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멜리 모레스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멜리 모레스모는 프랑스의 테니스 선수이자 코치이다. 1996년 프랑스 오픈과 윔블던 주니어 여자 단식에서 우승하며 주니어 여자 세계 챔피언에 올랐다. 1999년 호주 오픈 준우승,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여자 단식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2004년 프랑스 여자 선수 최초로 세계 랭킹 1위에 올랐다. 2006년 호주 오픈과 윔블던에서 우승하며 메이저 대회 2관왕을 달성했다. 선수 은퇴 후에는 미카엘 로드라, 빅토리아 아자렌카, 마리옹 바르톨리, 앤디 머레이 등을 코치했으며, 프랑스 페드컵 팀과 데이비스컵 팀의 주장을 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여자 테니스 선수 - 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
    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는 프랑스 프로 테니스 선수로, 주니어 랭킹 1위, WTA 단식 1회 우승, 복식 및 혼합 복식에서 다수의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획득했다.
  • 프랑스의 여자 테니스 선수 - 마리 피르스
    프랑스 출신의 은퇴한 프로 테니스 선수인 마리 피르스는 호주 오픈과 프랑스 오픈 여자 단식에서 우승했으며, 프랑스 오픈 여자 복식과 윔블던 혼합 복식에서도 우승을 차지했고, 2019년 국제 테니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프랑스의 성소수자 스포츠 선수 - 올리비에 루예
    올리비에 루예에 대한 정보가 현재 제공되지 않아 위키백과 페이지 도입부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
  • 프랑스의 성소수자 스포츠 선수 - 아스트리드 기야르
    아스트리드 기야르는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 금메달과 올림픽 은메달을 포함해 다수의 국제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한 뛰어난 펜싱 선수이다.
아멜리 모레스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4년 Aegon 선수권 대회에서의 아멜리 모레스모
2014년 6월의 모레스모
전체 이름아멜리 시몬 모레스모
거주지제네바, 스위스
출생일1979년 7월 5일
출생지생제르맹앙레, 프랑스
신장1.75m
프로 전향1993년
은퇴2009년 12월 3일
플레이 스타일오른손잡이 (한손 백핸드)
코치로이크 쿠르토 (2002–2008)
커리어 상금US$15,022,476
테니스 명예의 전당 입성 년도2015년
테니스 명예의 전당 IDamelie-mauresmo
경력 통계
싱글 전적545–227 (70.6%)
싱글 타이틀25
최고 싱글 랭킹1위 (2004년 9월 13일)
그랜드 슬램 성적 (단식)
호주 오픈우승 (2006)
프랑스 오픈8강 (2003, 2004)
윔블던우승 (2006)
US 오픈4강 (2002, 2006)
기타 토너먼트
WTA 챔피언십우승 (2005)
그랜드 슬램 컵8강 (1999)
복식
복식 전적92–62
복식 타이틀3
최고 복식 랭킹29위 (2006년 6월 26일)
그랜드 슬램 성적 (복식)
호주 오픈 복식8강 (1999)
프랑스 오픈 복식2회전 (1997, 1998)
윔블던 복식준우승 (2005)
US 오픈 복식3회전 (1999)
단체전
페드컵우승 (2003)
올림픽 메달
코치 경력
코치 기간2013–
코치 선수미카엘 료드라 (2010) (코치 컨설턴트)
빅토리아 아자렌카 (2012) (코치 컨설턴트)
마리옹 바르톨리 (2013)
앤디 머레이 (2014–2016)
뤼카 푸유 (2019–2020)
코치 싱글 타이틀8
코치 토너먼트 전적윔블던 (바르톨리)
발음

2. 성장 과정

모레스모는 프랑스생제르맹앙레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4세 때인 1983년 프랑스 오픈에서 자국 선수 야니크 노아가 우승하는 경기를 텔레비전으로 본 것을 계기로 테니스를 시작했다. 이후 그녀의 부모는 노아의 우승을 보고 그녀에게 첫 테니스 라켓을 사주었다. 어머니 프랑수아즈(Françoise)는 주부이고, 엔지니어였던 아버지 프랑시스(Francis)는 2004년 3월 세상을 떠났다. 엔지니어인 오빠 파비앙(Fabien)이 있다.

1996년 모레스모는 주니어 프랑스 오픈과 윔블던 여자 단식에서 모두 우승했으며, 같은 해 ITF에 의해 주니어 세계 챔피언으로 선정되었다. 1998년에는 어린 시절 우상이었던 야니크 노아 감독에게 발탁되어 페드컵 프랑스 대표팀 선수가 되었다.

3. 선수 경력

프랑스생제르맹앙레에서 태어난 모레스모는 4세 때인 1983년 프랑스 오픈에서 자국 선수 야니크 노아가 우승하는 것을 텔레비전으로 보고 테니스를 시작했다. 공교롭게도 그녀를 1998년 페드컵 프랑스 대표팀 선수로 처음 발탁한 감독이 바로 야니크 노아였다. 모레스모는 1996년 프랑스 오픈과 윔블던 주니어 여자 단식에서 연달아 우승하며 두각을 나타냈고, 그해 ITF로부터 주니어 세계 챔피언으로 선정되었다.

1999년 호주 오픈에서는 시드를 받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세계 랭킹 1위 린제이 데이븐포트 등을 꺾으며 결승에 진출하는 파란을 일으켰으나, 결승에서 마르티나 힝기스에게 패해 준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메리 피어스에 이어 프랑스 여자 선수로는 두 번째 호주 오픈 결승 진출 기록이었다. 이 대회 직후 모레스모는 자신이 동성애자임을 공개적으로 밝혔다.[5]

이후 꾸준히 세계 정상급 선수로 활약하며 2002년경부터는 세계 랭킹 10위권에 안정적으로 자리 잡았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여자 단식 결승에 진출했으나 벨기에쥐스틴 에냉-아르덴에게 패해 은메달을 획득했다. 같은 해 9월 13일, 마침내 프랑스 여자 선수 최초로 세계 랭킹 1위에 오르는 영광을 안았다. 2005년에는 시즌 최종전인 WTA 투어 챔피언십 결승에서 같은 프랑스 선수인 마리 피에르스를 꺾고 프랑스 선수 최초로 우승을 차지했다.

