르크세스는 그녀가 함선을 침몰시키는 것을 보고 "오 제우스, 너는 분명히 남자의 재료로 여자를 만들었고, 여자의 재료로 남자를 만들었구나."라고 말했다.[32]
포티우스는 사모스 출신 에우포무스()의 아들인 드라코()라는 남자가 1,000 탈렌트의 봉급을 받고 크세르크세스를 섬겼다고 기록했다. 그는 매우 좋은 시력을 가지고 있었고 20 스타디온 거리에서도 쉽게 볼 수 있었다. 그는 크세르크세스에게 전투에서 본 것과 아르테미시아의 용맹함을 묘사했다.[33]
3. 1. 3. 전투 이후
플루타르크는 자신의 저서 《영웅전》(Βίοι Παράλληλοι|비오이 파랄렐로이el)에서 테미스토클레스를 언급하며, 아르테미시아가 크세르크세스 1세의 형제이자 페르시아 해군의 제독인 아리아메네스(Ἀριαμένης|아리아메네스el) (헤로도토스는 그의 이름을 아리아비그네스라고 한다)의 시신을 난파선 사이에서 발견하고, 크세르크세스에게 가져다주었다고 말한다.[34]
할리카르나소스의 마우솔레움의 폐허에서 발견된 크세르크세스 1세의 항아리는 제2차 페르시아 원정 당시 유일한 여성 제독으로서 공을 세운 아르테미시아 1세에게 크세르크세스가 헌정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살라미스 해전에서 그러했다.[35][36][37]
폴리에누스에 따르면, 전투 후 크세르크세스는 아르테미시아가 함대 전체 장교들보다 뛰어났다고 인정하고 그녀에게는 완전한 그리스 갑옷을 보냈으며, 그녀의 배 선장에게는 실 잣는 연장과 실패를 선물했다.[38][39]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패배 후 크세르크세스는 아르테미시아에게 두 가지 가능한 행동 방안을 제시하고 그녀에게 권고를 구했다. 그가 직접 군대를 이끌고 펠로폰네소스로 갈 것인지, 아니면 그리스에서 철수하고 그의 장군인 마르도니우스에게 지휘를 맡길 것인지였다. 아르테미시아는 그에게 소아시아로 후퇴할 것을 제안했고, 마르도니우스가 제안한 계획, 즉 마르도니우스가 크세르크세스가 부재한 동안 그리스인들을 물리칠 30만 명의 페르시아 군인을 요청하는 것을 옹호했다.[40]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그녀는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
>저는 폐하께서 물러나 마르도니우스와 그가 원하는 자들을 남겨두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가 성공한다면, 폐하의 노예들이 해낸 것이므로 영광은 폐하의 것이 될 것입니다. 반면에 그가 실패하더라도, 폐하께서는 안전하실 것이고, 폐하의 집에 관련된 어떤 것도 위험에 처하지 않으므로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입니다. 그리고 폐하께서 안전하신 동안 그리스인들은 생존을 위해 많은 어려움을 겪어야 할 것입니다. 게다가, 마르도니우스가 재앙을 겪더라도 누가 신경이나 쓰겠습니까? 그는 단지 폐하의 노예일 뿐이며, 그리스인들은 초라한 승리를 거둘 것입니다. 폐하께서는 아테네를 불태우는 목표를 달성하고 집으로 돌아가실 것입니다.[41]
크세르크세스는 그녀의 조언을 따라, 마르도니우스가 그리스에서 전쟁을 수행하도록 남겨두었다. 그는 그녀를 에페소스로 보내 그의 사생아들을 돌보게 했다.[42] 반면에 플루타르크는 헤로도토스의 글을 조롱하는데, 크세르크세스가 아들이 여성 시중이 필요할 경우 수사에서 여자들을 데려왔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19]
4. 평가
헤로도토스는 아르테미시아 1세의 단호함과 지성을 높이 평가했으며, 크세르크세스 1세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고 서술했다.[64] 그는 아르테미시아가 페르시아 편에 섰음에도 불구하고 그녀를 존경하며, 결단력과 지성, 크세르크세스 휘하에서 대제독으로서 펼친 전략을 강조했다.
