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d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d는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A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시선 속도법을 통해 발견되었다. 1999년 샌프란시스코 주립대와 하버드-스미소니언 천체물리학 센터의 연구를 통해 존재가 확인되었으며,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b, c와 함께 3개의 행성으로 구성된 항성계의 일부이다. 이심률이 큰 궤도를 가지며, 질량은 목성 질량의 약 10.25배이다. 슈퍼 목성형 가스 행성으로, 표면 온도는 약 218K이며, 모항성의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 내에 위치하여 위성이 존재할 경우 생명체 거주 가능성이 제기된다. 2015년 국제 천문 연맹에 의해 "Majriti"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드로메다자리 입실론 -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c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c는 F형 항성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A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시선속도법으로 발견되었으며 큰 이심률의 궤도를 가지고, 질량이 커 가스 행성으로 추정된다.
  • 안드로메다자리 입실론 -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b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b는 1997년 발견된 외계 행성으로,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A를 4.6일 주기로 공전하며, 목성보다 약간 작은 질량을 가진 가스 행성이다.
  • 1999년 발견한 외계 행성 -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c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c는 F형 항성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A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시선속도법으로 발견되었으며 큰 이심률의 궤도를 가지고, 질량이 커 가스 행성으로 추정된다.
  • 1999년 발견한 외계 행성 - HD 210277 b
  • 골디락스 존의 목성형 행성 - HD 28185 b
    HD 28185 b는 목성 질량의 5.72배인 외계 행성으로, 1.04년의 공전 주기를 가지며, 모항성의 생물권 내에 위치하여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 골디락스 존의 목성형 행성 - 케플러-16b
    케플러-16b는 케플러-16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두 개의 항성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주연성 행성이며,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 내에 있는 위성을 거느릴 가능성이 제기된다.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d
명칭
이름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d
로마자 표기Andeuromeda-jari Upsillon d
다른 이름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성 Ad
안드로메다자리 50번성 d
Majriti (마지리티)
Titawin d (티타윈 d)
HD 9826 d
글리제 61 Ad
HIP 7513 d
HR 458 d
SAO 37362 d
BD+40 332 d
IRAS 01338+4109 d
TYC 2822-02210-1 d
2MASS J01364784+4124200 d
WDS J01368+4124 A d
WISE J013647.70+412415.5 d
관측 정보
별자리안드로메다자리
거리43.7 광년 (13.4 파섹)
물리적 특징
질량10.25 ± 3.3 목성 질량
반지름~1.02 목성 반지름
궤도 요소
모항성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A
긴반지름~380 기가미터
원일점~478 기가미터
근일점~282 기가미터
이심률0.299 ± 0.072
공전 주기1,276.46 ± 0.57 일 (~3.49626 년)
궤도 경사23.758 ± 1.316°
승교점 경도4.073 ± 3.301°
근점 통과 시간2,450,059 ± 3.495
근점 인수252.991 ± 1.311°
준진폭68.14 ± 0.45
발견
발견자버틀러, 마시 외
발견 위치캘리포니아 카네기 행성 탐색
발견일1999년 4월 15일
발견 방법시선 속도법
기타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d의 위성에 물과 구름이 존재한다는 가정 하에 그려진 상상도 (오른쪽 뒤 천체가 행성).

2. 발견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d는 다른 많은 외계 행성들과 마찬가지로 시선속도법을 이용하여 발견되었다. 어머니 항성인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A의 스펙트럼 상에서 나타나는 도플러 효과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그 존재를 확인하였다.[20] 발견 당시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A에는 이미 외계 행성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b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1999년에 이르러 b의 존재만으로는 광도곡선을 설명할 수 없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1999년 샌프란시스코 주립대 및 하버드-스미소니언 천체물리학 센터의 과학자들은 독립적인 연구를 통해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항성계에 3개의 행성이 존재한다는 결론을 내렸다.[17] 기존의 b에 더하여 새롭게 발견된 두 행성은 각각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c와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d로 명명되었다.