2006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 우승 당시 모레스모


모레스모의 선수 경력 정점은 2006년이었다. 호주 오픈 결승에서 쥐스틴 에냉-아르덴이 경기 도중 기권하면서 생애 첫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는 마리 피에르스 이후 프랑스 여자 선수의 6년 만의 그랜드 슬램 단식 우승이자, 11년 만의 호주 오픈 우승이었다. 같은 해 윔블던에서는 다시 결승에서 에냉-아르덴을 2-6, 6-3, 6-4로 꺾고 우승하며 시즌 두 번째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이는 1925년 수잔 렝글렌 이후 무려 81년 만에 프랑스 여자 선수가 윔블던 단식 정상에 오른 역사적인 사건이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모레스모는 2007년 프랑스 시라크 대통령으로부터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수여받았다.

2007년부터는 부상 등으로 인해 성적이 점차 하락세를 보였고, 메이저 대회에서 이전과 같은 성과를 내지 못했다. 2009년 2월 파리 실내 대회 우승이 그녀의 마지막 투어 단식 우승 기록이다. 그해 US 오픈 2회전 탈락을 마지막으로, 2009년 12월 3일 30세의 나이로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모레스모는 복식에서도 2005년 윔블던 준우승을 포함하여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와 함께 두 차례 투어 대회 우승을 기록했다. 페드컵에서는 1998년부터 2009년까지 프랑스 대표로 활약하며 단식에서 팀 역대 최다인 30승 9패를 기록했고, 2003년 프랑스의 우승에 기여했다.

은퇴 후에는 2013년부터 페드컵 프랑스 대표팀 감독을 맡았고, 2014년부터 2015년까지는 남자 테니스 선수 앤디 머레이의 코치를 맡기도 했다. 2015년 국제 테니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3. 1. 초기 경력 (1995-1998)

아멜리 모레스모는 4세 때인 1983년 프랑스 오픈에서 자국 선수 야닉 노아가 우승하는 경기를 텔레비전으로 본 것을 계기로 테니스를 시작했다. 이후 노아에게 발탁되어 기량을 키웠다.

1995년에는 세계 랭킹 700위였지만, 예선 주최자 추천으로 프랑스 오픈에 처음 출전하여 본선에 진출했다. 1996년에는 프랑스 오픈과 윔블던 주니어 여자 단식 부문에서 연달아 우승하며 유망주로 주목받았다.

1998년부터 본격적으로 세계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1998년 5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WTA 독일 오픈에서는 결승에 진출했으나, 스페인의 콩치타 마르티네스에게 4–6, 4–6으로 패해 준우승을 차지했다. 같은 해부터 여자 테니스 국가 대항전인 페드컵의 프랑스 대표 선수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3. 2. 전성기 (1999-2006)

1999년 호주 오픈에서 시드를 받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세계 랭킹 1위 린제이 데이븐포트를 포함한 세 명의 시드 선수를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그러나 결승에서는 세계 랭킹 2위 마르티나 힝기스에게 2-6, 3-6으로 패배하여 준우승에 머물렀다. 모레스모는 메리 피어스에 이어 호주 오픈 결승에 오른 두 번째 프랑스 여자 선수였으며, 테니스 오픈 시대에 그랜드 슬램 결승에 진출한 세 번째 프랑스 여자 선수가 되었다. 같은 해 말, 파리 실내 경기에서는 결승에 오르는 과정에서 힝기스를 꺾는 저력을 보여주었다.

호주 오픈에서 데이븐포트를 이긴 후, 당시 19세였던 모레스모는 자신이 게이임을 공개적으로 밝혔다.[5] 그녀는 코트에서의 성공이 자신의 성 정체성을 받아들이고 사랑을 찾은 덕분이라고 말했다.[5]

2001년에는 파리, 니스, 아멜리아 아일랜드, 베를린에서 우승하며 상승세를 보였다. 2002년에는 두바이와 몬트리올에서 우승했다.

2003년에는 바르샤바와 필라델피아에서 우승했고, WTA 투어 챔피언십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2004년은 모레스모에게 중요한 해였다. 베를린, 로마, 몬트리올, 린츠, 필라델피아에서 우승하며 총 5개의 타이틀을 획득했다. 윔블던에서는 준결승에 진출하여 세레나 윌리엄스에게 아쉽게 패했으며, 다른 세 개의 그랜드 슬램 대회에서는 모두 8강에 올랐다. 아테네 올림픽 단식에서는 결승에 진출했으나 쥐스틴 에냉에게 3-6, 3-6으로 패해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2004년 9월 13일, 모레스모는 프랑스 여자 테니스 선수 최초로 세계 랭킹 1위에 올랐다. 그녀는 5주간 1위 자리를 지켰으며, 킴 클레이스터르스에 이어 그랜드 슬램 타이틀 없이 세계 1위에 오른 두 번째 여자 선수가 되었다.

