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변군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변군은 대한민국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현재는 북한의 강원도에 속해 있다. 역사, 지리, 행정 구역,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인물, 남북 관계 등의 정보를 담고 있다. 특히, 일제강점기 행정 구역 개편에 대한 내용과 현재의 행정 구역 및 면적, 이(里)의 상세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경남도의 행정 구역 (대한민국) - 함경남도 (대한민국)
함경남도는 대한민국 헌법상 자국 영토로 간주되는 한반도 동북부의 도이며, 해방 당시 3개의 시와 16개의 군으로 구성되었고 도청은 함흥시에 위치해 있다. - 함경남도의 행정 구역 (대한민국) - 혜산군 (대한민국)
혜산군은 1개의 읍과 5개의 면으로 구성된 행정 구역으로, 각 읍과 면은 여러 개의 리를 관할한다. - 대한민국의 광역 행정 구역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광역 행정 구역 - 노원구
노원구는 서울특별시 북동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주변 도시와 접하며 갈대밭 또는 여관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불리고, 수락산, 불암산 등의 자연환경과 여러 전철 노선 및 교육기관이 위치해 있다.
안변군 (대한민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안변군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함경남도 |
유형 | 군 |
약칭 | 안변 |
로마자 표기 | Anbyeon-gun |
행정 | |
지방 관청 | 이북5도위원회 |
군수 | 최상보 |
면 | 7 |
지리 | |
면적 | 1,052 |
해발 | 불명 |
기후 | 불명 |
시간대 | 한국 표준시 |
UTC | +09:00 |
인구 | |
인구 | 불명 |
인구 연도 | 불명 |
인구 월 | 불명 |
세대 | 불명 |
세대 연도 | 불명 |
세대 월 | 불명 |
인구 밀도 | 불명 |
인구 밀도 연도 | 불명 |
인구 밀도 월 | 불명 |
기타 | |
공용어 | 한국어 |
지역어 | 동북 방언 |
2. 역사
2. 1. 고대
2. 2. 고려 시대
2. 3. 조선 시대
2. 4. 일제 강점기
2. 5. 해방 이후
3. 지리
3. 1. 위치 및 지형
3. 2. 기후
3. 3. 자연환경
4. 행정 구역
wikitable
읍면 | 면적(km2) | 이(里) 숫자 | 이(里) |
---|---|---|---|
안변면 | 65.9 | 19 | 문내(門內) 홍문(紅門) 옥(玉) 비운(飛雲) 과남(果南) 학성(鶴城) 미현(美峴) 조전(棗田) 상화산(上花山) 중화산(中花山) 하화산(下花山) 두득(斗得) 외석교(外石橋) 문외(門外) 영춘(永春) 내석교(內石橋) 탑(塔) 곽하(郭下) 송학(松鶴) |
배화면 | 43.1 | 24 | 해천(蟹川) 풍하(豊下) 한사(閑沙) 방화(訪花) 천양(泉陽) 수려(水麗) 용연(龍淵) 방교(方橋) 동대(東坮) 낙천(樂川) 문봉(文峰) 풍상(豊上) 수악(秀嶽) 옥천(玉泉) 내원(內院) 송상(松上) 어은(漁隱) 송강(松岡) 신(新) 지경(地境) 수항(水項) 신기(新基) 상사고(上沙皐) 하사고(下沙皐) |