3. 궤도 및 질량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d는 이심률이 매우 큰 궤도를 가지고 있다. 이는 태양계의 어떤 행성보다도 큰 값이며, 심지어 명왕성보다도 크다.[10][21] 이 행성의 공전 궤도는 어머니 항성의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 내에 위치한다.[22] 궤도가 크게 찌그러진 이유로는, 지금은 항성계 밖으로 튕겨져 나간 가상 행성과의 중력 섭동이 제기되고 있다.[11][12][23]

시선속도법으로 발견된 행성의 특성상, 초기에는 질량의 최솟값만 알 수 있었다. d의 경우 이 값은 목성 질량의 3.93배였다. 측정천문학적 방법을 통해 추정된 궤도 경사각은 155.5도였으나,[24] 이는 상한선에 불과했다. 허블 우주 망원경과 지상 망원경의 관측 데이터를 결합한 결과, 실제 궤도 경사각은 23.8°이며, 실제 질량은 목성 질량의 약 10.25배로 밝혀졌다.[2]

4. 특징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d는 목성보다 질량이 큰 슈퍼 목성형 가스 행성으로, 딱딱한 표면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표면 근처에서의 중력은 지구의 10배 이상일 것으로 보인다. 간접적인 방법으로 발견되었기 때문에, 실제 조성 물질, 표면 온도, 반지름 등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d의 상상도


이 행성의 온도는 약 218,000이며,[7] 추정 반지름은 약 1.02 목성 반지름이다. 행성의 조성 물질이 목성과 유사하고 화학적 균형 상태에 있다고 가정하면, 상층부 대기에는 물의 구름이 존재할 수 있다.[25]

이 행성은 시선속도법을 통해 발견되었으며, 이 방법으로 알 수 있는 행성의 질량은 최솟값 뿐이다. d의 경우 이 값은 목성질량의 3.93배이다. 측정천문학적 방법을 통해 잰 궤도경사각은 155.5도이며,[24] 만약 이 가정이 사실이라면, d의 질량은 목성의 9 ~ 10배 수준일 것이다.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d는 어머니 항성의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 내를 공전하고 있으며, 지구와 같은 액체 이 존재하고 지구가 태양으로부터 받는 양과 비슷한 자외선 복사를 받는다.[22] 만약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d 주위에 지구와 비슷한 질량의 암석 위성이 존재한다면, 그 위성에는 외계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도 있다.

4. 1. 모항성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d는 F형 별인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A를 공전한다.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A의 질량은 약 1.27 태양 질량, 반지름은 약 1.48 태양 반지름이다. 표면 온도는 6,074 K이며, 나이는 약 31억 2천만 년으로 추정된다. 이에 비해 태양은 약 46억 년 되었고[8] 온도는 5,778 K이다.[9]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A는 약간 금속이 풍부한 별로, 금속성분 ([Fe/H])은 0.09로 태양의 약 123% 수준이다. 겉보기 등급은 4.09로, 육안으로 관측 가능하다. 광도는 태양의 3.57배이다.

5. 생명체 거주 가능성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d는 가스 행성일 가능성이 높아 생명체가 표면에 존재하기는 어렵지만, 위성이 존재한다면 생명체 거주 가능성이 제기된다.[13] 이 행성은 어머니 항성인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A의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 내에 위치하여, 지구와 비슷한 환경의 위성이 존재한다면 액체 상태의 이 존재할 수 있다.[22]

가스 행성을 공전하는 잠재적으로 생명 가능한 외계 위성에 대한 예술가의 묘사


안정적인 궤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위성의 공전 주기 ''P''s와 모행성의 공전 주기 ''P''p의 비율이 < 1/9여야 한다.[14][15] 예를 들어 행성이 별을 공전하는 데 90일이 걸린다면, 위성의 최대 안정 궤도는 10일 미만이다.[14][15]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45~60일 미만의 공전 주기를 가진 위성은 태양과 같은 별로부터 1 AU 떨어진 곳을 공전하는 거대한 가스 행성 또는 갈색 왜성에 안전하게 묶여 있을 수 있다.[16]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d의 경우, 안정적인 궤도를 가지려면 위성의 공전 주기가 120일(약 4개월)을 넘지 않아야 한다.