2005년 호주 오픈에서는 8강에 진출했지만 세레나 윌리엄스에게 패했다. 프랑스 오픈에서는 3라운드에서 당시 신예였던 아나 이바노비치에게 패하는 이변을 겪었다.[6] 윔블던에서는 준결승에서 린제이 데이븐포트에게, US 오픈에서는 8강에서 메리 피어스에게 패했다. 복식에서는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와 조를 이뤄 윔블던 준우승을 차지했다. 시즌 후반 앤트워프, 로마, 필라델피아에서 우승했으며, 시즌 마지막 대회인 WTA 투어 챔피언십에서는 결승에서 메리 피어스를 5-7, 7-6(3), 6-4로 꺾고 첫 우승을 차지하며 시즌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2005년 호주 오픈에서의 모레스모


2006년은 모레스모의 커리어 정점이었다. 호주 오픈에서 생애 첫 그랜드 슬램 단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준결승에서는 킴 클레이스터르스가 발목 부상으로, 결승에서는 쥐스틴 에냉이 위장염으로 기권했지만, 모레스모는 두 경기 모두 기권 당시 각각 3세트와 6-1, 2-0으로 상대를 리드하고 있었다. 이 우승으로 그녀는 마리 피어스 이후 그랜드 슬램 단식에서 우승한 첫 프랑스 여자 선수가 되었고, 프랑스 여자 선수로는 11년 만에 호주 오픈 정상에 올랐다.

호주 오픈 우승 이후, 모레스모는 파리 (결승에서 피어스 꺾음)와 앤트워프 (결승에서 클레이스터스 꺾음)에서 연달아 우승했다. 카타르 오픈에서는 결승에서 나디아 페트로바에게 패했지만, 이 준우승 성적으로 2006년 3월 20일 다시 세계 랭킹 1위에 복귀했다.

프랑스 오픈에서는 4라운드에서 니콜 바이디소바에게 패배했다. 하지만 이어진 윔블던 웜업 대회인 이스트본에서는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와 조를 이뤄 복식 우승을 차지했다.

윔블던에서는 1번 시드로 출전하여 아나스타시아 미스키나와 마리아 샤라포바를 차례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쥐스틴 에냉을 상대로 첫 세트를 내주었으나 2-6, 6-3, 6-4로 역전승하며 두 번째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이는 수잔 렝글렌 이후 81년 만에 프랑스 여자 선수가 윔블던에서 우승한 것이었으며, 모레스모는 한 손 백핸드로 윔블던에서 우승한 마지막 여자 선수로 기록되었다.

윔블던 이후 사타구니 부상으로 페드컵과 로저스 컵에 불참했다. 복귀전인 파일럿 펜 테니스에서는 8강에서 린제이 데이븐포트에게 패했다. US 오픈에서는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마리아 샤라포바에게 0-6, 6-4, 0-6으로 패했다. 이는 오픈 시대 이후 여자 선수가 US 오픈 준결승에서 두 세트를 한 게임도 따내지 못하고 패한 첫 사례였다.[8]

시즌 후반 차이나 오픈 결승에 진출했지만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에게 패했다. 이 대회에서 모레스모는 2000년 이후 이어졌던 데이븐포트 상대 9연패를 끊었다. 시즌 마지막 대회인 WTA 투어 챔피언십에서는 결승에 올랐으나 쥐스틴 에냉에게 4-6, 3-6으로 패하며 준우승했다. 모레스모는 2006년 시즌을 에냉과 샤라포바에 이어 세계 랭킹 3위로 마감했다.

3. 3. 후반기 (2007-2009)

2007년부터 모레스모의 테니스 성적은 하락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그해 시드니 인터내셔널 8강에서 옐레나 얀코비치에게 패하며 시즌을 시작했고, 호주 오픈에서는 4라운드에서 루치에 사파로바에게 4–6, 3–6으로 패했다.

2007년 윔블던의 모레스모


이후 오픈 가즈 드 프랑스 준결승에서는 나디아 페트로바에게 7–5, 4–6, 6–7로 역전패했다. 하지만 다음 대회인 Proximus Diamond Games에서는 결승에서 킴 클레이스터스를 꺾고 3년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130만달러 상당의 다이아몬드 장식 라켓 트로피를 획득했다. 두바이 오픈에서는 결승에 올랐으나 쥐스틴 에냉에게 패했다.

2007년 3월 16일, 모레스모는 자크 시라크 대통령으로부터 레지옹 도뇌르 슈발리에 훈장을 받았다.

그러나 급성 충수염으로 인해 마이애미 오픈, Bausch & Lomb Championships, J & S 컵 등 여러 대회에 기권해야 했다. 복귀 후에도 독일 오픈 3라운드, 로마 마스터스 2라운드에서 탈락했고, 프랑스 오픈에서는 3라운드에서 다시 루치에 사파로바에게 패배했다.

International Women's Open 결승에서 에냉에게 5–7, 7–6(4), 6–7(2)로 접전 끝에 패한 모레스모는 디펜딩 챔피언으로서 윔블던에 출전했지만, 4라운드에서 니콜 바이디소바에게 6–7, 6–4, 1–6으로 패하며 세계 랭킹이 6위로 하락했다. 이는 2003년 11월 이후 처음으로 5위권 밖으로 밀려난 것이었다. 컨디션 난조로 US 오픈에는 불참했다.

하반기에도 부진은 이어져 차이나 오픈 8강, 포르셰 테니스 그랑프리 2라운드, 크렘린 컵 1라운드, 취리히 오픈 2라운드에서 탈락했다. 시즌 종료 후, 모레스모는 던롭 라켓 대신 HEAD 라켓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2008년에는 호주 오픈 3라운드, 프랑스 오픈 2라운드, 윔블던 3라운드, US 오픈 4라운드에 그치며 메이저 대회에서 이전과 같은 성적을 내지 못했다.

2009년 2월, 파리 실내 대회에서 옐레나 데멘티에바를 7–6(7), 2–6, 6–4로 꺾고 우승하며 개인 통산 25번째이자 마지막 단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그해 호주 오픈 3라운드, 프랑스 오픈 1라운드, 윔블던 4라운드를 기록했다. US 오픈 2회전에서 알렉산드라 보즈니악에게 4-6, 0-6으로 패한 것이 현역 마지막 공식 경기가 되었다.