서곡면 | 135.3 | 34 | 성우(城隅) 하일(下一) 상일(上一) 수성(水城) 능(陵) 창(倉) 중(中) 한천(漢川) 하남(下南) 포(浦) 동산(東山) 남평(南坪) 중남(中南) 상(上) 광자(光自) 하율(下栗) 상율(上栗) 용평(龍坪) 석방(石方) 용상(龍上) 용현(龍峴) 계산(桂山) 계자(桂子) 후(後) 마우(馬牛) 수암(水巖) 오(梧) 사(寺) 보성(寶城) 주암(珠巖) 대대(大垈) 옹점(瓮店) 학익(鶴翼) 상남(上南) |
석왕사면 | 155.6 | 36 | 오산(梧山) 인호(寅湖) 주음(周音) 하룡운(下龍雲) 상룡운(上龍雲) 송하(松下) 금(錦) 괴항(槐巷) 구령(九嶺) 고현(古峴) 남산석(南山釋) 신청(新淸) 사기(沙器) 탑성(塔城) 궐(蕨) 능화(陵化) 노복(蘆福) 근외(芹外) 풍동(豊洞) 하감(下甘) 상감(上甘) 신월(新月) 인두문(引豆門) 송촌(松村) 통천(通川) 후창(後昌) 상탑(上塔) 옥정(玉井) 상신흥(上新興) 장평(場坪) 동상(東上) 동하(東下) 서상(西上) 상사(上寺) 하사(下寺) 구용지원(舊龍池院) |
신고산면 | 356.1 | 42 | 신대(新垈) 죽근(竹根) 학소(鶴巢) 번지(蕃之) 산양(山陽) 종자(種子) 복곡(洑谷) 창평(昌坪) 내평(內坪) 상수청(上水靑) 하수청(下水靑) 금기(琴基) 탄부(炭釜) 신점(新店) 세포(細浦) 하주천(下舟川) 고명(古明) 상주천(上舟川) 서(鋤) 석교(石橋) 재천(載川) 삼방(三防) 청학(靑鶴) 상사현(上沙峴) 하사현(下沙峴) 강성(江城) 위북(衛北) 하부평(下富坪) 상부평(上富坪) 용지원(龍池院) 사(砂) 하가동(下佳洞) 상가동(上佳洞) 외평(外坪) 성북(星北) 성남(星南) 구미(九味) 위남(衛南) 위동(衛東) 하일온(下日溫) 상일온(上日溫) 고산(高山) |
신모면 | 213.5 | 34 | 김천(金泉) 내원산(內元山) 하어지(下漁池) 양지(陽址) 두남(斗南) 신흥(新興) 율(栗) 중어지(中漁池) 상어지(上漁池) 효자(孝子) 공곡(公谷) 석변(石邊) 수남(水南) 신성(新城) 신동(新洞) 이원(利原) 별산하(別山下) 신평(新坪) 양명(陽明) 모창(茅倉) 공수전(公須田) 문곡(文谷) 덕산(德山) 사근(沙根) 구절(九節) 판기(板機) 하다전(下多田) 신곤(新坤) 상다전(上多田) 하령(下靈) 상령(上靈) 차산(遮山) 인악(仁岳) 천내(泉內) |
안도면 | 82.8 | 14 | 중평(中坪) 비산(比山) 어운(於雲) 대와(大瓦) 하와(下瓦) 상덕(上德) 미덕(味德) 용운(龍雲) 장현(長峴) 가평(柯坪) 오계(梧溪) 월포(月浦) 상마(桑麻) 낭성(浪城) |
4. 1. 현재 행정 구역
읍면 | 면적(km2) | 이(里) 숫자 | 이(里) |
---|---|---|---|
안변면(安邊面) | 65.9 | 19 | 문내(門內) 홍문(紅門) 옥(玉) 비운(飛雲) 과남(果南) 학성(鶴城) 미현(美峴) 조전(棗田) 상화산(上花山) 중화산(中花山) 하화산(下花山) 두득(斗得) 외석교(外石橋) 문외(門外) 영춘(永春) 내석교(內石橋) 탑(塔) 곽하(郭下) 송학(松鶴) |
배화면(培花面) | 43.1 | 24 | 해천(蟹川) 풍하(豊下) 한사(閑沙) 방화(訪花) 천양(泉陽) 수려(水麗) 용연(龍淵) 방교(方橋) 동대(東坮) 낙천(樂川) 문봉(文峰) 풍상(豊上) 수악(秀嶽) 옥천(玉泉) 내원(內院) 송상(松上) 어은(漁隱) 송강(松岡) 신(新) 지경(地境) 수항(水項) 신기(新基) 상사고(上沙皐) 하사고(下沙皐) |
