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 5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리랑 5호는 대한민국 최초의 SAR(합성개구레이더) 관측 위성이다. 2013년 8월 러시아에서 발사되었으며, 임무 수명은 5년으로 시작해 2년 연장되었다. 아리랑 5호는 야간이나 악천후에도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재난 감시, 자원 관리, 국토 관리, 안보 상황 감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쎄트렉아이의 자회사 SIIS가 위성 영상을 상용 판매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드네프르 로켓으로 발사한 우주선 - 아리랑 3A호
아리랑 3A호는 대한민국에서 개발하여 2015년에 발사된 지구 관측 위성으로, 고해상도 카메라와 적외선 센서를 통해 주야간으로 지구를 정밀하게 관측하며 기후 변화 분석과 재해 감시에 활용되고, 쎄트렉아이 자회사를 통해 위성 영상이 상용 판매된다. - 드네프르 로켓으로 발사한 우주선 - 과학기술위성 3호
과학기술위성 3호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개발하고 한국천문연구원의 다목적 적외선 영상시스템을 주탑재체로 사용하여 우리은하 및 지구 관측, 우주 기술 검증 등의 임무를 수행한 대한민국의 과학기술 위성이다.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아리랑 3A호
아리랑 3A호는 대한민국에서 개발하여 2015년에 발사된 지구 관측 위성으로, 고해상도 카메라와 적외선 센서를 통해 주야간으로 지구를 정밀하게 관측하며 기후 변화 분석과 재해 감시에 활용되고, 쎄트렉아이 자회사를 통해 위성 영상이 상용 판매된다.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아리랑 3호
아리랑 3호는 한국항공우주산업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국제협력을 통해 개발한 70cm급 고해상도 광학장비 탑재 지구관측위성으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쎄트렉아이 자회사를 통해 상용화되었으며 2012년 일본에서 발사되었다. - 2013년 발사한 우주선 - 선저우 10호
2013년 발사된 중국 유인 우주선 선저우 10호는 3명의 우주비행사를 태우고 톈궁 1호와의 도킹, 우주 실험, 과학 활동, 최초의 우주 수업 등을 진행하며 중국 우주 프로그램 발전에 기여했다. - 2013년 발사한 우주선 - 창어 3호
2013년 달의 폭풍의 바다에 착륙한 중국의 무인 달 착륙선 창어 3호는 중국 최초로 달 착륙 및 탐사 로버를 성공적으로 운용하며 달 표면 조사, 우주 환경 감지, 월면 천체 관측 등 다양한 과학적 목표를 수행했고, 현재까지도 운용되며 달 탐사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아리랑 5호 | |
---|---|
우주선 정보 | |
이름 | 아리랑 5호 (KOMPSAT-5) |
그림 | G_SA_KOMPS-5_01.jpg |
기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
임무 유형 | 지구관측위성 |
발사일 | 2013년 8월 22일 오후 11시 39분 (한국시간) |
발사체 | 드네프르 |
발사장소 |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 |
개발비용 | 2,480억원 |
발사비용 | 300억원 |
임무기간 | 5년 |
NSSDC_ID | 2013-042A |
중량 | 1,400kg 내외 |
크기 | 3.7m x 2.6m x 9.1m |
출력 | 6,700 W |
궤도 | 550km 태양동기궤도 |
탑재체 | 합성개구레이다 |
해상도 | 레이다 영상 (1/3/20m) |
2. 개발 배경
2005년 7월 1일 KOMPSAT-5 계획이 시작되었다.[3] 대한민국에서는 숫자 4를 흉수로 여겨 아리랑 3호 다음은 아리랑 5호가 되었다.[2] 아리랑 5호는 대한민국 최초로 합성개구레이더(SAR)를 탑재한 레이더 위성으로, 광학위성인 아리랑 2호로는 관측할 수 없는 야간이나 악천후에도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1]
아리랑 5호는 높이 4미터, 지름 2.6미터, 무게 1.4톤이며, 개발비는 2400억원이다.[4] 운용 수명은 약 5년이다.[5] 위성 버스는 아리랑 2호에서 개발한 것을 기반으로 했다. SAR 제작 기술은 국내에 확보되어 있지 않아, 공동 개발사인 유럽의 위성 개발 업체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 이탈리아(TASI)가 국내에 들어와 제작한다.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 이탈리아는 독일의 해상도 50 cm급 SAR 정찰 위성 시스템인 SAR-Lupe에도 SAR 장비를 납품한 회사이다. 아리랑 5호는 X밴드 멀티모드 영상용 SAR을 탑재하여 최고 1m, 그 외 3m, 20m 해상도를 선택할 수 있다.