복식에서는 2009년 3월 소니 에릭슨 오픈에서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와 조를 이루어 우승했다. 또한 페드컵에서는 2009년까지 프랑스 대표 선수로 활동하며 단식에서 팀 역대 최다승인 30승 9패를 기록했다.

2009년 12월 3일, 모레스모는 30세의 나이로 현역 은퇴를 공식 선언했다.

3. 4. 주요 대회 성적

아멜리 모레스모는 4세 때 1983년 프랑스 오픈에서 자국 선수 야닉 노아가 우승하는 것을 보고 테니스를 시작했다. 1996년 프랑스 오픈과 1996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 주니어 여자 단식에서 연속 우승하며 유망주로 주목받았다. 1995년 프랑스 오픈에는 세계 랭킹 700위권이었으나 주최자 추천으로 예선을 거쳐 본선에 진출하기도 했다.

1999년 호주 오픈에서는 시드 배정 없이 출전하여 당시 세계 랭킹 1위 린제이 데이븐포트 등을 꺾고 결승에 진출하는 돌풍을 일으켰다. 결승에서는 세계 랭킹 2위 마르티나 힝기스에게 패배하여 준우승을 차지했다. 이 대회 결승 진출은 메리 피어스에 이어 프랑스 여자 선수로는 역대 두 번째였다. 이 대회 이후 모레스모는 자신이 동성애자임을 공개적으로 밝혔다.[5]

2002년에는 윔블던US 오픈에서 4강에 진출했고, 2004년에는 로마 마스터스, 베를린 오픈, 몬트리올 마스터스 등 세 개의 티어 I급 대회에서 우승했다. 같은 해 아테네 올림픽 테니스 여자 단식에서는 결승에 올랐으나 쥐스틴 에냉에게 패해 은메달을 획득했다.

2004년 9월 13일, 모레스모는 프랑스 테니스 선수 최초로 WTA 세계 랭킹 1위에 올랐다. 이는 그랜드 슬램 타이틀 없이 세계 1위에 오른 역대 두 번째 기록이었다. (첫 번째는 킴 클레이스터르스)

2005년에는 연말 WTA 투어 챔피언십에서 메리 피어스를 꺾고 우승하며 프랑스 선수 최초로 해당 대회 정상에 올랐다.

2008년 포티스 챔피언십에서의 모레스모


2006년은 모레스모에게 최고의 해였다. 2006년 호주 오픈에서는 결승에서 쥐스틴 에냉이 위장 문제로 기권하면서 생애 첫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획득했다. (당시 스코어 6-1, 2-0 리드) 이어서 윔블던 결승에서 다시 만난 에냉을 2-6, 6-3, 6-4로 꺾고 두 번째 그랜드 슬램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1925년 수잔 렝글렌 이후 81년 만에 프랑스 여자 선수가 윔블던 단식에서 우승한 것이었다. 이 해 모레스모는 파리 인도어 오픈과 앤트워프 다이아몬드 게임에서도 우승했다. 앤트워프 대회에서는 3년 연속 우승으로 다이아몬드가 박힌 라켓 트로피를 받기도 했다. 이 쾌거로 모레스모는 2007년 프랑스의 시라크 대통령으로부터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수여받았다.

2007년부터 모레스모의 테니스 성적은 하락세를 타기 시작했다. 같은 해 호주 오픈 4회전과 프랑스 오픈 3회전에서 루시 사파로바 (체코)에게 2연패를 당한 후, 메이저 대회 단식에서 8강 이상에 진출하지 못했다. 마지막 단식 우승은 2009년 2월 파리 실내 대회였다. 2009년 US 오픈 2회전에서 알렉산드라 보즈니악 (캐나다)에게 4-6, 0-6으로 패한 경기가 현역 마지막 토너먼트 출전이 되었다. 3개월 후인 2009년 12월 3일, 모레스모는 30세로 선수 생활 은퇴를 표명했다.

모레스모는 복식에서도 2005년 윔블던 여자 복식에서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 (러시아)와 짝을 이뤄 준우승을 차지했다. 쿠즈네초바와는 2006년 6월 중순의 이스트본 대회와 2009년 3월 말의 소니 에릭슨 오픈 복식에서 우승했다.

아멜리 모레스모는 여자 테니스 국가 대항전인 페드컵의 프랑스 대표 선수로도 1998년부터 현역 은퇴한 2009년까지 대표를 맡아 단식에서 팀 역대 1위 기록인 "30승 9패"의 성적을 거두었다. 그녀는 2003년 프랑스 팀의 페드컵 우승에 기여했다.

=== 그랜드 슬램 성적 ===

토너먼트199519961997199819992000200120022003200420052006200720082009승률승–패
그랜드 슬램 토너먼트
호주 오픈AQ2Q23RF2R4RQFAQF1QF''W'''4R3R3R1 / 1138–9
프랑스 오픈1R22R2R1R2R4R1R4RQFQF3R4R3R2R1R0 / 1525–15
윔블던 선수권 대회AAQ32RA1R3RSFASFSF''W'''4R3R4R1 / 1033–9
US 오픈AAA3R4RAQFSFQFQFQFSFA4R2R0 / 1035–10
승–패3–12–24–35–410–34–39–417–48–217–315–422–28–38–46–42 / 46131–43


  • 1 2004년 호주 오픈 8강전 기권은 패배로 간주되지 않음.
  • 2 1995년 프랑스 오픈 본선 진출 전 예선 3경기 승리.
  • '''성적 범례''': '''W''' = 우승, F = 준우승, SF = 4강, QF = 8강, #R = #라운드 탈락, Q# = 예선 #라운드 탈락, A = 불참


