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히발데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이히발데역은 독일 베를린-괴를리츠선에 있는 철도역으로, 1874년 슈뫼크비츠 (부데 18)역으로 개통했다. 1898년 현재 위치로 이전하면서 아이히발데-슈뫼크비츠역으로 개칭되었고, 1935년 아이히발데역으로 변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단선으로 운영되다가 1951년 전철화되었으며, 동독 시절에는 검문소 역할을 했다. 2018년부터 접근성 개선 공사가 진행되어 지하도 및 출입구 재건축, 경사로 및 엘리베이터 설치가 이루어졌다. 현재 S46, S8 노선이 운행하며, 그뤼나우역과 초이텐역이 인접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4년 개업한 철도역 - 오사카역
오사카역은 일본 오사카시 기타구에 있는 JR 서일본의 주요 철도역이자 간사이 지역의 중요한 교통 허브로서, 다양한 노선과의 환승이 가능하고 특급 열차가 운행되며 쇼핑, 문화, 여가 시설을 갖춘 복합 시설로 높은 이용객 수를 기록하고 있다. - 1874년 개업한 철도역 - 베를린 반제역
베를린 반제역은 베를린 남서부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S반 노선과 지역 열차가 정차하며, 베를린 장벽 시절 서독과 서베를린을 잇는 통로이자 현재 대중교통 허브 역할을 한다. - 브란덴부르크주의 철도역 - 비르켄베르더역
비르켄베르더역은 1877년에 개업하여 S반과 RB 노선이 정차하며, 2021년부터 역과 승강장 보수 공사가 진행 중인 독일 베를린 북부선에 있는 역이다. - 브란덴부르크주의 철도역 - 오라니엔부르크역
오라니엔부르크역은 독일 브란덴부르크주 오라니엔부르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베를린 북부선 개통과 함께 개업하여 베를린 S반과 장거리 열차가 정차하는 주요 역으로 확장되었으며, 독일 분단 시기에는 동독과 서베를린을 잇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현재 다양한 노선이 운행 중이다. - 베를린 S반역 - 베를린 보타니셔 가르텐역
베를린 보타니셔 가르텐역은 1909년 개업하여 슈테글리츠-젤렌도르프 지역의 주택 건설을 지원하며 지역 교통망의 일부가 된 베를린 S반 철도역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분단 시대를 거쳐 재건을 통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인근 역 및 버스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 베를린 S반역 - 베를린 그라이프스발더 슈트라세역
베를린 그라이프스발더 슈트라세역은 독일 베를린에 있는 S반역으로, 1875년 바이센제역으로 개업하여 역명 변경을 거쳐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으며, S반 노선 S41, S42, S8, S85가 운행하고 베를린 노면전차 M4번 및 버스 158번과 환승 가능하다.
아이히발데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아이히발데역 |
원래 이름 | Bahnhof Eichwalde |
위치 | 독일 브란덴부르크주 다메슈프레발트군 아이히발데 |
노선 | 베를린-괴를리츠선 S반선 |
역 유형 | 통과역 |
운영 정보 | |
관할 | 도이체 반 |
등급 | 5 |
승강장 수 | 1면 2선 |
기술 정보 | |
역 코드 | BEIW |
영업 거리 | 19.0 km |
인접 역 정보 | |
노선 | 베를린 S반 S46 |
이전 역 | 베를린 그뤼나우 (5.5 km) |
다음 역 | 초이텐 (2.7 km) |
노선 정보 (독일 철도 노선표) | |
노선 | 베를린-괴를리츠선 (Region=200-299) |
플랫폼 수 | 2 |
접근성 | 아니요 |
구역 | : Berlin C/5859 |
웹사이트 | www.bahnhof.de |
지도 유형 | Brandenburg#Germany#Europe |
지도 캡션 | 브란덴부르크 내 위치##독일 내 위치##유럽 내 위치 |
2. 역사
베를린-괴를리츠선의 슈뫼크비츠 (부데 18)역으로 1874년 6월 1일에 개통되었다. 1947년 6월 교행 선로가 복구되었고, 1951년 4월 30일에는 전철화가 완료되어 역 서쪽에 지하 보행자 터널을 통한 진입로가 추가되었다. 승강장 높이는 76cm에서 96cm로 높아졌다. 1950년부터 1951년까지 진행된 이 공사는 아이히발데 지역 주민의 모금으로 이루어졌다.
