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수 (디자이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상수는 대한민국의 디자이너로, 한글 타이포그래피 발전에 기여했다. 1952년 충주에서 태어나 홍익대학교에서 응용미술을 전공하고, 금성사 등에서 디자이너로 활동했다. 1985년에는 대표적인 한글 탈네모틀 글꼴인 안상수체를 발표했으며, 이후 이상체, 미르체, 마노체 등의 글꼴을 개발했다. 1988년에는 대한민국 최초의 사이버 카페인 전자카페를 홍대 앞에 열어 컴퓨터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안상수는 AG타이포그라피연구소를 설립하고 파주타이포그라피학교를 통해 디자인 교육에도 힘썼으며, 디자인 관련 저술 활동도 활발히 했다. 1983년에는 '디자인 매거진' 올해의 디자이너상과 한국신문상을 수상했으며, 2007년에는 라이프치히 구텐베르크상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타이포그래퍼 - 류승민 (미술가)
류승민은 글자를 활용한 디자인 작품을 제작하는 미술가이며, 티셔츠 《Shalom》을 디자인하고, 《늘품어린이집》의 디자인을 담당했으며, 방송 출연 및 영상제 참여 등의 활동을 했다. - 대한민국의 그래픽 디자이너 - 민희진
민희진은 SM엔터테인먼트에서 다수 아이돌 그룹의 비주얼 브랜딩을 총괄하며 '콘셉트 장인'으로 불렸고, 이후 하이브 자회사 어도어를 설립하여 뉴진스를 데뷔시켰으나, 하이브와의 경영권 분쟁과 여러 논란 끝에 어도어 대표직에서 해임된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이자 기업인이다. - 대한민국의 그래픽 디자이너 - 조영제 (디자이너)
조영제는 1935년 출생하여 서울대학교 응용미술학과를 졸업하고 모교 교수로 36년간 재직하며 한국 디자인 교육과 발전에 기여했으며, OB맥주 레이블 리뉴얼, 제일모직, 신세계백화점 등의 CI 디자인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1988 서울 올림픽 디자인을 총괄하며 한국 디자인계의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 추계예술대학교 교수 - 서기원 (1930년)
서기원은 1958년 등단한 소설가로서 언론인, 정치인으로도 활동했으며, 경제기획원 대변인, 대통령 공보수석비서관 등의 공직과 서울신문 사장, 한국방송공사 사장 등의 언론계 주요 직책을 역임했고, 《혁명》, 《조선백자 마리아상》 등의 소설을 발표하며 현대문학상, 동인문학상, 한국문학상을 수상했다. - 추계예술대학교 교수 - 박두진
박두진은 일제강점기 안성 출생의 청록파 시인으로, 자연을 소재로 한 서정시와 시대적 저항시를 썼으며, 대학교에서 후학을 양성하고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했고, 후기에는 종교적 성찰과 사회 비판을 담은 작품을 남겼다.
안상수 (디자이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안상수 |
원어 이름 | 安尙秀 |
출생일 | 1952년 |
출생지 | 충청북도 충주 |
직업 | 그래픽 디자이너, 타이포그래퍼, 책 디자이너, 번역가 |
학력 | 홍익대학교 응용미술학과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과거 웹사이트 |
2. 어린 시절 및 교육
안상수는 1952년 충청북도 충주시에서 태어나 1970년 홍익대학교 응용미술학과에 입학하여 디자인을 전공했다. 학창 시절에는 홍대학보사 편집장을 지냈으며 《와우》라는 만화를 연재하기도 했다. 1977년에 대학교를 졸업하고 금성사 디자인실(현 LG전자 디자인연구소)에 입사하였으며 희성산업(현 HS애드)에서 디자이너로 일했다.[5] 1980년대 초반부터 한글 타이포그래피에 관심을 가졌다.[2]
안상수는 1952년 충청북도 충주시에서 태어나 1970년 홍익대학교 응용미술학과에 입학하여 디자인의 길을 걷게 되었다. 1977년 대학교를 졸업하고 금성사 디자인실(현 LG전자 디자인연구소)에 입사하였으며 희성산업(현 HS애드)에서 디자이너로 일했다. 1981년에는 잡지 《꾸밈》에서 아트 편집을 하였으며 종합교양지 《마당》의 창간부터 아트디렉터로 일했고, 1983년에는 《멋》 창간에 참여하고 아트디렉터로 일하였다. 이때 석사과정 중에 한글 타이포그래피 가독성에 대한 연구를 하고 '신문활자의 가독성 연구'로 한국 신문상을 수상하였다. 1983년 12월에는 《월간 디자인》의 올해의 인물로 선정되었다.[5]
1985년에 발표한 '''안상수체'''는 대표적인 한글 탈네모틀 글꼴이다. 안상수체는 닿자, 홀자, 받침의 모양과 크기, 위치가 모두 같게 만들었으며 특히 받침은 홀자의 정중앙 아래에 위치하는 특징이 있고 쌍받침은 오른쪽으로 삐져나가는 등의 특징적 모양새를 가진다. 한글 글꼴로서는 처음으로 가변폭을 적용하였다.
