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리 트루아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앙리 트루아야는 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으로, 러시아 혁명 이후 가족과 함께 유럽으로 이주하여 프랑스에서 작가로 활동했다. 1938년 공쿠르상을 수상하며 문단에 데뷔했으며, 소설과 전기 작품을 100편 이상 발표했다. 특히 러시아 역사 속 인물들의 전기를 다수 집필하여 인기를 얻었으며, 1959년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이 되어 사망할 때까지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 - 앙리 구이예
앙리 구이예는 1898년 오세르에서 태어나 1989년 파리에서 사망한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문학 연구가로, 소르본 대학교 교수를 역임하며 17세기 프랑스 종교사상사를 연구하고 데카르트와 베르그손 사이의 프랑스 철학을 주로 연구했다. - 공쿠르상 수상자 - 조르주 뒤아멜
프랑스의 작가이자 의사인 조르주 뒤아멜은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경험을 바탕으로 전쟁의 참혹함을 고발하고 휴머니즘을 옹호했으며, 연작 소설을 통해 인간의 내면과 삶의 의미를 탐구하고 전체주의와 기계 문명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낸 사회 활동에도 적극 참여한 인물이다. - 공쿠르상 수상자 - 시몬 드 보부아르
프랑스의 작가이자 철학자, 여성주의 운동가인 시몬 드 보부아르는 실존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여성의 주체성과 자유를 강조했으며, 《제2의 성》에서 "여자는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라는 구절로 여성 억압의 근원을 분석했다. - 프랑스의 소설가 - 프랑수아 모리아크
프랑수아 모리아크는 보르도 지방의 풍물을 배경으로 개인, 가정, 신앙, 욕망 간의 갈등을 다룬 소설을 통해 심리 소설가로서 입지를 다진 프랑스의 소설가, 시인, 극작가, 평론가이며, 노벨 문학상과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수상했고 레지스탕스 운동 참여 및 사회, 정치적 활동에도 적극적이었다. - 프랑스의 소설가 - 시몬 드 보부아르
프랑스의 작가이자 철학자, 여성주의 운동가인 시몬 드 보부아르는 실존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여성의 주체성과 자유를 강조했으며, 《제2의 성》에서 "여자는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라는 구절로 여성 억압의 근원을 분석했다.
앙리 트루아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레프 아슬라노비치 타라소프 |
출생일 | 1911년 11월 1일 |
출생지 | 모스크바 |
사망일 | 2007년 3월 2일 |
사망지 | 파리 |
묻힌 곳 | 몽파르나스 묘지 |
국적 | 프랑스, 러시아 (복수국적) |
직업 | 소설가, 전기 작가, 역사학자 |
언어 | 프랑스어 |
교육 | 리세 파스퇴르 (뇌이쉬르센) |
활동 기간 | 1935년-2010년 |
수상 | 공쿠르 상 (1938년) |
작품 | |
기타 |
2. 생애
앙리 트루아야는 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으로 모스크바에서 태어났으며, 유년기에 러시아 혁명으로 부모와 함께 유럽으로 이주하여 1920년에 파리에 정착했다.
1935년 처녀작 『흐린 날』 (''Faux Jour'')로 포퓰리스트상을 수상했고, 1938년 장 폴 사르트르의 『구토』와 경쟁하여 소설 『거미』 (''L'Araigne'')로 공쿠르상을 받아 일류 작가의 지위를 확립했다. 이례적으로 젊은 나이에 아카데미 프랑세즈에 입회했으며, 죽을 때까지 꾸준히 작품을 발표했다. 생애 동안 100편 이상의 작품을 발표했으며, 이반 4세, 예카테리나 2세, 안톤 체호프, 레프 톨스토이, 그리고리 라스푸틴 등 러시아 역사상의 인물이나 러시아 문학가들의 평전은 인기가 높다.