=== 그랜드 슬램 결승 ===

==== 단식: 3회 (우승 2, 준우승 1) ====

결과연도대회코트상대 선수스코어
준우승1999오스트레일리아 오픈하드(스위스) 마르티나 힝기스2–6, 3–6
우승2006오스트레일리아 오픈하드(벨기에) 쥐스틴 에냉6–1, 2–0 기권
우승2006윔블던잔디(벨기에) 쥐스틴 에냉2–6, 6–3, 6–4



==== 복식: 1회 (준우승 1) ====

결과연도대회코트파트너상대 선수스코어
준우승2005윔블던잔디(러시아)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짐바브웨) 카라 블랙
(남아프리카 공화국) 라이젤 후버
2–6, 1–6



=== 올림픽 결승 ===

==== 단식: 1회 (은메달 1) ====

결과연도대회코트상대 선수스코어
은메달2004아테네 올림픽하드(벨기에) 쥐스틴 에냉3–6, 3–6



=== WTA 투어 챔피언십 결승 ===

==== 단식: 3회 (우승 1, 준우승 2) ====

결과연도대회코트상대 선수스코어
준우승2003WTA 투어 챔피언십 (로스앤젤레스)하드 (실내)(벨기에) 킴 클레이스터르스2–6, 0–6
우승2005WTA 투어 챔피언십 (로스앤젤레스)하드 (실내)(프랑스) 마리 피에르스5–7, 7–6(7–3), 6–4
준우승2006WTA 투어 챔피언십 (마드리드)하드 (실내)(벨기에) 쥐스틴 에냉4–6, 3–6



=== WTA 투어 단식 결승 (우승 25, 준우승 23) ===

{| class="wikitable"

|-

! 결과 !! No. !! 결승일 !! 대회 !! 코트 !! 상대 선수 !! 스코어

|-

| 준우승 || 1. || 1998년 5월 11일 || (독일) 베를린 || 클레이 || (스페인) 콩치타 마르티네스 || 4–6, 4–6

|-

| 준우승 || 2. || 1999년 1월 30일 || (호주) 호주 오픈 || 하드 || (스위스) 마르티나 힝기스 || 2–6, 3–6

|-

| 준우승 || 3. || 1999년 2월 22일 || (프랑스) 파리 || 카펫 (실내) || (미국) 세레나 윌리엄스 || 2–6, 6–3, 6–7(4–7)

|-

| 우승 || 1. || 1999년 10월 18일 ||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 || 하드 (실내) || (벨기에) 킴 클레이스터르스 || 6–3, 6–3

|-

| 우승 || 2. || 2000년 1월 11일 || (호주) 시드니 || 하드 || (미국) 린제이 데이븐포트 || 7–6(7–2), 6–4

|-

| 준우승 || 4. || 2000년 5월 1일 || (크로아티아) 볼 || 클레이 || (슬로베니아) 티나 피즈닉 || 6–7(4–7), 6–7(2–7)

|-

| 준우승 || 5. || 2000년 5월 15일 || (이탈리아) 로마 || 클레이 || (미국) 모니카 셀레스 || 2–6, 6–7(4–7)

|-

| 우승 || 3. || 2001년 2월 5일 || (프랑스) 파리 || 카펫 (실내) || (독일) 안케 후버 || 7–6(7–2), 6–1

|-

| 우승 || 4. || 2001년 2월 18일 || (프랑스) 니스 || 카펫 (실내) || (불가리아) 막달레나 말레바 || 6–2, 6–0

|-

| 우승 || 5. || 2001년 4월 9일 || (미국) 아멜리아 아일랜드 || 클레이 ||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만다 쿠처 || 6–4, 7–5

|-

| 우승 || 6. || 2001년 5월 7일 || (독일) 베를린 || 클레이 || (미국) 제니퍼 카프리아티 || 6–4, 2–6, 6–3

|-

| 준우승 || 6. || 2001년 5월 14일 || (이탈리아) 로마 || 클레이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옐레나 도키치 || 6–7(3–7), 1–6

|-

| 우승 || 7. || 2002년 2월 18일 || (UAE) 두바이 || 하드 || (프랑스) 상드린 테스트 || 6–4, 7–6(7–3)

|-

| 우승 || 8. || 2002년 8월 12일 || (캐나다) 몬트리올 || 하드 || (미국) 제니퍼 카프리아티 || 6–4, 6–1

|-

| 준우승 || 7. || 2003년 2월 3일 || (프랑스) 파리 || 카펫 (실내) || (미국) 세레나 윌리엄스 || 3–6, 2–6

|-

| 우승 || 9. || 2003년 4월 28일 || (폴란드) 바르샤바 || 클레이 || (미국) 비너스 윌리엄스 || 6–7(6–8), 6–0, 3–0 기권

|-

| 준우승 || 8. || 2003년 5월 12일 || (이탈리아) 로마 || 클레이 || (벨기에) 킴 클레이스터르스 || 6–3, 6–7(3–7), 0–6

|-

| 준우승 || 9. || 2003년 9월 29일 || (러시아) 모스크바 || 카펫 (실내) || (러시아) 아나스타샤 미스키나 || 2–6, 4–6

|-

| 우승 || 10. || 2003년 10월 27일 || (미국) 필라델피아 || 하드 (실내) || (러시아) 아나스타샤 미스키나 || 5–7, 6–0, 6–2

|-

| 준우승 || 10. || 2003년 11월 3일 || (미국) 로스앤젤레스 || 하드 (실내) || (벨기에) 킴 클레이스터르스 || 2–6, 0–6

|-

| 준우승 || 11. || 2004년 1월 12일 || (호주) 시드니 || 하드 || (벨기에) 쥐스틴 에냉-아르덴 || 4–6, 4–6

|-

| 준우승 || 12. || 2004년 4월 5일 || (미국) 아멜리아 아일랜드 || 클레이 || (미국) 린제이 데이븐포트 || 4–6, 4–6