서곡면(瑞谷面) | 135.3 | 34 | 성우(城隅) 하일(下一) 상일(上一) 수성(水城) 능(陵) 창(倉) 중(中) 한천(漢川) 하남(下南) 포(浦) 동산(東山) 남평(南坪) 중남(中南) 상(上) 광자(光自) 하율(下栗) 상율(上栗) 용평(龍坪) 석방(石方) 용상(龍上) 용현(龍峴) 계산(桂山) 계자(桂子) 후(後) 마우(馬牛) 수암(水巖) 오(梧) 사(寺) 보성(寶城) 주암(珠巖) 대대(大垈) 옹점(瓮店) 학익(鶴翼) 상남(上南) |
석왕사면(釋王寺面) | 155.6 | 36 | 오산(梧山) 인호(寅湖) 주음(周音) 하룡운(下龍雲) 상룡운(上龍雲) 송하(松下) 금(錦) 괴항(槐巷) 구령(九嶺) 고현(古峴) 남산석(南山釋) 신청(新淸) 사기(沙器) 탑성(塔城) 궐(蕨) 능화(陵化) 노복(蘆福) 근외(芹外) 풍동(豊洞) 하감(下甘) 상감(上甘) 신월(新月) 인두문(引豆門) 송촌(松村) 통천(通川) 후창(後昌) 상탑(上塔) 옥정(玉井) 상신흥(上新興) 장평(場坪) 동상(東上) 동하(東下) 서상(西上) 상사(上寺) 하사(下寺) 구용지원(舊龍池院) |
신고산면(新高山面) | 356.1 | 42 | 신대(新垈) 죽근(竹根) 학소(鶴巢) 번지(蕃之) 산양(山陽) 종자(種子) 복곡(洑谷) 창평(昌坪) 내평(內坪) 상수청(上水靑) 하수청(下水靑) 금기(琴基) 탄부(炭釜) 신점(新店) 세포(細浦) 하주천(下舟川) 고명(古明) 상주천(上舟川) 서(鋤) 석교(石橋) 재천(載川) 삼방(三防) 청학(靑鶴) 상사현(上沙峴) 하사현(下沙峴) 강성(江城) 위북(衛北) 하부평(下富坪) 상부평(上富坪) 용지원(龍池院) 사(砂) 하가동(下佳洞) 상가동(上佳洞) 외평(外坪) 성북(星北) 성남(星南) 구미(九味) 위남(衛南) 위동(衛東) 하일온(下日溫) 상일온(上日溫) 고산(高山) |
신모면(新茅面) | 213.5 | 34 | 김천(金泉) 내원산(內元山) 하어지(下漁池) 양지(陽址) 두남(斗南) 신흥(新興) 율(栗) 중어지(中漁池) 상어지(上漁池) 효자(孝子) 공곡(公谷) 석변(石邊) 수남(水南) 신성(新城) 신동(新洞) 이원(利原) 별산하(別山下) 신평(新坪) 양명(陽明) 모창(茅倉) 공수전(公須田) 문곡(文谷) 덕산(德山) 사근(沙根) 구절(九節) 판기(板機) 하다전(下多田) 신곤(新坤) 상다전(上多田) 하령(下靈) 상령(上靈) 차산(遮山) 인악(仁岳) 천내(泉內) |
안도면(安道面) | 82.8 | 14 | 중평(中坪) 비산(比山) 어운(於雲) 대와(大瓦) 하와(下瓦) 상덕(上德) 미덕(味德) 용운(龍雲) 장현(長峴) 가평(柯坪) 오계(梧溪) 월포(月浦) 상마(桑麻) 낭성(浪城) |
4. 2. 행정 구역 변천사
안변군은 1914년 4월 1일 안변도호부(安邊都護府)를 안변군으로 개칭하고, 도서 지방을 제외한 부내면(府內面)·동면(東面)·내서면(來西面)·외서면(外西面)을 안변면으로, 배화면(培花面)·서곡면(瑞谷面)·석왕사면(釋王寺面)은 그대로 유지하고, 영풍면(永豊面)·고산면(高山面)을 신고산면(新高山面)으로, 현산면(峴山面)·부산면(富山面)을 신모면(新茅面)으로, 천곡면(泉谷面)·도면(道面)을 안도면(安道面)으로 통합하였다.1914년 당시 안변군의 면적은 1,052.3km2, 7면 203개 이(里)로 구성되어 있었다. 각 면의 면적과 관할 이(里)는 다음과 같다.
읍면 | 면적(km2) | 이(里) 숫자 |
---|---|---|
안변면(安邊面) | 65.9 | 19 |
배화면(培花面) | 43.1 | 24 |
서곡면(瑞谷面) | 135.3 | 34 |
석왕사면(釋王寺面) | 155.6 | 36 |
신고산면(新高山面) | 356.1 | 42 |
신모면(新茅面) | 213.5 | 34 |
안도면(安道面) | 82.8 | 14 |
각 면의 관할 이(里) 정보는 다음과 같다.
