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사카와 다쿠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사카와 다쿠미는 조선총독부 산림과에서 근무하며 산림녹화에 기여하고 조선의 공예, 특히 소반을 연구한 인물이다. 그는 형 아사카와 노리타카와 함께 조선의 도자기와 문화를 일본에 알리는 데 영향을 미쳤으며, 잣나무 양묘 기간 단축과 조선오엽송 종자 개발에도 기여했다. 그의 저서로는 《조선의 밥상》과 《조선 도자기 고》 등이 있으며, 그의 생애를 다룬 영화와 연극이 제작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역사 평론가 - 아즈마 히로키
    아즈마 히로키는 일본의 사상가이자 비평가, 소설가로, 포스트모더니즘, 오타쿠 문화, 정보 사회 등에 대한 비평 활동과 저술 활동을 펼치고 주식회사 겐론을 설립하여 활동하고 있다.
  • 일본의 역사 평론가 - 와다 하루키
    와다 하루키는 소련사와 남북한 현대사를 연구하고 동아시아 평화와 협력을 위한 활동을 펼치는 일본의 역사학자로, 도쿄 대학 사회과학연구소 교수와 소장을 역임했으며 한반도 문제에 대한 논쟁적인 주장을 하기도 했고 김대중 학술상을 수상했다.
  • 일본의 정치 평론가 - 안토니오 이노키
    안토니오 이노키는 일본 프로레슬링의 황금기를 이끈 프로레슬러이자 정치인, 격투기 프로모터로, 역도산의 제자로 프로레슬링에 입문하여 신일본 프로레슬링을 설립하고 무하마드 알리와의 격투기 이벤트, 스포츠 평화당 창당 및 참의원 당선 등의 활동을 펼치며 프로레슬링계에 큰 공헌을 남겼다.
  • 일본의 정치 평론가 - 모리모토 사토시
    모리모토 사토시는 1941년생 일본의 정치인이자 국제정치학자로, 2012년 민간인 출신 최초로 방위대신을 역임했으며, 국가 안보 전문가로서 활동하며 일본회의 연관성 및 독도 관련 발언 등으로 논란을 빚기도 했다.
  • 일본의 개신교도 - 미우라 아야코
    일본의 소설가 미우라 아야코는 1964년 《빙점》으로 데뷔하여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었고, 기독교 신앙을 바탕으로 한 작품들을 발표하며 폭넓은 독자층을 확보했으며, 결핵 투병 중 기독교 신앙을 갖게 된 후 남편의 지원 속에 집필 활동을 이어가 대한민국에서도 많은 사랑을 받았다.
  • 일본의 개신교도 - 노구치 히데요
    노구치 히데요는 1876년 일본에서 태어나 2살 때 화상을 입었지만 의사가 되기로 결심하고, 미국에서 매독과 황열병 연구를 수행하며 매독 스피로헤타를 발견하는 등 업적을 남겼지만 황열병으로 사망한 세균학자이다.
아사카와 다쿠미
기본 정보
이름浅川 巧 (아사카와 타쿠미)
출생"" (1891년 1월 15일)
출생지야마나시현기타코마군갑촌(현재의 호쿠토시다카네초)
사망"" (1931년 4월 2일)
사망 장소조선
안장 장소망우리공동묘지(서울특별시중랑구)
직업조선총독부 임업시험장 기수, 조선 [민예], 도예 연구 및 평론
국적일본
학력야마나시현립 농림고등학교
장르임업, 미술
주제조선의 임업, 공예, 민예, 도자기
사상민예운동
종교메소디스트 경성교회
배우자浅川みつえ (아사카와 미츠에, 아사카와 마사토시의 여동생), 大北咲 (오키타 사키)
자녀아사카와 소노에
친척아사카와 하쿠쿄 (형)
영향야나기 무네요시
데뷔 작품조선의 膳(젠) (1929년)
대표 작품『조선의 膳(젠)』 (1929년)
『조선도자명고』 (1931년)

2. 생애

야마나시현 출신. 조선총독부 산림과에 근무하며 산림녹화에 힘썼다. 그의 형은 '조선 도자기의 신'이라고도 불리는 아사카와 노리타카이며, 자신도 조선의 공예를 좋아했다. 형에게 조선의 도자기 파편을 구해 보내주는 한편, 자신은 조선의 소반(밥상)을 연구하며 조선 문화의 독자성을 주장했다. 그의 고향인 야마나시현 호쿠도시에 노라다카·다쿠미 형제 기념관이 세워졌다. 그는 40세에 요절하여 서울 중랑구 망우리 공동묘지에 묻혔다.[3]

아버지 아사카와 죠사쿠, 어머니 케이의 차남으로 야마나시현키타코마군코우무라 고쵸다(같은 군 타카네정 고쵸다를 거쳐 현재는 호쿠토시 타카네정 고쵸다)에서 태어났다[1]。 형은 아사카와 타쿠교. 1891년에는 무라야마시 보통소학교에, 1901년에는 아키타 보통고등학교에 입학했다.

