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렉세이 예키모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세이 예키모프는 소련 및 러시아의 물리학자이다. 1981년 유리 내 염화 구리 나노결정에서 양자 크기 효과를 발견했으며, 이는 현재 양자점으로 알려진 현상이다. 1975년 소련 국가 과학 기술상, 2006년 미국 광학회의 R. W. 우드 상, 훔볼트 상을 수상했으며, 2023년에는 루이스 브루스, 문지 바웬디와 함께 양자점의 발견과 합성에 대한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노벨상 수상자 - 미하일 고르바초프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소련의 마지막 지도자로서 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 정책을 추진하여 냉전 종식과 소련 붕괴에 영향을 미쳤으며, 1990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지만 그의 역할에 대한 논쟁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러시아의 노벨상 수상자 - 이반 파블로프
    이반 파블로프는 조건반사 연구로 유명한 러시아의 생리학자, 심리학자, 의사이며, 1904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고, 개의 타액 분비 실험을 통해 고전적 조건화 개념을 정립했다.
  • 소련의 물리학자 - 올레크 로세프
    올레크 로세프는 1903년 러시아에서 태어나 1942년 사망한 과학자이며, 접촉식 수정 검출기 연구와 탄화 규소 다이오드에서 빛 방출 현상을 발견하여 LED 연구에 기여했으며, 음저항 다이오드를 활용한 고체 전자 공학 분야에서도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
  • 소련의 물리학자 - 안드레이 사하로프
    안드레이 사하로프는 소련의 물리학자이자 인권 운동가로서 수소폭탄 개발에 기여했으나 핵실험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인권 문제를 비판하며 반체제 활동을 펼쳤으며, 핵무기 감축과 민주주의 확산을 주장하고 인권 운동에 기여한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 페레스트로이카 시대에는 소련 민주화에 기여했다.
  • 물리화학자 - 길버트 뉴턴 루이스
    길버트 뉴턴 루이스는 열역학, 화학 결합, 산-염기 반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긴 미국의 물리화학자이다.
  • 물리화학자 - 고든 무어
    고든 무어는 미국의 기업인이자 공학자로, 페어차일드 반도체를 거쳐 로버트 노이스와 함께 인텔을 공동 설립했으며, 집적 회로 집적도가 2년마다 2배씩 증가한다는 "무어의 법칙"으로 알려져 있고, 고든과 베티 무어 재단을 설립하여 자선 활동을 펼쳤다.
알렉세이 예키모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알렉세이 예키모프 (2023년)
2023년의 예키모프
출생 이름알렉세이 이바노비치 예키모프 ()
출생1945년 2월 28일
출생지레닌그라드, 소비에트 연방
연구 분야
주요 업적양자점
학력레닌그라드 대학교 (BS)
박사 학위 논문 제목양자 반도체 미세 결정의 차원 현상 ()
박사 학위 논문 URL박사 학위 논문 (러시아 국립 도서관)
박사 학위 논문 연도1989년
직장요페 물리 기술 연구소
수상
수상 내역소련 국가상 (1976년)

2. 생애

2. 1. 유년기와 교육

알렉세이 예키모프는 1945년 소련 레닌그라드(현재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났다.[17] 1967년 레닌그라드 국립대학교 물리학부를 졸업했다. 1974년에는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이오페 물리기술연구소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 2. 연구 및 경력

알렉세이 예키모프는 레닌그라드 대학교 물리학부를 졸업하고,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의 요페 물리 기술 연구소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4] 졸업 후 바빌로프 국립 광학 연구소로 이동하여 연구를 시작했다.[4]

예키모프는 반도체 활성 유리, 즉 쇼트 글라스의 색상 변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5] 유리를 가열하고 냉각하는 과정에서 염화 구리 결정이 형성되고, 이 결정의 크기에 따라 유리의 색상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더 작은 결정은 더 푸른색을 띤다.[6]

1981년, 예키모프는 알렉세이 A. 오누셴코와 함께 유리 내 염화 구리(I) 나노결정에서 양자 크기 효과를 발견했다.[7][8][9][10] 이는 현재 양자점으로 알려진 현상이다. 그는 알렉산더 에프로스와 함께 양자 구속 이론을 개발하며 양자점 현상을 더 깊이 연구했다.[5][11][12][13]

1999년부터 예키모프는 미국 뉴욕주에 위치한 나노크리스탈스 테크놀로지(Nanocrystals Technology)에서 과학자로 재직하며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14][15]

3. 수상 경력

예키모프는 반도체 내 전자 스핀 배향 연구로 1975년 소련 국가 과학 기술상을 수상했다.[4] 알렉산더 에프로스, 루이스 브루스와 함께 "나노 결정 양자점의 발견과 전자 및 광학적 특성에 대한 선구적인 연구"로 2006년 미국 광학회의 R. W. 우드 상을 공동 수상했다.[16] 또한 같은 해 훔볼트 상을 수상하였다. 예키모프, 브루스, 문지 바웬디는 "양자점의 발견과 합성에 대한 공로"로 2023년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했다.[15][17]