2006년 당시에는 위성 발사를 2008년 말로, 궤도상 시험을 2009년 상반기 중에 완료할 예정이었다.[3] 당초 2011년 4월에 개발이 완료되어 2011년 8월 말에 발사하기로 예정되어 있었지만, 러시아 정부 측의 사정으로 여러 차례 연기되었다.[6] 2010년 개발을 완료하였으나 2년 넘게 발사가 지연되다가, 2013년 8월 22일 오후 8시 39분(한국시간 오후 11시 39분)을 기점으로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에서 우주로 쏘아 올려졌다. 발사 약 32분 후에 남극에 위치한 트롤 지상국과 첫 교신에 성공했으며, 이어서 발사 1시간 27분 후 노르웨이 스발바르 지상국과의 교신에 성공했고, 5시간 56분 후(한국시각 8월 23일 오전 5시 36분)에는 대전 항공우주연구원에 위치한 위성정보연구센터 지상국과 첫 교신에 성공하여 발사 성공이 최종 확인되었다. 로켓을 제공하는 러시아 국방부가 발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ISC 코스모트라스(러시아·우크라이나·카자흐스탄 합작회사)에 발사를 위한 추가 비용을 요구하며 분쟁을 빚기도 했다.[7]
아리랑 5호는 원래 임무수명기간이 5년으로, 2013년에 발사되었으나 2018년 8월에 2년 연장되었다. 인공위성은 사고나 긴급한 상황에 대비하여 임무수명보다 훨씬 많은 양의 연료를 탑재한다. 운용 과정에서 특별한 비상사태가 발생하지 않으면 임무기간이 연장되는 경우가 많다.[1]
아리랑 5호는 합성개구레이더(SAR)를 탑재하여 야간이나 악천후에도 영상을 획득할 수 있어, 아리랑 2호와 같은 광학위성으로는 관측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한반도 및 주변 지역을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다.[1] 이를 통해 재난 감시, 자원 관리, 국토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특히, 최고 1m급 고해상도 SAR 영상은 한반도 안보 상황 감시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아리랑 5호 위성영상의 상용판매는 SIIS(에스아이아이에스)가 담당하며 국내 및 전세계에 판매하고 있다. SIIS는 쎄트렉아이의 자회사로 위성영상 전문업체이다. 모회사인 쎄트렉아이는 2000년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 우리별 개발 연구팀을 중심으로, 최순달 장관이 설립한 우주산업 관련 벤처기업이다.
[1]
뉴스
大徳航空宇宙研究院試験室のアリラン5号衛星
https://web.archive.[...]
中央日報日本語版
2006년 3월 16일 알카텔 알레니아 스페이스(현재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에 KOMPSAT-5에 탑재할 SAR을 제공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3]
3. 주요 제원
4. 발사
5. 운용 및 수명
6. 활용
7. 상용화
참조
[2]
뉴스
Russian Dnepr rocket launches with Arirang-5
http://www.nasaspace[...]
NASASpaceFlight.com
2013-08-22
[3]
뉴스
アルカテル・アレニア・スペース社、韓国の地球観測衛星KOMPSAT-5にレーダーシステムを提供
http://www.japancorp[...]
JCN Network
[4]
뉴스
韓国衛星「アリラン5号」、11月中旬に打ち上げ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5]
뉴스
多目的衛星「アリラン5号」、8月末に打ち上げ延期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6]
뉴스
韓国 来年は「アリラン」など人工衛星4基打ち上げ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7]
뉴스
‘위성기술 甲’ 러 막가파식 횡포…올 아리랑 5호 발사 사실상 무산
http://www.seoul.co.[...]
서울新聞
2011-10-13
[8]
뉴스
아리랑 5호·과학위성 3호 발사 또 미뤄져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2-10-11
[9]
뉴스
韓国の衛星「アリラン5号」が交信成功
https://web.archive.[...]
中央日報
2013-08-23
[10]
뉴스
https://news.naver.c[...]
[11]
뉴스
https://news.naver.c[...]
[12]
뉴스
https://news.naver.c[...]
[13]
뉴스
아리랑 5호·과학위성 3호 발사 또 미뤄져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2-1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