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마다블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마다블람은 네팔의 히말라야 산맥에 위치한 산으로, 등반 역사가 깊다. 1961년 남서릉이 초등된 이후, 다양한 루트를 통해 여러 등반가들이 정상에 도전했다. 1979년 제프 로우는 남벽을 단독 초등했으며, 1996년 바냐 푸를란과 토마즈 후마르는 북서벽 등반으로 황금 피켈상을 수상했다. 2021년에는 최초의 아랍 여성과 카타르 여성이 정상에 올랐다. 아마다블람에서는 사고도 발생했는데, 1959년 조지 프레이저와 마이크 해리스가 실종되었고, 2006년 세락 붕괴로 6명의 등반가가 사망했으며, 2017년 발레리 로조프가 윙수트 사고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말라야산맥의 6000미터 봉우리 - 난다코트산
    난다 코트는 핀다리 칸다를 통해 생츄어리 벽과 연결된 해발 5,269m의 산으로, 핀다르 강과 고리 강 계곡 사이의 분할선을 형성하며, 1936년 일본 팀이 최초로 정상 등반에 성공했다.
  • 히말라야산맥의 6000미터 봉우리 - 마차푸차레산
    마차푸차레산은 네팔 안나푸르나 산맥의 뾰족한 봉우리로, "물고기 꼬리"라는 뜻의 이름처럼 특이한 외형을 가지며, 힌두교 신화에서 신성한 산으로 숭배받고 등반 금지와 관련된 다양한 논란이 있는 미등정 봉우리이다.
아마다블람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초라 계곡에서 바라본 아마 다블람
초라 계곡에서 바라본 아마 다블람
해발고도6,812m
봉우리 식별능1,041m
위치쿰부, 네팔
좌표27°51′40″N 86°51′40″E
산맥쿰부 히말
등반 유형암벽/눈/얼음 등반
첫 등반1961년
지리
지역네팔 제1구
어원
이름 유래"어머니의 목걸이" 라는 뜻이며, 솟아오른 능선이 어머니의 목을 감싸는 팔과 같고, 매달린 빙하는 전통적인 여성들이 착용하는 더블(dablam)이라는 장식 상자와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2. 등반사

아마다블람 등반은 1961년 1960-61 실버 헛 원정대 소속 마이크 길(뉴질랜드), 배리 비숍(미국), 마이크 워드(영국), 왈리 로마네스(뉴질랜드)가 남서릉을 초등하면서 시작되었다.[9] 1979년에는 제프 로우가 남벽을 단독 초등했고, 같은 해 레이몽 르노|lt=레이몽 르노프랑스어와 Yvan Estienne|이브 에티엔프랑스어이 이끄는 프랑스 원정대가 북릉을 초등했다. 1985년에는 일본 산악 동지회의 사카시타 나오에와 아리아케 마사유키가 서벽을 초등했고,[10] 1992년 야마노이 야스시가 서벽을 동계 단독 초등반했다.[25]

2. 1. 주요 등반

연도등반 루트 및 기타 정보
1961년남서릉(VI 5.9 60도 1500m) 초등, 1960-61 실버 헛 원정대 소속 마이크 길(뉴질랜드), 배리 비숍(미국), 마이크 워드(영국), 왈리 로마네스(뉴질랜드).[9]
1979년남서릉 등반, 마틴 보이스 (영국), 톰 프로스트, 데이비드 브리셔스, 그레그 로우, 제프 로우, 피터 필라피안, 조나단 라이트 (이상 미국), 락파 도르제 (네팔). 눈보라 속에서 4월 22일 정상 도달 (자금 지원이 잘 된 등반 및 영화 촬영 원정의 일부). 더그 로빈슨과 존 와슨 (이상 미국)은 다음 날 정상 도달.
1979년남벽 로우 루트(VI AI4 M5 1200m), 제프 로우 단독 초등 (4월 30일).
1979년북릉(VI 5.7 70도 1600m), 레이몽 르노|lt=레이몽 르노프랑스어와 이브 에티엔프랑스어이 이끄는 대규모 프랑스 원정대. 14명의 프랑스인과 4명의 네팔 셰르파를 3개 조로 나누어 10월 21-23일 3일간 정상 등정.
1981년북동 스퍼에서 북릉으로(VI 5.7 70도 1500m), 팀 맥카트니-스네이프, 링컨 홀, 앤드루 헨더슨 (호주).
1983년동릉(VI 80도 1500m), 알랭 위베르 (벨기에) 와 앙드레 조르주 (스위스 알피니스트)프랑스어 (스위스).
1984년남서릉 단독 등반, 사카시타 나오에 (일본).
1985년서벽 아리아케-사카시타(VI 5.7 65도 1400m), 아리아케 마사유키와 사카시타 나오에 (이상 일본).[10]
1985년북동벽(VI 혼합 90도 1400m) 동계 등반, 마이클 케네디와 카를로스 뷸러 (이상 미국).[11]
1992년야마노이 야스시 (당시 27세) 서벽(6812m) 동계 단독 초등반.[25]
1996년북서벽 스타네 벨라크 슈라프 기념 루트(VI 5.7 AI5 A2+ 1650m), 바냐 푸를란sl과 토마즈 후마르 (이상 슬로베니아) 등반, 1996년 황금 피켈상 수상.[12]
1996년북릉 오스트리아-독일 스타일 등반, 프리들 후버, 막스 베르거, 알로이스 바데그루버, 로만 디른보크.
2001년북서릉(VI 스코틀랜드 7, 2000m), 줄스 카트라이트와 리치 크로스 (이상 영국).[13]
2021년나드히라 알 하르티 (최초의 아랍 여성)[14], 아스마 알 타니 (이후 정상에 오른 최초의 카타르 여성).[15]
2023년마테오 자크무 (프랑스 산악 가이드).[16]
2023년토마시 오트루바 (체코 산악인).[4]