1952년 5월 26일부터 동독에서 서베를린 주민의 동베를린 외부 이동을 통제하면서 아이히발데역은 검문 기능을 수행했다. 1970년대에는 역 보수공사가 진행되어 과거 건축부 일부가 덮였다. 2018년에는 접근성 개선 공사가 시작되었으며,[4] 2023년 12월 1일 지하도 공사와 경사로 설치가 완료되었다.[6]
2. 1. 초기 역사 (1874년 ~ 1945년)
베를린-괴를리츠선의 슈뫼크비츠 (부데 18)역으로 1874년 6월 1일에 개통되었다. 개통 당시 역사는 현재 위치에서 약 150m 북쪽에 있었으며, 상대식 승강장 2면이 설치되었다. 1898년 6월 1일에 현재 위치로 이설되었고 아이히발데슈뫼크비츠(Eichwalde-Schmöckwitz)역으로 개칭되었다. 1934년에는 증기 기관차 견인 열차가 30분 간격으로 정차했다. 1935년에는 아이히발데 (텔토군)(Eichwalde (Kreis Teltow))역으로 개칭되었다.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복선 선로의 한 쪽이 철거되었다. 1945년 6월 21일에는 단선으로 교외선 영업이 재개되었다.
2. 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5년 ~ 현재)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복선 선로의 한 쪽이 철거되었다. 1945년 6월 21일에는 단선으로 교외선 영업이 재개되었고, 1947년 6월에는 교행 선로가 다시 설치되었다. 1951년 4월 30일에는 전철화가 완료되었고, 지하 보행자 터널이 연장되어 역 서쪽에서의 진입로가 추가되었다. 승강장 높이 역시 76 cm에서 96 cm로 높아졌다. 완공식은 다음 날인 5월 1일에 진행되었다. 1950년부터 1951년까지 진행된 공사는 아이히발데 지역 주민의 모금으로 재정을 확보했다.1952년 5월 26일부터 동독에서 서베를린 주민이 동베를린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면서 아이히발데역은 검문 기능을 수행하게 되었다. 검문 수행을 위하여 S반 정차 시간이 6분으로 증가했다. 1953년 5월에는 부역명인 텔토군(Kreis Teltow)이 제거되었고 단순히 아이히발데역으로 개칭되었다. 1970년대에 역 보수공사를 진행하면서 과거 건축부의 일부를 덮어씌웠다. 1989년 여름에는 승강장 지붕 보수공사가 진행되었고, 지붕 지지대 붕괴로 인하여 승강장 지붕이 94 m에서 89 m로 단축되었다.
2018년에는 접근성 개선 공사가 시작되었다. 역 지하도 및 출입구가 재건축되며, 경사로 및 엘리베이터가 설치될 예정이다. 원래 계획으로는 2019년 10월에 완공될 예정이었다.[4] 2021년에는 2022년 2월까지로 완공이 지연되었다.[5] 2023년 12월 1일에는 지하도 공사와 경사로 설치가 완료되었다.[6] 엘리베이터 공사는 2024년 11월에 완공될 예정이다.
3. 역 구조
4. 운행 노선
아이히발데역에서는 베를린 S반 S46, S8 노선이 운행된다. S46 노선은 그뤼나우에서 초이텐을 거쳐 베스트엔트 및 쾨니히스 부스터하우젠 방면으로 운행하며, S8 노선도 그뤼나우에서 초이텐을 거쳐 비르켄베르더 및 빌다우 방면으로 운행한다.[1]
4. 1. S46 노선
4. 2. S8 노선
베를린 S반 S8 노선은 그뤼나우에서 초이텐을 거쳐 비르켄베르더 방면 및 빌다우 방면으로 운행한다.5. 인접역
(베스트엔트 방면)
(쾨니히스 부스터하우젠 방면)
(비르켄베르더 방면)
(빌다우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