1907년 4월에는 야마나시현립 농림학교에 입학하고, 이 무렵 아사카와 마사조를 알게 된다. 같은 해 6월에는 메소디스트고후 교회에서 세례를 받았다. 1909년 4월에는 아키타현 오다테 영림서에 취직했다.

1914년 5월에는 형을 따라 한반도로 건너가, 같은 해 9월에는 조선총독부 농상공부 산림과 임업시험장에 취직하여 묘목 재배 및 조림 연구에 종사했다. 다음 1915년에는 타쿠교를 따라 아비코를 방문하여 야나기 무네요시를 알게 된다. 다음 1916년 2월에는 아사카와 마사조의 누나 미츠에와 결혼했다.

다음 1917년에는 『대일본산림회보』에 논문을 발표한다. 1919년 4월에는 이시도야 츠토무와 『조선 거목 노수 명목지』를 간행하고, 같은 해 8월에는 이시도와 『수묘 양성 지침・제1호』를 간행한다. 1922년에는 임업시험장이 경성 교외 청량리로 이전하고, 타쿠미도 이주한다. 타쿠미는 조선의 공예에 주목하여 도자기가구민구를 수집하고, 1924년 4월에는 야나기의 발안으로 야나기, 형인 타쿠교와 함께 이조 왕궁 터인 경복궁 내에 조선민족미술관을 설립한다. 1929년에는 『조선의 밥상』을, 1931년에는 『조선 도자기 고』를 간행한다.

1931년 4월 2일, 급성 폐렴으로 사망. 40세. 경성 교외의 청량리(현 서울특별시동대문구)에 장례되었다. 후에 교외의 망우리 공동묘지로 개장되었다. 묘비에는 "한국의 산과 민예를 사랑하고, 한국인의 마음속에 살아간 일본인, 여기 한국의 흙이 되다"라고 적혀 있다.

2. 1. 조선총독부 임업 기술자

아사카와 다쿠미는 야마나시현 출신으로, 조선총독부 산림과에 근무하며 산림녹화에 힘썼다.[3] 형은 '조선 도자기의 신'이라고도 불리는 아사카와 노리타카이다.[3] 아사카와 다쿠미는 조선의 공예를 좋아하여, 형에게 조선의 도자기 파편을 구해 보내주기도 했다.[3] 한편, 자신은 조선의 소반(밥상)을 연구하며 조선 문화의 독자성을 주장했다.[3]

그의 고향인 야마나시현 호쿠도시에는 노라다카·다쿠미 형제 기념관이 세워졌다.[3] 그는 40세에 요절하여 서울 중랑구 망우리 공동묘지에 묻혔다.[3]

2. 2. 민예 연구가

아사카와 다쿠미는 야마나시현 출신으로, 조선총독부 산림과에 근무하며 산림녹화에 힘썼다.[3] '조선 도자기의 신'이라고도 불리는 아사카와 노리타카의 동생으로, 조선의 공예를 사랑했다.[3] 형에게 조선의 도자기 파편을 구해 보내주는 한편, 자신은 조선의 소반(밥상)을 연구하며 조선 문화의 독자성을 주장했다.[3] 그의 고향인 야마나시현 호쿠도시에는 노라다카·다쿠미 형제 기념관이 세워졌다.[3] 그는 40세에 요절하여 서울 중랑구 망우리 공동묘지에 묻혔다.[3]

2. 3. 사망

아사카와 다쿠미는 야마나시현 출신으로 조선총독부 산림과에 근무하며 산림녹화에 힘썼다.[3] 형은 '조선 도자기의 신'이라고도 불리는 아사카와 노리타카이며, 자신도 조선의 공예를 좋아했다.[3] 형에게 조선의 도자기 파편을 구해 보내주는 한편, 자신은 조선의 소반(밥상)을 연구하며 조선 문화의 독자성을 주장했다.[3] 40세에 요절하여 서울 중랑구 망우리 공동묘지에 묻혔다.[3] 그의 고향인 야마나시현 호쿠도시에 노라다카·다쿠미 형제 기념관이 세워졌다.[3]

망우리 공동묘지에 있는 아사카와 다쿠미의 묘비에는 '한국의 산과 민예를 사랑하고 한국인의 마음속에 살다 간 일본인, 여기 한국의 흙이 되다'라고 적혀 있다.[4]

3. 민예운동에 끼친 영향

아사카와 다쿠미의 영향으로 조선 백자의 아름다움에 눈을 뜬 형 아사카와 노리타카가 이를 일본에 소개했다. 야나기 무네요시가 민예운동을 시작한 배경에는 조선 백자에 대한 이해가 있었다고 한다. 야나기 무네요시는 일제강점기 조선에 조선민족미술관을 세웠고, 이 소장품은 후일 국립중앙박물관으로 계승됐다.