4. 주요 논문

A. I. 예키모프, A. A. 오누셴코는 1981년 9월 30일 "실험 및 이론 물리학 저널"에 〈3차원 미세 반도체 결정의 양자 크기 효과〉라는 논문을 러시아어로 발표했다. 1982년에는 "실험 및 이론 물리학 저널 서신(JETP Lett.)"에 같은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A. I. 예키모프는 Al. L. 에프로스, A. A. 오누셴코와 함께 1985년 12월 1일 "고체 통신"에 〈반도체 마이크로결정의 양자 크기 효과〉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1993년 1월 1일에는 A. I. 예키모프, F. 하체, M. C. 샨-클레인, D. 리카르, C. 플리차니스, I. A. 쿠드랴브체프, T. V. 야제바, A. V. 로디나, Al L. 에프로스는 "JOSA B"에 〈CdSe 양자점의 흡수 및 강도 의존성 광발광 측정: 첫 번째 전자 전이 할당〉이라는 논문을 영어로 발표했다.

참조

[1] 뉴스 Nobel Prize awarded for discovery of quantum dots that changed everything from TV displays to cancer imaging https://edition.cnn.[...] CNN 2023-10-04
[2] 논문 Квантовый размерный эффект в трехмерных микрокристаллах полупроводников http://www.jetplette[...] 2015-03-26
[3] 웹사이트 Russian-Born Quantum Dot Pioneer Ekimov Wins Nobel Prize in Chemistry https://www.themosco[...] 2023-10-04
[4] 웹사이트 Alexei Ekimov {{!}} Biography, Nobel Prize, Quantum Dots,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10-09
[5] 웹사이트 The quantum dot story https://www.chemistr[...] 2023-10-20
[6] 뉴스 Nobel Prize in Chemistry Awarded to 3 Scientists for Exploring the Nanoworld https://www.nytimes.[...] 2023-10-04
[7] 논문 Tiny 'quantum dot' particles win chemistry Nobel https://www.nature.c[...] 2023-10-04
[8] 뉴스 The development of quantum dots wins the 2023 Nobel prize in chemistry https://www.sciencen[...] 2023-10-04
[9] 뉴스 Creators of quantum dots, used in TV displays and cell studies, win chemistry Nobel https://www.science.[...] 2023-10-04
[10] 논문 Quantum size effect in three-dimensional microscopic semiconductor crystals https://ui.adsabs.ha[...] 1981-09-01
[11] 논문 Nanocrystal Quantum Dots: From Discovery to Modern Development https://pubs.acs.org[...] 2021-04-27
[12] 논문 Size quantization of excitons and determination of the parameters of their energy spectrum in CuCl https://ui.adsabs.ha[...] 1985-04-01
[13] 논문 The Electronic Structure of Semiconductor Nanocrystals https://www.annualre[...] 2000-01-01
[14] 뉴스 Scientists share Nobel prize in chemistry for quantum dots discovery https://www.theguard[...] 2023-10-04
[15] 뉴스 Nobel Prize in Chemistry Awarded to 3 Scientists for Work With Quantum Dots https://www.nytimes.[...] 2023-10-04
[16] 뉴스 Twenty attain 2006 top honors from the OSA https://www.laserfoc[...] 2006-08-30
[17] 간행물 They planted an important seed for nanotechnology https://www.nobelpri[...] The Nobel Prize 2023-10-04
[18] 뉴스 Nobel Prize awarded for discovery of quantum dots that changed everything from TV displays to cancer imaging https://edition.cnn.[...] CNN 2023-10-04
[19] 논문 Квантовый размерный эффект в трехмерных микрокристаллах полупроводников http://www.jetplette[...] 2015-03-26
[20] 웹사이트 Russian-Born Quantum Dot Pioneer Ekimov Wins Nobel Prize in Chemistry https://www.themosco[...] 2023-10-04
[21] 웹사이트 Alexei Ekimov {{!}} Biography, Nobel Prize, Quantum Dots,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10-09
[22] 웹사이트 Alexei Ekimov Facts https://www.nobelpri[...] the Nobel Foundation
[23] 논문 Quantum size effect in three-dimensional microscopic semiconductor crystals https://ui.adsabs.ha[...] 1981-09-01
[24] 논문 Size quantization of excitons and determination of the parameters of their energy spectrum in CuCl https://ui.adsabs.ha[...] 1985-04-01
[25] 논문 The Electronic Structure of Semiconductor Nanocrystals https://www.annualre[...] 2000-01-01
[26] 뉴스 Scientists share Nobel prize in chemistry for quantum dots discovery https://www.theguard[...] 2023-10-04
[27] 뉴스 Nobel Prize in Chemistry Awarded to 3 Scientists for Work With Quantum Dots https://www.nytimes.[...] 2023-1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