1988년 3월경 안상수는 홍익대학교 앞(속칭 홍대앞)에 금누리(현 국민대학교 교수)와 함께 한국 최초의 사이버 카페인 '''전자카페'''를 열었다.[6] 이곳은 한국 최초로 컴퓨터 문화와 예술적 실험정신이 깃든 공간이었다. 채팅이 가능한 1200bps 모뎀이 설치된 컴퓨터가 있었으며, 당시에는 접하기 힘들었던 애니메이션이나 영화를 상영하는 모임을 개최하기도 하였다. 이곳에서 한국 최초의 통신 동호회 오프라인 미팅인 '''아이볼 미팅'''이 열렸다.[6] 1990년 9월 17일에는 '''통신미술'''이라는 주제로 서울과 로스앤젤레스를 연결하여 실시간 설치미술 등을 선보이는 기획 퍼포먼스를 벌이기도 하였다.[7] 특히 이때 안상수는 미국과 채팅을 하는 중에 창조적이고 개방적인 '''홍대앞'''의 문화에 대해 언급하였다고 한다.[8] 이는 '''홍대앞 문화'''가 시작하는 계기 중 하나가 되었으며, 한국의 통신 동호회 문화가 시작되는 원점이기도 하다.[9]
1985년, 디자인 회사 안그래픽스를 설립했다.[2] 파주타이포그라피학교(PaTI)를 설립하여 대안 디자인 교육을 추구했으며,[3] AG타이포그라피연구소를 설립하여 새로운 서체 디자인과 연구를 진행했다.
안상수는 얀 치홀트와 에밀 루더의 타이포그래피에 관한 중요한 저작들을 한국어로 번역했으며, 여러 디자인 서적을 출판했다.[2]
3. 초기 경력
4. 안상수체와 탈네모틀 글꼴
1991년에는 안그래픽스에서 컴퓨터용 '''안상수체'''를 개발하였다. 이 글꼴은 한글과 컴퓨터에서 개발한 아래한글에 기본 글꼴로 탑재되었다. 이후 이상체, 미르체, 마노체 등의 글꼴을 계속 개발하여 새로운 한글 글꼴 디자인의 지평을 열었다. 또한 당시 컴퓨터 디자인 시대를 맞이하여 한국의 디자인계를 선도한 업적이기도 하다. 안상수체는 《과학동아》의 제호와 청주국제공항에서 사용되었으며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2018년 평창 동계 패럴림픽의 개막식과 폐막식에서도 사용되었다.[2]
1985년, 안상수는 자신의 이름을 딴 첫 번째 서체를 디자인하여 한국어 글꼴에 대한 실험의 길을 열었다. 그는 월간 잡지 마당을 위해 기존 한글 서체의 일반적인 단조로움과 경직성을 극복하기 위해 ''마당'' 서체를 만들었다.
5. 홍대앞 문화와 전자카페
6. 디자인 교육 및 연구 활동
얀 치홀트와 에밀 루더의 타이포그래피 관련 주요 저작들을 한국어로 번역하여 출판하는 등 디자인 서적 출판에도 기여했다.
7. 저술 활동
그가 출판한 서적은 다음과 같다.
8. 기타 경력
9. 수상 경력
- 1983년: ''디자인 매거진'' 올해의 디자이너상[2]
- 한국신문상[2]
- 1998년: ZGRAF 8 그랑프리[2]
- 2007년: 독일 라이프치히 시 구텐베르크상[4]
참조
[1]
웹사이트
AHN SANG-SOO, THE HANGUL TYPOGRAPHER {{!}} ico-D
https://www.ico-d.or[...]
2020-03-27
[2]
웹사이트
Original Creators: Sang-Soo Ahn
2020-04-01
[3]
웹사이트
From the Collection: Ahn Sang Soo and AG Typography Institute
2020-03-27
[4]
서적
Hangeul : Korea's unique alphabet
http://worldcat.org/[...]
[5]
뉴스
《디자인》지가 선정한 <올해의 인물>
http://www.megapass.[...]
디자인하우스
2008-11-22
[6]
문서
http://www.migrant.o[...]
[7]
문서
http://www.nabi.or.k[...]
[8]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artinus.c[...]
2007-04-15
[9]
문서
http://drspark.drea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