4. 한국 조림 사업에 대한 기여

아사카와 다쿠미는 잣나무 양묘 기간을 2년에서 1년으로 단축하는 데 기여했다. 이러한 양묘법 개선 덕분에 2011년 현재 한국 인공림의 37%에 잣나무가 심겨지게 되었다. 그는 조선의 민둥산을 푸르게 하는 것을 소명으로 여겨 전국을 다니며 적합한 수종을 찾고 식목을 거듭했다. 특히 흙의 힘을 이용하는 '노천매장법'을 통해 조선오엽송 종자를 싹 틔우는 방법을 개발했다. 아사카와 다쿠미는 조선의 민둥산을 푸르게 하는 것을 소명으로 삼고 전국을 다니며 적합한 수종을 찾고 식목을 거듭했다. 특히 자연 상태 흙의 힘을 이용하는 '노천매장법' 방식으로 조선오엽송 종자를 싹 틔우는 방법을 개발했다. 당시 한국 잣나무는 2년간 길러야 양묘에 성공할 수 있었지만, 아사카와가 고안한 양묘법 덕분에 1년으로 단축할 수 있었다. 2011년 현재 한국의 인공림 37%에 잣나무가 심겨져 있다.

4. 1. 잣나무 양묘법 개선

아사카와 다쿠미는 잣나무 양묘 기간을 2년에서 1년으로 단축하는 데 기여했다. 이러한 양묘법 개선 덕분에 2011년 현재 한국 인공림의 37%에 잣나무가 심겨지게 되었다. 그는 조선의 민둥산을 푸르게 하는 것을 소명으로 여겨 전국을 다니며 적합한 수종을 찾고 식목을 거듭했다. 특히 흙의 힘을 이용하는 '노천매장법'을 통해 조선오엽송 종자를 싹 틔우는 방법을 개발했다.

4. 2. 노천매장법 개발

아사카와 다쿠미는 조선의 민둥산을 푸르게 하는 것을 소명으로 삼고 전국을 다니며 적합한 수종을 찾고 식목을 거듭했다. 특히 자연 상태 흙의 힘을 이용하는 '노천매장법' 방식으로 조선오엽송 종자를 싹 틔우는 방법을 개발했다. 당시 한국 잣나무는 2년간 길러야 양묘에 성공할 수 있었지만, 아사카와가 고안한 양묘법 덕분에 1년으로 단축할 수 있었다. 2011년 현재 한국의 인공림 37%에 잣나무가 심겨져 있다.

5. 저서

아사카와 다쿠미는 조선 도자기와 관련된 여러 저서를 남겼다. 1929년에는 《조선의 식탁》을 출판하였고, 1931년에는 《조선 도자기 명고》를 출판하였다. 이 책들은 이후 여러 차례 재출간되었다. 1978년에는 야시오 서점에서 《조선의 식탁》 증보판과 《조선 도자기 명고》 증보판이 '아사카와 다쿠미 저작집'의 일부로 출판되었다. 2004년에는 소풍관에서 《조선 도자기 명고》 복각판이 출판되었다. 2023년에는 지쿠마 학예 문고에서 《조선의 식탁/조선 도자기 명고》 합본이 출판되었다.

그 외에도 에비나 노리가 편집한 《소품집》(1978), 다카사키 소지가 편집한 《아사카와 다쿠미 전집》(1996), 《조선 민예론집》(2003), 《아사카와 다쿠미 일기와 서간》(2003) 등이 출판되었다.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 거수 노수 명목지》(1919), 《수묘 양성 지침 제1호》(1919), 《수묘 양성 지침 제1·2호》(1921) 등에도 그의 글이 실려 있다.

6. 관련 시설

국립민속박물관조선민족미술관 소장품을 계승하였다. 아사카와 다쿠미·백건 형제 자료관은 아사카와 형제의 일기, 유품, 도자기 조각 등을 소장하고 있으며, 호쿠토시 다카네정 무라야마기타와리의 "다카네 평생 학습 센터" 내에 위치한다.

7. 대중문화

2012년 아사카와 다쿠미의 일생을 그린 일본 영화 '백자의 사람: 조선의 흙이 되다(일본어: 道〜白磁の人)'가 개봉했다. 에미야 다카유키의 소설 《백자의 사람》이 원작이다. 이 영화는 한일 합작으로 제작되었으며, 타카하시 반메이가 감독을 맡고 요시자와 히사시배수빈이 출연했다. 2022년 3월 16일부터 22일까지는 아사카와 다쿠미에 초점을 맞춘 연극 '백편 츠구츠구'가 역전 극장에서 상연되었다.[2] 이 연극은 사토 신야가 작·연출을 맡았으며, 아날로그 스위치, 기이코, 오노가와 아키라, 아사미 히로시, 사이토 타쿠미가 출연했다.[2]

8. 비판적 시각

참조

[1] 서적 コンサイス日本人名辞典 第5版 株式会社三省堂 2009
[2] 웹사이트 10周年のアナログスイッチが浅川巧に焦点を当てた新作「白片つぐつぐ」 https://natalie.mu/s[...] 2022-03-07
[3] 뉴스 일제시대 한국을 그토록 사랑했던 일본인 아사카와 망우리 묘지엔 아직도 참배객들이 늘어선다는데…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4] 뉴스 삶과 문화/9월 16일-아사카와 형제, 노리타카와 다쿠미 http://news.naver.co[...] 한국일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