폴리아이노스는 크세르크세스가 그녀의 용맹함을 높이 평가했다고 전한다. 그는 자신의 저서 『전략』에서 아르테미시아가 라토스를 정복할 때 보여준 계략을 언급했다.[43]
유스티누스는 『세계사』에서 그녀를 "가장 뛰어난 지도자들 사이에서 가장 용감하게 싸웠으며, 그로 인해 남자에게서 여성스러운 두려움을, 여자에게서 남성다운 대담함을 볼 수 있었다"라고 묘사했다.[44]
반면, 히포크라테스의 아들 테살루스는 그녀를 비겁한 해적으로 묘사하며, 코스를 파괴하고 주민들을 학살하려 했다고 비판했다.[45]
포티우스가 인용한 전설에 따르면, 아르테미시아는 아비도스 출신의 다르다누스라는 남자를 사랑했지만, 그가 그녀를 무시하자 복수했으나, 신탁에 따라 레우카스의 바위에서 뛰어내려 죽었다고 한다.[47]
아리스토파네스는 자신의 작품 『뤼시스트라테』[48]와 『테스모포리아주사이』[49]에서 아르테미시아를 언급했다.
파우사니아스는 『그리스 안내기』에서 스파르타 시장에 페르시아 전쟁의 전리품으로 만들어진 주랑에 아르테미시아의 조각상이 있었다고 기록했다.[50][51][52]
백과사전 『수다』에도 아르테미시아에 대한 언급이 있다.[53]
5. 대중문화 속 묘사
1962년 영화 ''300 스파르탄''에서 아르테미시아는 앤 웨이크필드가 연기했다.[58]
고어 비달의 1981년 역사 소설(2002년 재출간) ''창조''에서 아르테미시아는 페르시아 장군 마르도니우스와 오랜 관계를 맺었고, 마르도니우스는 할리카르나소스에서 살며 비공식적으로 그녀의 배우자 역할을 했지만, 그녀는 독립을 지키기 위해 그와 결혼하는 것을 거부했다.
2014년에 개봉한 2007년 영화 《300》의 속편인 《300: 제국의 부활》에서 아르테미시아는 프랑스 출신의 여배우 에바 그린이 연기했다.[59] 이 영화에서 아르테미시아는 그리스인들이 맞서 싸워야 하는 침략 해군의 사령관으로 등장하며, 주요 적대자로 활약한다.
참조
[1]
서적
Altpreussische Monatsschrift Nene Folge p. 300
https://books.google[...]
[2]
문서
Enc. Britannica, "Artemisia I"
[3]
서적
Postcolonial Amazons: Female Masculinity and Courage in Ancient Greek and Sanskrit Literatur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4]
웹사이트
Polyaenus: Stratagems- Book 8, 53.5
http://www.attalus.o[...]
[5]
웹사이트
Herodotus Book 8: Urania, 68
http://www.sacred-te[...]
[6]
뉴스
Swords-and-sandals epics? This classics lover is all for them
https://web.archive.[...]
2014-03-03
[7]
웹사이트
Polyaenus: Stratagems- Book 8, 53.2
http://www.attalus.o[...]
[8]
웹사이트
Artemisia in Herodotus
http://www.stoa.org/[...]
2010-06-09
[9]
웹사이트
Artemisia in Herodotus
http://www.stoa.org/[...]
2010-06-09
[10]
서적
The Histories
Harvard University Press
[11]
웹사이트
Artemisia in Herodotus
http://www.stoa.org/[...]
2010-06-09
[12]
서적
Suda
http://www.stoa.org/[...]
[13]
웹사이트
Herodotus Book 8: Urania, 67
http://www.sacred-te[...]
[14]
웹사이트
Herodotus Book 8: Urania, 68
http://www.sacred-te[...]
[15]
웹사이트
Herodotus Book 8: Urania, 68 (a)
http://www.sacred-te[...]
Sacred-texts.com
2014-03-07
[16]
웹사이트
Herodotus Book 8: Urania, 68 (b)
http://www.sacred-te[...]
Sacred-texts.com
2014-03-07
[17]
웹사이트
Herodotus Book 8: Urania, 68 (c)
http://www.sacred-te[...]
Sacred-texts.com
2014-03-07
[18]
웹사이트
Herodotus Book 8: Urania, 69
http://www.sacred-te[...]
Sacred-texts.com
2014-03-07
[19]
웹사이트
Plutarch, Of Herodotus's Malice, Moralia, 38
https://www.perseus.[...]
[20]
웹사이트
Artemisia in Herodotus
http://www.stoa.org/[...]
2010-06-09
[21]
서적
LacusCurtius • Herodotus VII.99
https://penelope.uch[...]