|-

| 우승 || 11. || 2004년 5월 3일 || (독일) 베를린 || 클레이 || (미국) 비너스 윌리엄스 || 부전승

|-

| 우승 || 12. || 2004년 5월 10일 || (이탈리아) 로마 || 클레이 || (미국) 제니퍼 카프리아티 || 3–6, 6–3, 7–6(8–6)

|-

| 우승 || 13. || 2004년 8월 2일 || (캐나다) 몬트리올 || 하드 || (러시아) 옐레나 리호프체바 || 6–1, 6–0

|-

| 준우승 || 13. || 2004년 8월 16일 || (그리스) 아테네 올림픽 || 하드 || (벨기에) 쥐스틴 에냉-아르덴 || 3–6, 3–6

|-

| 준우승 || 14. || 2004년 10월 4일 || (독일) 피더슈타트 || 하드 || (미국) 린제이 데이븐포트 || 2–6, 기권

|-

| 우승 || 14. || 2004년 10월 18일 || (오스트리아) 린츠 || 하드 (실내) || (러시아) 옐레나 보비나 || 6–2, 6–0

|-

| 우승 || 15. || 2004년 10월 25일 || (미국) 필라델피아 || 하드 (실내) || (러시아) 베라 즈보나레바 || 3–6, 6–2, 6–2

|-

| 준우승 || 15. || 2005년 2월 7일 || (프랑스) 파리 || 카펫 (실내) || (러시아) 디나라 사피나 || 4–6, 6–2, 3–6

|-

| 우승 || 16. || 2005년 2월 14일 || (벨기에) 앤트워프 || 카펫 (실내) || (미국) 비너스 윌리엄스 || 4–6, 7–5, 6–4

|-

| 우승 || 17. || 2005년 5월 9일 || (이탈리아) 로마 || 클레이 || (스위스) 파티 슈나이더 || 2–6, 6–3, 6–4

|-

| 준우승 || 16. || 2005년 8월 22일 || (미국) 뉴 헤이븐 || 하드 || (미국) 린제이 데이븐포트 || 4–6, 4–6

|-

| 준우승 || 17. || 2005년 10월 3일 || (독일) 피더슈타트 || 하드 || (미국) 린제이 데이븐포트 || 2–6, 4–6

|-

| 우승 || 18. || 2005년 10월 31일 || (미국) 필라델피아 || 하드 (실내) || (러시아) 옐레나 데멘티예바 || 7–5, 2–6, 7–5

|-

| 우승 || 19. || 2005년 11월 13일 || (미국) 로스앤젤레스 || 하드 (실내) || (프랑스) 마리 피에르스 || 7–5, 6–7(3–7), 4–6

|-

| 우승 || 20. || 2006년 1월 28일 || (호주) 호주 오픈 || 하드 || (벨기에) 쥐스틴 에냉-아르덴 || 6–1, 2–0 기권

|-

| 우승 || 21. || 2006년 2월 12일 || (프랑스) 파리 || 카펫 (실내) || (프랑스) 마리 피에르스 || 6–1, 7–6(7–2)

|-

| 우승 || 22. || 2006년 2월 19일 || (벨기에) 앤트워프 || 카펫 (실내) || (벨기에) 킴 클레이스터르스 || 3–6, 6–3, 6–3

|-

| 준우승 || 18. || 2006년 2월 27일 || (카타르) 도하 || 하드 || (러시아) 나디아 페트로바 || 3–6, 5–7

|-

| 우승 || 23. || 2006년 7월 8일 || (영국)

4. 코치 경력

2010년 6월과 7월, 모레스모는 풀 시즌 동안 프랑스 선수 미카엘 로드라를 임시로 코치했다.

2013년, 모레스모는 프랑스 랭킹 1위였던 마리옹 바르톨리의 코칭을 2013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 직전에 시작했다.[16] 모레스모의 지도 아래 바르톨리는 한 세트도 내주지 않고 생애 첫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차지했으며, 자신의 부활에 모레스모의 코칭이 큰 힘이 되었다고 밝혔다.[17]

동시에 2013년부터 프랑스 페드컵 팀 주장을 맡았으나, 2016년 페드컵 결승에서 체코에 패한 뒤 둘째 임신을 이유로 사임했다.[21]

2014년 6월 8일, 모레스모는 앤디 머레이의 새로운 코치로 발표되었다.[18] 모레스모의 지도를 받은 머레이는 2015년 호주 오픈 결승에 올랐으나 노바크 조코비치에게 패했다. 2015년 5월, 머레이는 모레스모의 코칭 아래 2015년 마드리드 오픈에서 우승하며 클레이 코트 첫 타이틀을 획득했고, 이 과정에서 라파엘 나달을 상대로 클레이 코트 첫 승리를 거두기도 했다. 머레이는 또한 2015년 프랑스 오픈2015년 윔블던 준결승에 진출했다. 모레스모는 2015년 8월 아들을 출산하여 윔블던 이후 연말까지 출산 휴가를 가졌고, 이 기간 동안 머레이는 요나스 비요르크만의 코칭을 받았다. 2016년, 모레스모는 복귀하여 머레이의 통산 다섯 번째 호주 오픈 결승 진출을 도왔지만, 다시 조코비치에게 패했다. 머레이는 몬테카를로 마스터스 준결승에도 올랐으나 나달에게 패했다. 모레스모와 머레이의 마지막 대회는 2016년 마드리드 오픈이었고, 머레이는 결승에서 조코비치에게 패했다. 모레스모는 2016년 5월 9일 머레이 코치직 사임을 발표했다.[20]

2018년 6월 프랑스 데이비스컵 팀 차기 주장으로 임명되었으나, 그해 말 루카 푸유의 코치를 맡기로 하면서 실제 주장직을 수행하지는 않았다.[22] 모레스모의 지도 아래 푸유는 이전까지 승리가 없었던 호주 오픈에서 2019년 대회 준결승에 진출하는 돌풍을 일으켰지만, 최종 우승자 노박 조코비치에게 패했다.[23] 모레스모와 푸유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한 테니스계의 변화 등 여러 요인의 영향으로 2020년 10월에 결별했다.