2007년 95세로 사망했다. 장례는 3월 5일 파리에 있는 정교회 대성당인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대성당에서 거행되었다.[6]
2. 1. 초기 생애
레프 아슬라노비치 타라소프(러시아어: Лев Асланович Тарасов|레프 아슬라노비치 타라소프ru)는 아르메니아인,[4] 러시아인, 독일인, 조지아인 등 다양한 혈통을 가진 부모 사이에서 모스크바에서 태어났다.[3] 그의 자서전에서 그는 자신의 성이 아르메니아인 (토로시안)이며, 외할머니는 독일인이고 외할아버지는 조지아인과 아르메니아인의 혼혈이라고 밝히고 있다.[5] 그의 가족은 러시아 혁명 발발 후 러시아를 탈출했다. 그들은 코카서스 지역을 거쳐 크림 반도로 이동한 후, 바다를 통해 이스탄불을 거쳐 베네치아로 향하는 긴 여정을 거쳐 1920년 파리에 정착했다. 그곳에서 어린 트루아야는 학교를 다니며 법학 학위를 받았다. 유럽 절반을 가로지르는 이 흥미롭고 비극적인 여정은 트루아야의 저서 《대지가 존재하는 한(Tant que la terre durera)》에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다.2. 2. 작가 경력
트루아야는 24세에 첫 문학상인 Le prix du roman populaire|르 프릭 뒤 로망 포퓰레르프랑스어를 받았고, 27세에 공쿠르상을 수상했다. 그는 100권이 넘는 책, 소설, 전기 등을 출판했는데, 여기에는 안톤 체호프, 예카테리나 2세, 라스푸틴,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이반 뇌제 및 레프 톨스토이의 전기가 포함되어 있다. 트루아야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은 La neige en deuil|라 네주 엉 드유프랑스어로, 1956년 영어 영화로 각색되어 ''마운틴''(The Mountain)이라는 제목으로 개봉되었다.트루아야는 1959년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회원이 되었다. 그는 사망 당시 가장 오래 재임한 회원이었다.
2. 3. 사망
트루아야는 2007년 3월 2일 파리에서 95세로 사망했다.[6] 장례는 같은 해 3월 5일, 파리에 있는 정교회 대성당인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대성당에서 거행되었다. 그의 묘는 몽파르나스 묘지에 있다.
3. 작품 세계
앙리 트루아야는 소설과 전기 উভয় ক্ষেত্রেই 작품을 남긴 작가이다. 그는 주로 러시아와 프랑스 역사와 관련된 인물들의 전기를 많이 썼다.
그의 소설 작품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제목 | 원제 | 출판 연도 | 비고 |
---|---|---|---|
Faux Jour | Faux Jour | 1935 | 대중소설상 수상 |
르 비비에르 | Le Vivier | 1935 | |
그랜드 외추르 | Grandeur nature | 1936 | |
라 클레 드 부트 | La Clef de voûte | 1937 | |
거미 | 'LAraigne'' | 1938 | 공쿠르상 수상 |
라 포스 코뮌 | La Fosse commune | 1939 | |
르 쥐즈멍 드 디외 | Le Jugement de Dieu | 1941 | |
르 모르 세지 르 비프 | Le mort saisit le vif | 1942 | |
뒤 필란트로프 아 라 루킨 | Du philanthrope à la rouquine | 1945 | |
르 시뉴 뒤 토로 | Le Signe du taureau | 1945 | |
레 퐁 드 파리 | Les Ponts de Paris | 1946 | |
레 비방, 삐에스 앙 트루아 아크트 | Les Vivants, pièce en trois actes | 1946 | |
Tant que la terre durera (1권) | Tant que la terre durera, tome I | 1947 | |
Le Sac et la Cendre (2권) | Le Sac et la Cendre, tome II | 1948 | |
라 카스 드 롱클 삼 | 'La Case de loncle Sam'' | 1948 | |
세바스티앙, 삐에스 앙 트루아 아크트 | Sébastien, pièce en trois actes | 1949 | |
Étrangers sur la terre (3권) | Étrangers sur la terre, tome III | 1950 | |