[22]
웹사이트
Herodotus Book 8: Urania ,87
http://www.sacred-te[...]
[23]
웹사이트
Herodotus Book 8.87.3
https://www.perseus.[...]
[24]
웹사이트
Polyaenus: Stratagems- BOOK 8, 53
http://www.attalus.o[...]
[25]
웹사이트
Polyaenus: Stratagems – Book 8, 53.2
http://www.attalus.o[...]
[26]
웹사이트
Herodotus Book 8: Urania, 93
http://www.sacred-te[...]
[27]
웹사이트
Herodotus Book 8: Urania, 87
http://www.sacred-te[...]
Sacred-texts.com
2014-03-07
[28]
웹사이트
Polyaenus: Stratagems – Book 8, 53
http://www.attalus.o[...]
[29]
웹사이트
Herodotus Book 8: Urania, 93
http://www.sacred-te[...]
[30]
웹사이트
Polyaenus: Stratagems – Book 8, 53.3
http://www.attalus.o[...]
[31]
웹사이트
Herodotus Book 8: Urania,88
http://www.sacred-te[...]
Sacred-texts.com
2014-03-07
[32]
웹사이트
Polyaenus: Stratagems – Book 8, 53.5
http://www.attalus.o[...]
[33]
웹사이트
Bibliotheca, p. 159
http://khazarzar.ske[...]
[34]
웹사이트
Themistocles By Plutarch
http://classics.mit.[...]
[35]
서적
The Amazons: Lives and Legends of Warrior Women across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36]
서적
A Jar with the Name of King Xerxes – Livius
https://www.livius.o[...]
[37]
서적
Cambridge Ancient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24
[38]
웹사이트
Polyaenus: Stratagems – Book 8, 53.2
http://www.attalus.o[...]
[39]
웹사이트
Polyaenus: Stratagems – Book 8, 53.5
http://www.attalus.o[...]
[40]
웹사이트
Herodotus Book 8: Urania, 101
http://www.sacred-te[...]
Sacred-texts.com
2014-03-07
[41]
웹사이트
Herodotus Book 8: Urania, 102
http://www.sacred-te[...]
Sacred-texts.com
2014-03-07
[42]
웹사이트
Herodotus Book 8: Urania, 103
http://www.sacred-te[...]
Sacred-texts.com
2014-03-07
[43]
웹사이트
Polyaenus: Stratagems – Book 8, 53.4
http://www.attalus.o[...]
[44]
웹사이트
Justin, History of the World, §2.12
http://www.thelatinl[...]
[45]
웹인용
Artemisia I Ionian Greek queen (r.c. 480 b.c.e.) by Caitlin L. Moriarity
https://web.archive.[...]
2010-04-14
[46]
서적
The History and Antiquities of the Doric Race
https://books.google[...]
[47]
웹사이트
Myrobiblion, Codex 190
http://www.tertullia[...]
[48]
문서
Lysistrata 675
[49]
문서
Thesmophoriazusae 1200
[50]
웹사이트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Laconia – 11.3
http://www.theoi.com[...]
[51]
서적
Pausanias: Travel and Memory in Roman Greec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52]
웹사이트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Laconia – 11.3
https://www.perseus.[...]
[53]
웹사이트
Suda, p. 338
https://archive.org/[...]
[54]
서적
Archaic Times to the End of the Peloponnesian War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55]
웹사이트
First Iranian Female Admiral: Artmis
http://www.iranian.w[...]
2008-10-07
[56]
웹사이트
Ferries and cruise ships
http://raflucgr.ra.f[...]
Raflucgr.ra.funpic.de
2000-10-09
[57]
웹사이트
New Halicarnassus municipality
Frontoffice-147.dev.edu.uoc.gr
2014-03-07
[58]
웹사이트
300: Rise of an Empire (2014)
http://www.historyvs[...]
[59]
웹사이트
How Eva Green Absolutely Stole '300: Rise Of An Empire'
http://www.huffingto[...]
2014-06-03
[60]
문서
헤로도토스, 《역사》 7권 99장
[61]
문서
폴리아이누스(Polyaenus) 《전략들({{llang|el|Στρατηγήματα}}》 8권 53장 2절
[62]
문서
《[[수다]]》의 헤로도토스 항목
[63]
문서
이 전쟁은 헤로도토스, 《역사》 8권 68장 이하 참조.
[64]
문서
헤로도토스, 《역사》 7권 99장, 8권 68~69·87~88·93·101~03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