5. 플레이 스타일

아멜리 모레스모는 기술적 숙련도가 뛰어난 전 코트형(all-court) 플레이어로, 공격적인 경기를 펼쳤다. 그녀의 가장 강력한 무기는 원핸드 백핸드로, WTA 투어에서 가장 효과적인 기술 중 하나로 평가받았다. 모레스모는 백핸드를 플랫, 탑스핀, 슬라이스 등 다양하게 구사하며 코트 깊숙이 찔러 넣을 수 있었고, 득점의 상당 부분을 백핸드로 만들었다.[24] 반면 포핸드는 상대적으로 불안정하여, 상대 선수들은 실수를 유도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그녀의 포핸드 쪽을 공략하기도 했다. 하지만 모레스모는 선수 생활 동안 포핸드를 꾸준히 개선하여 2005년 이후에는 더 자주, 성공적으로 사용하는 무기로 발전시켰다.

서브는 강력하여 첫 서브 평균 속도는 107mph에 달했고, 최고 116mph를 기록하며 종종 에이스를 만들어냈다. 두 번째 서브 역시 평균 92mph 정도로 안정적이어서 더블 폴트가 적은 편이었다. 모레스모는 WTA 투어에서 손꼽히는 네트 플레이어 중 한 명으로, 네트 앞에서 포인트를 마무리하는 경우가 많았다. 뛰어난 발리 실력과 섬세한 감각을 바탕으로 네트에서 다양한 샷을 구사할 수 있었다.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빌리 진 킹처럼 극단적인 네트 러셔는 아니었지만, 능숙한 서브 앤 발리를 구사했으며, 이 전략은 특히 잔디 코트에서 효과적이었다.[25]

리턴 게임에서도 공격적인 모습을 보였는데, 첫 서브는 베이스라인 근처에서 받아 백핸드 다운더라인이나 인사이드 아웃 포핸드로 효과적으로 대응했다. 두 번째 서브는 베이스라인 안쪽으로 들어와 받으며 종종 리턴 에이스를 기록하기도 했다.

뛰어난 기술에도 불구하고, 자신감 부족과 경기 중 긴장하는 모습, 기복 있는 플레이는 그녀의 약점으로 지적되었으며, 선수 시절 내내 언론에서 자주 언급되었다.[26] 모레스모의 플레이 스타일은 모든 코트 표면에서 효과를 발휘했으며, 실제로 하드, 클레이, 잔디, 카펫 코트 모두에서 투어 대회 우승 경력을 가지고 있다.

6. 개인사

모레스모는 프랑스의 생제르맹앙레에서 태어났다. 4세 때인 1983년, 프랑스 오픈에서 자국 선수 야니크 노아가 우승하는 것을 텔레비전으로 본 후 테니스를 시작했다. 이를 계기로 부모님은 그녀에게 첫 라켓을 선물했다. 어머니 프랑수와즈(Françoise)는 전업 주부였고, 엔지니어였던 아버지 프랑시스(Francis)는 2004년 3월 세상을 떠났다. 남매인 파비앙(Fabien) 또한 엔지니어이다.

1996년 모레스모는 프랑스 오픈과 윔블던 주니어 여자 단식에서 우승했으며, 같은 해 ITF로부터 주니어 여자 세계 챔피언으로 선정되었다. 1998년에는 어린 시절 우상이었던 야니크 노아가 감독으로 있던 페드 컵 프랑스 대표팀에 발탁되기도 했다.

1999년 호주 오픈 결승 진출 당시, 상대 선수였던 마르티나 힝기스가 모레스모를 "반쯤 남자"라고 언급한 것을 계기로 그녀가 레즈비언임이 알려지게 되었다.

2015년 8월 16일, 모레스모는 아들 아론을 출산했다고 발표했으며[29][30], 2017년 4월 26일에는 딸 아일라를 낳았다.[31]

모레스모는 2024년 하계 올림픽 개막식에서 마지막 성화 봉송 주자 중 한 명으로 참여했다.

7. 수상 및 명예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여자 단식에서는 결승에 진출했으나, 벨기에쥐스틴 에냉=아르덴에게 패배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1] 2005년에는 시즌 최종전인 WTA 투어 챔피언십 결승에서 동료 프랑스 선수 마리 피에르스를 꺾고 프랑스 여자 선수 최초로 우승을 차지했다.[1]

2006년은 모레스모에게 최고의 해였다. 호주 오픈에서는 7년 만에 결승에 다시 진출하여, 결승 상대였던 쥐스틴 에냉=아르덴이 경기 중 기권하면서 생애 첫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획득했다.[1] 이는 2000년 프랑스 오픈의 마리 피에르스 이후 프랑스 여자 선수의 첫 그랜드 슬램 단식 우승이었으며, 호주 오픈에서는 1995년 호주 오픈의 피에르스 이후 11년 만의 프랑스 선수 우승이었다.[1] 같은 해 윔블던 결승에서는 다시 만난 에냉=아르덴을 상대로 역전승을 거두며 두 번째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차지했다.[1] 이는 1925년 수잔 렝글렌 이후 81년 만에 프랑스 여자 선수가 윔블던에서 우승한 기록이었다.[1] 이러한 활약으로 모레스모는 2007년 프랑스시라크 대통령으로부터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수여받았다.[1]

복식에서도 성과를 거두었다. 2005년 윔블던 여자 복식에서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와 조를 이루어 준우승을 차지했으며,[1] 쿠즈네초바와 함께 2006년 이스트본 대회와 2009년 소니 에릭슨 오픈 복식에서 우승했다.[1]