La Tête sur les épaules | La Tête sur les épaules | 1951 | |
La Neige en deuil | La Neige en deuil | 1952 | |
레트랑지 데스탱 드 레르몬토프 | 'LÉtrange Destin de Lermontov'' | 1952 | |
Les Semailles et les Moissons (1권) | Les Semailles et les Moissons, tome I | 1953 | |
드 그라테-시엘 앙 코코티에 | De Gratte-ciel en cocotier | 1955 | |
Amélie (2권) | Amélie, tome II | 1955 | |
라 메종 데 베트 에뢰즈 | La Maison des bêtes heureuses | 1956 | |
La Grive (3권) | La Grive, tome III | 1956 | |
Tendre et Violente Élisabeth (4권) | Tendre et Violente Élisabeth, tome IV | 1957 | |
La Rencontre (5권) | La Rencontre, tome V | 1958 | |
네상스 드 윈 다핀 | 'Naissance dune Dauphine'' | 1958 | |
Les Compagnons du coquelicot (1권) | Les Compagnons du coquelicot. | 1959 | |
La Barynia (2권) | La Barynia. | 1960 | |
La Gloire des vaincus (3권) | La Gloire des vaincus. | 1961 | |
Les Dames de Sibérie (4권) | Les Dames de Sibérie. | 1962 | |
Sophie ou la Fin des combats (5권) | Sophie ou la Fin des combats. | 1963 | |
Une extrême amitié | Une extrême amitié | 1963 | |
르 제스트 데브 | 'Le Geste dÈve'' | 1964 | |
Les Eygletière (1권) | Les Eygletière, tome I | 1965 | |
La Faim des lionceaux (2권) | La Faim des lionceaux, tome II | 1966 | |
La Malandre (3권) | La Malandre, tome III | 1967 | |
Le Cahier (1권) | Le Cahier. | 1968 | |
Cent un coups de canon (2권) | Cent un coups de canon. | 1969 | |
LÉléphant blanc (3권) | 'LÉléphant blanc.'' | 1970 | |
La 피에르, 라 페이유 에 레 시소 | La Pierre, la Feuille et les Ciseaux | 1972 | |
안 프레달리에 | Anne Prédaille | 1973 | |
Le Moscovite (1권) | Le Moscovite, tome I | 1974 | |
Les Désordres secrets (2권) | Les Désordres secrets, tome II | 1974 | |
Les Feux du matin (3권) | Les Feux du matin, tome III | 1975 | |
윈 시 롱 슈망 | Une si longue chemin | 1976 | |
르 프롱 당 레 뉘아주 | Le Front dans les nuages | 1976 | |
그림보스크 | Grimbosq | 1976 | |
Le Prisonnier n°1 | Le Prisonnier n°1 | 1978 | |
Viou (1권) | Viou, tome I | 1980 | |
르 팽 드 레트랑제 | 'Le Pain de létranger'' | 1982 | |
라 데리지옹 | La Dérision | 1983 | |
마리 카르포브나 | Marie Karpovna | 1984 | |
르 브뤼 솔리테르 뒤 쾨르 | Le Bruit solitaire du cœur | 1985 | |
À demain, Sylvie (2권) | À demain, Sylvie, tome II | 1986 | |
Le Troisième Bonheur (3권) | Le Troisième Bonheur, tome III | 1987 | |
투트 마 비 세라 멍송 | Toute ma vie sera mensonge | 1988 | |
라 구베르난트 프랑세즈 | La Gouvernante française | 1989 | |
라 팜 드 다비드 | La Femme de David | 1990 | |
Aliocha | Aliocha | 1991 | |
