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은 경상북도 안동시 북문동 태사묘에 소장된 유물들의 묶음이다. 1967년 6월 23일에 지정되었으며, 주칠탁잔, 고견포, 관, 리, 포선, 동인, 은구유개합, 옥관자, 혁과대, 교지, 동시저 등 12점의 유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북도의 보물 - 봉화 한수정
봉화 한수정은 조선 선조 때 권래가 옛 거연헌 터에 세운 T자형 평면과 팔작지붕의 독특한 건축 양식을 지닌 정자로, 맑은 정신으로 공부하는 곳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주변 조경과 함께 안동 권씨 가문의 건축 및 조경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서 보물로 지정되었다. - 경상북도의 보물 - 안동 임청각
안동 임청각은 조선 시대 이명이 지은 99칸 규모의 고택으로, 독립운동가를 다수 배출한 역사적인 장소이며, 현재 복원 중인 한국 전통 건축의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 안동시의 문화유산 - 안동소주
안동소주는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전통 증류주로, 조옥화, 박재서 두 명인의 제조 방식이 있으며, 높은 도수와 깊은 풍미, 숙취가 적은 특징을 가지며, 신라 시대 기원설과 원나라 침입 관련설이 있고, 주세법 개정으로 생산 중단 후 무형문화재 지정으로 재개되었다. - 안동시의 문화유산 - 징비록
징비록은 류성룡이 임진왜란의 전말과 원인, 자신의 과오 등을 기록하여 반성하고 후대에 같은 전란을 경계하고자 한 책으로, 임진왜란 전모를 기록한 귀중한 사료이다.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 |
영문명 | Andong Tasamyo Samgongsin Yumul Ilgwal |
![]() | |
종류 | 보물 |
지정 번호 | 451 |
지정일 | 1967년 6월 23일 |
시대 | 고려 시대 |
수량 | 12건 일괄 |
소유자 | 권재영 |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북문동 24-1번지 태사묘 |
문화재청 ID | 12,04510000,37 |
2. 역사
태사묘는 조선 중종 37년(1542)에 건립되었으나 한국 전쟁 때 소실되어 1958년에 복원되었다. 현재 태사묘 보물각에는 총 12종 22점에 달하는 유물들이 보관되어 있다.
유물에는 붉은 칠을 한 잔, 꽃무늬 비단, 검은색 관모, 가죽신, 비단 부채, 구리 육면체 도장, 놋쇠 뚜껑 합, 옥 관자, 허리띠, 공민왕 친필 추정 교지, 숟가락과 젓가락 등이 있다.
이 유물들은 삼공신의 것이라고는 하지만 누구의 것인지 분별하기 힘들며, 공민왕 친필 추정 교지와 숟가락 등은 고려 후기의 것으로 고려 초기 유물과 섞여 있다. 태사묘 유물들은 고려시대 관제와 복식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2. 1. 건립 배경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은 고려 태조 왕건이 안동에서 후백제의 견훤을 토벌할 때 활약한 공로로 대광태사란 벼슬을 받은 권행, 김선평, 장정필 3인의 위패가 있는 사당인 태사묘의 유물들이다.2. 2. 한국전쟁과 복원
안동 태사묘는 조선 중종 37년(1542)에 세워졌으나, 한국 전쟁 때 불에 타 1958년에 다시 복원되었다.3. 유물 목록
안동 태사묘에는 총 12종 22점에 달하는 유물들이 보물각에 보관되어 있다.
번호 | 사진 | 명칭 | 소재지 | 관리자 (단체) | 지정일 |
451-1호 | 안동태사묘삼공신유물-주칠탁잔 (安東太師廟三功臣遺物-朱漆托盞) | 경북 안동시 북문동 24-1 태사묘 | 태사묘관리위원회 | 1967년 6월 23일 | |
---|---|---|---|---|---|
451-2호 | 안동태사묘삼공신유물-고견포 (安東太師廟三功臣遺物-古絹布) | 경북 안동시 북문동 24-1 태사묘 | 태사묘관리위원회 | 1967년 6월 23일 | |
451-3호 |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고견포 (安東 太師廟 三功臣 遺物 一括-古絹布) | 경북 안동시 북문동 24-1 태사묘 | 태사묘관리위원회 | 1967년 6월 23일 | |
451-4호 |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관 (安東 太師廟 三功臣 遺物 一括-冠) | 경북 안동시 북문동 24-1 태사묘 | 태사묘관리위원회 | 1967년 6월 23일 | |
451-5호 |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리 (安東 太師廟 三功臣 遺物 一括-履) | 경북 안동시 북문동 24-1 태사묘 | 태사묘관리위원회 | 1967년 6월 23일 | |
451-6호 |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포선 (安東 太師廟 三功臣 遺物 一括-布扇) | 경북 안동시 북문동 24-1 태사묘 | 태사묘관리위원회 | 1967년 6월 23일 | |
451-7호 |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동인 (安東 太師廟 三功臣 遺物 一括-銅印) | 경북 안동시 북문동 24-1 태사묘 | 태사묘관리위원회 | 1967년 6월 23일 | |