페드컵에서는 1998년부터 2009년까지 프랑스 대표 선수로 활약하며 단식에서 30승 9패라는 팀 역대 최다승 기록을 세웠고, 2003년 프랑스의 페드컵 우승에 기여했다.[1]

2015년에는 국제 테니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

'''주요 수상 및 명예'''
연도대회/상종목결과비고
2003년페드컵단체전우승프랑스 대표팀 기여
2004년아테네 올림픽여자 단식은메달결승에서 쥐스틴 에냉에게 패배
2005년WTA 투어 챔피언십여자 단식우승프랑스 여자 선수 최초
윔블던 선수권 대회여자 복식준우승파트너: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
2006년호주 오픈여자 단식우승생애 첫 그랜드 슬램 우승
윔블던 선수권 대회여자 단식우승프랑스 여자 선수 81년 만의 우승
이스트본 인터내셔널여자 복식우승파트너: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
2007년레지옹 도뇌르 훈장-수훈자크 시라크 대통령 수여
2009년소니 에릭슨 오픈여자 복식우승파트너: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
2015년국제 테니스 명예의 전당-헌액-


참조

[1] 웹사이트 Career Prize Money Leaders https://wtafiles.wta[...] WTATennis 2024-11-11
[2] 웹사이트 Amelie Mauresmo https://olympics.com[...] 2022-01-06
[3] 웹사이트 Amélie Mauresmo https://www.tennisfa[...] 2022-01-06
[4] 웹사이트 Amélie Mauresmo: "Proud, Honoured, and Ambitious" https://www.rolandga[...] 2021-12-09
[5] 웹사이트 GaySports – Gay Tennis – Lesbian Tennis – gay and lesbian sports site, for sports enthusiasts and athletes worldwide. (Tennis for the gay & lesbian community) http://www.gaysports[...] 2007-07-03
[6] 뉴스 Serbian starlet shocks Mauresmo http://news.bbc.co.u[...] 2012-09-15
[7] 뉴스 Mauresmo through after second set tussle http://www.abc.net.a[...] ABC News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8] 뉴스 Sharapova stops No. 1 Mauresmo, will meet Henin-Hardenne in U.S. Open final https://www.usatoday[...] Usatoday.com 2012-06-04
[9] 뉴스 Battling Serena sees off Mauresmo http://news.bbc.co.u[...] 2012-06-04
[10] 뉴스 French stars to miss the Olympics http://news.bbc.co.u[...] BBC 2008-07-22
[11] 뉴스 Mauresmo's title hopes ended by Dechy in Cincinnati http://uk.reuters.co[...] Uk.reuters.com 2012-06-04
[12] 뉴스 Amelie Mauresmo splits from coach Loïc Courteau http://www.dailytele[...] 2010-11-14
[13] 뉴스 Women's singles results http://news.bbc.co.u[...] 2007-06-26
[14] 뉴스 Mauresmo calls time on her career http://news.bbc.co.u[...] 2010-04-23
[15] 웹사이트 Amelie Mauresmo retires from tennis https://www.telegrap[...] 2009-12-03
[16] 간행물 Marion Bartoli splits with father-coach, wants Amelie Mauresmo as replacement https://www.si.com/t[...] 2014-09-10
[17] 문서 Marion Bartoli wins Wimbledon title http://www.courierma[...] The Courier-Mail
[18] 문서 Andy Murray appoints Amelie Mauresmo as coach https://www.bbc.com/[...] BBC Sport
[19] 뉴스 Amelie Mauresmo combines Andy Murray & Fed Cup roles https://www.bbc.co.u[...] 2014-12-02
[20] 뉴스 Andy Murray and coach Amelie Mauresmo 'mutually agree' to end partnership http://edition.cnn.c[...] 2016-05-23
[21] 뉴스 Amelie Mauresmo steps down as France's Fed Cup captain http://www.tennis.co[...] 2016-11-14
[22] 뉴스 Amelie Mauresmo withdraws as France Davis Cup captain to coach Lucas Pouille https://www.bbc.com/[...] 2018-12-06
[23] 뉴스 Australian Open 2019: Lucas Pouille praises coach Amelie Mauresmo https://www.bbc.com/[...] 2019-01-23
[24] 웹사이트 Tennis: How Amelie Mauresmo overcame the jibes about her sexuality https://www.theguard[...] 2020-07-16
[25] 웹사이트 Amelie Mauresmo: Leaving Tennis Behind? https://bleacherrepo[...] 2020-07-16
[26] 뉴스 Mauresmo settles the nerves https://www.irishtim[...] 2020-07-16
[27] 뉴스 Mauresmo's stock can rise, fall in NYC https://www.usatoday[...] Usatoday.com 2012-06-04
[28] 웹사이트 Mauresmo Claims Wimbledon Crown https://www.npr.org/[...] 2006-07-08
[29] 뉴스 Andy Murray: Scot dedicates win to new Mum Amelie Mauresmo http://edition.cnn.c[...] 2015-08-17
[30] 뉴스 Mauresmo gives birth to first child, a boy http://www.tennis.co[...] 2015-08-17
[31] 뉴스 Amelie Mauresmo announces birth of second child http://www.espn.com/[...] 2017-04-26
[32] 웹사이트 What they're wearing (and hitting with) at Wimbledon http://www.sportsbus[...] SportsBusiness Journal 2014-09-10
[33] 문서 Au Revoir, Amélie http://www.wtatennis[...]
[34] 뉴스 テニス=女子元世界ランク1位モレスモ氏、マリーのコーチに https://jp.reuters.c[...] Reuters 2014-06-09
[35] 뉴스 テニス=四大大会で2勝のモレスモ、殿堂入り https://jp.reuters.c[...] Reuters 2015-03-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