- 안변면(安邊面) (19개 리): 문내(門內), 홍문(紅門), 옥(玉), 비운(飛雲), 과남(果南), 학성(鶴城), 미현(美峴), 조전(棗田), 상화산(上花山), 중화산(中花山), 하화산(下花山), 두득(斗得), 외석교(外石橋), 문외(門外), 영춘(永春), 내석교(內石橋), 탑(塔), 곽하(郭下), 송학(松鶴)
- 배화면(培花面) (24개 리): 해천(蟹川), 풍하(豊下), 한사(閑沙), 방화(訪花), 천양(泉陽), 수려(水麗), 용연(龍淵), 방교(方橋), 동대(東坮), 낙천(樂川), 문봉(文峰), 풍상(豊上), 수악(秀嶽), 옥천(玉泉), 내원(內院), 송상(松上), 어은(漁隱), 송강(松岡), 신(新), 지경(地境), 수항(水項), 신기(新基), 상사고(上沙皐), 하사고(下沙皐)
- 서곡면(瑞谷面) (34개 리): 성우(城隅), 하일(下一), 상일(上一), 수성(水城), 능(陵), 창(倉), 중(中), 한천(漢川), 하남(下南), 포(浦), 동산(東山), 남평(南坪), 중남(中南), 상(上), 광자(光自), 하율(下栗), 상율(上栗), 용평(龍坪), 석방(石方), 용상(龍上), 용현(龍峴), 계산(桂山), 계자(桂子), 후(後), 마우(馬牛), 수암(水巖), 오(梧), 사(寺), 보성(寶城), 주암(珠巖), 대대(大垈), 옹점(瓮店), 학익(鶴翼), 상남(上南)
- 석왕사면(釋王寺面) (36개 리): 오산(梧山), 인호(寅湖), 주음(周音), 하룡운(下龍雲), 상룡운(上龍雲), 송하(松下), 금(錦), 괴항(槐巷), 구령(九嶺), 고현(古峴), 남산석(南山釋), 신청(新淸), 사기(沙器), 탑성(塔城), 궐(蕨), 능화(陵化), 노복(蘆福), 근외(芹外), 풍동(豊洞), 하감(下甘), 상감(上甘), 신월(新月), 인두문(引豆門), 송촌(松村), 통천(通川), 후창(後昌), 상탑(上塔), 옥정(玉井), 상신흥(上新興), 장평(場坪), 동상(東上), 동하(東下), 서상(西上), 상사(上寺), 하사(下寺), 구용지원(舊龍池院)
- 신고산면(新高山面) (42개 리): 신대(新垈), 죽근(竹根), 학소(鶴巢), 번지(蕃之), 산양(山陽), 종자(種子), 복곡(洑谷), 창평(昌坪), 내평(內坪), 상수청(上水靑), 하수청(下水靑), 금기(琴基), 탄부(炭釜), 신점(新店), 세포(細浦), 하주천(下舟川), 고명(古明), 상주천(上舟川), 서(鋤), 석교(石橋), 재천(載川), 삼방(三防), 청학(靑鶴), 상사현(上沙峴), 하사현(下沙峴), 강성(江城), 위북(衛北), 하부평(下富坪), 상부평(上富坪), 용지원(龍池院), 사(砂), 하가동(下佳洞), 상가동(上佳洞), 외평(外坪), 성북(星北), 성남(星南), 구미(九味), 위남(衛南), 위동(衛東), 하일온(下日溫), 상일온(上日溫), 고산(高山)
- 신모면(新茅面) (34개 리): 김천(金泉), 내원산(內元山), 하어지(下漁池), 양지(陽址), 두남(斗南), 신흥(新興), 율(栗), 중어지(中漁池), 상어지(上漁池), 효자(孝子), 공곡(公谷), 석변(石邊), 수남(水南), 신성(新城), 신동(新洞), 이원(利原), 별산하(別山下), 신평(新坪), 양명(陽明), 모창(茅倉), 공수전(公須田), 문곡(文谷), 덕산(德山), 사근(沙根), 구절(九節), 판기(板機), 하다전(下多田), 신곤(新坤), 상다전(上多田), 하령(下靈), 상령(上靈), 차산(遮山), 인악(仁岳), 천내(泉內)
- 안도면(安道面) (14개 리): 중평(中坪), 비산(比山), 어운(於雲), 대와(大瓦), 하와(下瓦), 상덕(上德), 미덕(味德), 용운(龍雲), 장현(長峴), 가평(柯坪), 오계(梧溪), 월포(月浦), 상마(桑麻), 낭성(浪城)
5. 정치
6. 경제
6. 1. 산업
6. 2. 교통
7. 사회
8. 문화
9. 인물
10. 남북 관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