451-8호 |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은구유개합 (安東 太師廟 三功臣 遺物 一括-銀구鍮蓋盒) | 경북 안동시 북문동 24-1 태사묘 | 태사묘관리위원회 | 1967년 6월 23일 | |
451-9호 |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옥관자 (安東 太師廟 三功臣 遺物 一括-玉貫子) | 경북 안동시 북문동 24-1 태사묘 | 태사묘관리위원회 | 1967년 6월 23일 | |
451-10호 | 안동태사묘삼공신유물-혁과대 (安東太師廟三功臣遺物-革銙帶) | 경북 안동시 북문동 24-1 태사묘 | 태사묘관리위원회 | 1967년 6월 23일 | |
451-11호 |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교지 (安東 太師廟 三功臣 遺物 一括-敎旨) | 경북 안동시 북문동 24-1 태사묘 | 태사묘관리위원회 | 1967년 6월 23일 | |
451-12호 |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동시저 (安東 太師廟 三功臣 遺物 一括-銅匙箸) | 경북 안동시 북문동 24-1 태사묘 | 태사묘관리위원회 | 1967년 6월 23일 |
3. 1. 주요 유물
안동 태사묘에 보관되어 있는 유물에는 붉은 칠을 한 잔 1개, 꽃무늬를 수 놓은 비단 1점, 수는 없으나 꽃무늬 장식이 있는 비단 6점, 검은색 관모 1개, 목이 긴 가죽신발 1켤레, 비단 천으로 만든 부채 1개, 구리로 만든 육면체 도장 2개, 놋쇠로 만든 뚜껑이 달린 합 1개, 옥으로 만든 관자 1개, 손상이 심한 허리띠 4개, 공민왕의 친필로 보이는 교지 1개, 동으로 만든 숟가락 1개와 젓가락 3개 등이 있다.이 유물들은 고려 태조 왕건이 안동에서 후백제의 견훤을 토벌할 때 공을 세워 대광태사 벼슬을 받은 권행, 김선평, 장정필 3공신의 것이라고는 하지만 누구의 것인지 분별하기 힘들다. 또한 공민왕의 친필로 쓰여진 교지와 숟가락 등은 고려 후기의 것으로 고려 초기의 것과 상당수 섞여 있다. 이 유물들은 고려시대 관제와 복식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번호 | 사진 | 명칭 | 소재지 | 관리자 (단체) | 지정일 | 참조 |
---|---|---|---|---|---|---|
451-1호 | 안동태사묘삼공신유물-주칠탁잔 (安東太師廟三功臣遺物-朱漆托盞) | 경북 안동시 북문동 24-1 태사묘 | 태사묘관리위원회 | 1967년 6월 23일 | ||
451-2호 | 안동태사묘삼공신유물-고견포 (安東太師廟三功臣遺物-古絹布) | 경북 안동시 북문동 24-1 태사묘 | 태사묘관리위원회 | 1967년 6월 23일 | ||
451-3호 |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고견포 (安東 太師廟 三功臣 遺物 一括-古絹布) | 경북 안동시 북문동 24-1 태사묘 | 태사묘관리위원회 | 1967년 6월 23일 | ||
451-4호 |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관 (安東 太師廟 三功臣 遺物 一括-冠) | 경북 안동시 북문동 24-1 태사묘 | 태사묘관리위원회 | 1967년 6월 23일 | ||
451-5호 |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리 (安東 太師廟 三功臣 遺物 一括-履) | 경북 안동시 북문동 24-1 태사묘 | 태사묘관리위원회 | 1967년 6월 23일 | ||
451-6호 |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포선 (安東 太師廟 三功臣 遺物 一括-布扇) | 경북 안동시 북문동 24-1 태사묘 | 태사묘관리위원회 | 1967년 6월 23일 | ||
451-7호 |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동인 (安東 太師廟 三功臣 遺物 一括-銅印) | 경북 안동시 북문동 24-1 태사묘 | 태사묘관리위원회 | 1967년 6월 23일 | ||
451-8호 |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은구유개합 (安東 太師廟 三功臣 遺物 一括-銀구鍮蓋盒) | 경북 안동시 북문동 24-1 태사묘 | 태사묘관리위원회 | 1967년 6월 23일 | ||
451-9호 |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옥관자 (安東 太師廟 三功臣 遺物 一括-玉貫子) | 경북 안동시 북문동 24-1 태사묘 | 태사묘관리위원회 | 1967년 6월 23일 | ||
451-10호 | 안동태사묘삼공신유물-혁과대 (安東太師廟三功臣遺物-革銙帶) | 경북 안동시 북문동 24-1 태사묘 | 태사묘관리위원회 | 1967년 6월 23일 | ||
451-11호 |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교지 (安東 太師廟 三功臣 遺物 一括-敎旨) | 경북 안동시 북문동 24-1 태사묘 | 태사묘관리위원회 | 1967년 6월 23일 | ||
451-12호 |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동시저 (安東 太師廟 三功臣 遺物 一括-銅匙箸) | 경북 안동시 북문동 24-1 태사묘 | 태사묘관리위원회 | 1967년 6월 23일 |
4. 의의와 과제
이 유물들은 삼공신의 것이라고는 하지만 누구의 것인지 분별하기 힘들며, 또한 공민왕의 친필로 쓰여진 교지와 숟가락 등은 고려 후기의 것으로 고려 초기의 것과 상당수 섞여 있다. 이 사당의 유물들은 고려시대 관제와 복식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