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풀장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양풀장역은 1960년대까지 수도권 시민들이 즐겨 찾던 안양유원지의 피서객 편의를 위해 설치된 임시승강장이다. 1935년 안양풀역으로 처음 개업했으나, 1939년 폐지되었고, 1966년 안양풀장역으로 재개업했지만 1969년에 최종 폐역되었다. 안양풀장역은 안양유원지로의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당시 사회, 경제적 상황 변화에 따라 운영이 중단되거나 재개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9년 폐지된 철도역 - 연희역
1930년 경성궤도 용산선 개통으로 영업을 시작한 연희역은 신촌연결선 상에 위치했으나 1939년에 폐지되었으며, 서강역과 신촌역 사이에 있었다. - 1969년 폐지된 철도역 - 평능역
평능역은 1961년 신호소로 영업을 시작하여 묵호항선으로 재편되었으나 1969년에 폐역되었다. - 임시승강장 - 양원역 (봉화)
양원역은 경상북도 봉화군에 위치한 영동선 철도역으로, 지역 주민들의 노력으로 설치된 임시승강장에서 시작하여 백두대간협곡열차 등이 정차하는 지상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마을 이름에서 유래했고, 2021년에는 역 설치 과정을 다룬 영화가 제작되기도 했다. - 임시승강장 - 주례역 (한국철도공사)
1989년 개업 후 2014년 폐지된 주례역은 한국철도공사 가야선의 역으로, 인근에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주례역, 동서대학교, 보훈병원 등이 있었다.
안양풀장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명 | 안양풀장역 |
모국어 표기 | 안양풀장 |
읽는 법 | 아냐ンプル장 |
로마자 표기 | Anyang-puljang |
부역명 | 없음 |
소속 노선 | 경부선 |
이전 역 | 석수 |
다음 역 | 안양 |
소재지 | 대한민국경기도안양시만안구 석수1동 |
좌표 | 알 수 없음 |
운영 정보 | |
운영 주체 | 대한민국 철도청 |
역 종류 | 폐역 |
역 등급 | 알 수 없음 |
기점 역 | 서울 |
전보 약호 | 알 수 없음 |
역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알 수 없음 |
승차 인원 | 알 수 없음 |
통계 연도 | 알 수 없음 |
승강 인원 | 알 수 없음 |
개업일 | 1935년 8월 11일 |
폐지일 | 1969년 8월 17일 |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 알 수 없음 |
환승 | 알 수 없음 |
비고 | 알 수 없음 |
한국어 정보 | |
한글 표기 | 안양풀장역 |
한자 표기 | 安養풀場驛 |
일본어 읽기 | あんようぷーるじょうえき |
가타카나 읽기 | アニャンプルジャンニョク |
로마자 표기 | Anyang-puljang Station |
추가 정보 (한국어 문서 기반) | |
소재지 (구) | 경기도 시흥군 안양읍 신안양리 (현재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1동) |
개업일 (한국어 문서 기반) | 1966년 8월 6일 |
폐지일 (한국어 문서 기반) | 1939년 8월 31일 |
종별 | 임시승강장(폐역) |
관할 | 대한민국 철도청 |
등급 | 알 수 없음 |
승강장 | 알 수 없음 |
2. 개설 배경
1960년대까지만 해도 여름철에 안양유원지를 방문하는 피서객들이 늘어나 안양역에서 하차하는 인파가 많았고, 역에서 유원지까지 운행하는 미니합승버스는 몇 대 없었기에 수송에 한계가 있어, 줄 서기에 지친 피서객들은 도보로 안양풀장까지 가게 되는 불편을 겪었다. 이러한 불편이 계속되자 철도청은 당시 1번 국도변 안양유원지 입구(현 수도권 전철 1호선 전력분배함 설치자리)에 임시승강장을 개설하였다[6].
3. 연혁
3. 1. 1935년 개업과 폐지
1935년 8월 11일 임시승강장인 '''안양풀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나,[7] 바로 다음 날인 8월 12일 영업이 중단되었다.[7] 이후 1939년 7월 10일 영업을 재개했으나,[8] 8월 31일 다시 폐역되었다.[8] 이는 당시 불안정한 사회, 정치적 상황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3. 2. 1966년 재개업과 폐지
1966년 8월 6일 임시승강장인 안양풀장역으로 재개업하였다.[9] 역의 위치는 서울 기점 21.9km 지점이었다.[10][11] 그러나 안양풀장의 이용객 감소로 인해 1969년 8월 17일 폐역되었다.[10]
참조
[1]
뉴스
仁川から安養まで日曜臨時列車
https://newslibrary.[...]
東亜日報
1935-08-10
[2]
뉴스
安養プール、東林瀑布 仮乗降場設置
http://newslibrary.n[...]
東亜日報
1939-07-07
[3]
간행물
鉄道庁告示第269号
1966-08-06
[4]
문서
冠岳駅は当駅廃止後にソウル駅起点21.5kmの地点に設置
[5]
간행물
鉄道庁告示第127号
1969-07-09
[6]
뉴스
안양역에 얽힌 역사 속 흔적과 이야기
http://www.aynews.ne[...]
안양뉴스
2008-10-14
[7]
뉴스
인천과 안양에 일요임시열차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35-08-10
[8]
뉴스
안양풀, 동림폭포 가승강장 설치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39-07-07
[9]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269호
1966-08-06
[10]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127호
1969-07-09
[11]
문서
관악역은 서울 기점 21.5km에 위치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