2. 2. 한국 산악인의 등반

현재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한국 산악인의 등반 기록이 명시되어 있지 않다. 다만, 다른 등반 기록은 다음과 같다.

3. 사고

1959년 5월, 영국의 최고 등반가 조지 프레이저와 마이크 해리스는 아마다블람 북쪽 능선, 해발 6400m 지점에서 마지막으로 목격되었으나, 정상 등정 여부는 확인되지 않은 채 돌아오지 못했다.[17]

2006년 11월 13일/14일 밤, 매달린 빙하에서 대규모 세락 붕괴가 발생하여 캠프 III의 텐트 여러 동을 휩쓸었다. 이 사고로 6명의 등반가(유럽인 3명, 네팔인 3명)가 사망했다. 목격자 증언에 따르면 캠프 III는 특이하거나 비정상적으로 위험한 지점에 설치되지 않았으며, 세락 낙하 규모가 워낙 커서 텐트 위치와 관계없이 피해가 발생했다.

2016년 11월 28일, 팡보체 출신의 저명한 셰르파 락파 툰두 셰르파가 규모 5.4의 지진으로 발생한 눈사태와 얼음 덩어리 추락으로 사망했다. 당시 툰두는 해발 6000m 지점(아마다블람 산)에 있었다.[18]

2017년 11월 11일, 발레리 로조프가 윙수트를 입고 산에서 뛰어내렸다가 절벽에 부딪혀 사망했다.[19]

4. 대중 문화

아마다블람의 묘사는 원래 영국 내에서 인베스코 퍼페추얼의 브랜딩 로고로 사용되었다. 이후 인베스코 그룹의 전 세계 시그니처로 채택되었다.

참조

[1] 지도 NE517: Everest Base Camp & Gokyo Nepa Maps (Pvt. Ltd.) 2013
[2] Peakbagger 2009-03-01
[3] 서적 2005
[4] 서적 Die Trying: One Man's Quest to Conquer the Seven Summits
[5] 웹사이트 पैसाले भन्ने रोचक कथा https://www.himalkha[...] 2022-04-07
[6] 간행물 Himalaya, Nepal, Ama Dablam http://publications.[...] 2024-08-15
[7] 서적 2005
[8] 서적 2005
[9] 서적 2005
[10] 서적 2005
[11] 서적 2005
[12] 서적 2005
[13] 서적 2005
[14] 웹사이트 Nadhira does it again https://www.muscatda[...] 2021-01-16
[15] 웹사이트 Sheikha Asmaa scales Ama Dablam peak in the Himalayas http://www.qatar-tri[...] 2021-11-10
[16] 웹사이트 Fastest Known Time Broken on Ama Dablam https://www.mensjour[...] 2023-11-14
[17] 서적 High in the Thin Cold Air Doubleday
[18] 웹사이트 Sherpa Death on Ama Dablam https://www.alanarne[...] 2016-11-28
[19] 뉴스 Russian extreme sports star killed in wingsuit accident on Mt Ama Dablam https://thehimalayan[...] The Himalayan Times
[20] 지도 NE517: Everest Base Camp & Gokyo Nepa Maps (Pvt.Ldt.) 2013
[21] Peakbagger 2009-03-01
[22] 서적 コンサイス 外国地名事典 삼省堂
[23] 웹사이트 シェルパ語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23-01-24
[24] 웹사이트 アマダブラム(6812m) 26日間 https://royal-treks.[...] ROYAL ORCHID TREKS 2020-05-10
[25] 웹사이트 山野井 泰史(やまのい やすし) http://www.magic-mou[...] MAGIC MOUNTAIN 2014-10-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