6. 명칭

2014년 7월 국제 천문 연맹은 특정 외계 행성과 그 모항성에 고유한 이름을 부여하는 절차인 NameExoWorlds를 시작했다.[3] 이 절차에는 대중의 후보 추천과 투표가 포함되었다.[4] 2015년 12월, 국제 천문 연맹은 이 행성의 이름이 "Majriti"로 명명될 것이라고 발표했다.[5] 이 이름은 모로코의 베가 천문 클럽이 제출했으며, 10세기 과학자 마슬라마 알-마지리티를 기리는 이름이다.[6]

참조

[1] 논문 A new interferometric study of four exoplanet host stars : θ Cygni, 14 Andromedae, υ Andromedae and 42 Draconis http://www.aanda.org[...] 2012
[2] 논문 New Observational Constraints on the ''υ'' Andromedae System with Data from the ''Hubble Space Telescope'' and ''Hobby Eberly Telescope'' http://hubblesite.or[...] 2010
[3] 웹사이트 NameExoWorlds: An IAU Worldwide Contest to Name Exoplanets and their Host Stars http://www.iau.org/n[...] IAU.org 2014-07-09
[4] 웹사이트 NameExoWorlds The Process http://nameexoworlds[...] 2015-09-05
[5] 간행물 Final Results of NameExoWorlds Public Vote Released http://www.iau.org/n[...]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5-12-15
[6] 웹사이트 NameExoWorlds The Approved Names http://nameexoworlds[...] 2016-01-17
[7] 웹사이트 ups And d (F-Warm Jovian) http://www.hpcf.upr.[...] 2014-05
[8] 웹사이트 How Old is the Sun? http://www.universet[...] Universe Today 2008-09-16
[9] 웹사이트 Temperature of the Sun http://www.universet[...] Universe Today 2008-09-15
[10] 논문 Catalog of Nearby Exoplanets http://exoplanets.or[...] 2006
[11] 논문 Planet-planet scattering in the upsilon Andromedae system 2005
[12] 논문 Extrasolar planet interactions 2008
[13] 논문 Ultraviolet Radiation Constraints around the Circumstellar Habitable Zones 2006
[14] 논문 Transit timing effects due to an exomoon
[15] 논문 Exomoon habitability constrained by energy flux and orbital stability
[16] 웹사이트 Habitable Moons:What does it take for a moon — or any world — to support life? http://www.skyandtel[...] SkyandTelescope.com 2011-07-11
[17] 논문 Evidence for Multiple Companions to υ Andromedae 1999
[18] 논문 Preliminary Astrometric Masses for Proposed Extrasolar Planetary Companions http://www.iop.org/E[...] 2001
[19] 논문 Screening the Hipparcos-based astrometric orbits of sub-stellar objects 2001
[20] 저널 Evidence for Multiple Companions to υ Andromedae http://www.journals.[...]
[21] 저널 Catalog of Nearby Exoplanets http://www.journals.[...]
[22] 저널 Ultraviolet Radiation Constraints around the Circumstellar Habitable Zones http://adsabs.harvar[...]
[23] 저널 Planet-planet scattering in the upsilon Andromedae system http://simbad.u-stra[...]
[24] 저널 Preliminary Astrometric Masses for Proposed Extrasolar Planetary Companions http://www.journals.[...] 2008-07-17
[25] 저널 Theoretical Spectra and Atmospheres of Extrasolar Giant Planets http://adsabs.harvar[...]
[26] 저널 Earth-like worlds on eccentric orbits: excursions beyond the habitable zone http://journals.camb[...]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