유리 | Youri | 1992 | |
르 샹 데장세 | Le Chant des insensés | 1993 | |
르 마르샹 드 마스크 | Le Marchand de masques | 1994 | |
르 데피 달가 | 'Le Défi dOlga'' | 1995 | |
보트르 트레 앰블 에 트레 오베이쌍 세르비테르 | Votre très humble et très obéissant serviteur | 1996 | |
라페르 크레모니에르 | 'LAffaire Crémonnière'' | 1997 | |
르 필스 뒤 사트라프 | Le Fils du Satrape | 1998 | |
테리블 차리느 | Terribles tsarines | 1998 | |
레 투르빌랑스 두네 그랑드 파미유 | 'Les Turbulences dune grande famille'' | 1999 | |
나무나 오 라 샬뢰르 아니말 | Namouna ou la Chaleur animale | 1999 | |
라 발레린 드 생-페테르부르 | La Ballerine de Saint-Pétersbourg | 2000 | |
라 피유 드 레크리뱅 | 'La Fille de lécrivain'' | 2001 | |
레타주 데 부퐁 | 'LÉtage des bouffons'' | 2002 | |
라 피앙세 드 로그르 | 'La Fiancée de logre'' | 2004 | |
라 바론느 에 르 뮤지시앙 | La Baronne et le Musicien | 2004 | |
라 트라크 | La Traque | 2006 | |
르 파 뒤 쥐즈 | Le Pas du juge | 2009 | |
라 폴리 데장쥬 | La Folie des anges | 2009 | |
트루아 메르, 트루아 필스 | Trois mères, trois fils | 2010 |
트루아야는 전기 작가로서도 명성을 얻었는데, 다음은 그가 집필한 전기 작품 목록이다.
출간 연도 | 원제 | 한국어 번역 제목 (해당하는 경우) |
---|---|---|
1940 | Dostoïevski | 도스토예프스키 |
1946 | Pouchkine | 푸슈킨 |
1956 | Sainte Russie, souvenirs et réflexions suivi de l’Assassinat d’Alexandre II | |
1959 | La Vie quotidienne en Russie au temps du dernier tsar | 마지막 차르 시대의 러시아의 일상 |
1965 | Tolstoï | 톨스토이 |
1971 | Gogol | 고골 |
1971 | Kisling 1891-1953 (제1권 & 제2권) | 키슬링 |
1977 | Catherine la Grande | 예카테리나 대제 |
1979 | Pierre le Grand | 표트르 대제 |
1981 | Alexandre Ier | 알렉산드르 1세 |
1982 | Ivan le Terrible | 이반 뇌제 |
1984 | Tchekhov | 체호프 |
1985 | Tourgueniev | 투르게네프 |
1986 | Gorki | 고리키 |
1988 | Flaubert | 플로베르 |
1989 | Maupassant | 모파상 |
1990 | Alexandre II, le tsar libérateur | 알렉산드르 2세, 해방 차르 |
1991 | Nicolas II, le dernier tsar | 니콜라이 2세, 마지막 차르 |
1992 | Zola | 졸라 |
1993 | Verlaine | 베를렌 |
1994 | Baudelaire | 보들레르 |
1995 | Balzac | 발자크 |
1996 | Raspoutine | 라스푸틴 |
1997 | Juliette Drouet | 줄리엣 드루에 |
2000 | Nicolas Ier | 니콜라이 1세 |
2001 | 'Marina Tsvetaeva : Léternelle insurgée'' | 마리나 츠베타예바: 영원한 반역자 |
2004 | Alexandre III | 알렉산드르 3세 |
2005 | Alexandre Dumas. Le cinquième mousquetaire | 알렉상드르 뒤마. 다섯 번째 용사 |
2006 | Pasternak | 파스테르나크 |
2008 | Boris Godunov | 보리스 고두노프 |
3. 1. 소설
한국어 제목 | 원제 | 출판 연도 | 비고 |
---|---|---|---|
Faux Jour | Faux Jour | 1935 | 대중소설상 수상 |
르 비비에르 | Le Vivier | 1935 | |
그랜드 외추르 | Grandeur nature | 1936 | |
라 클레 드 부트 | La Clef de voûte | 1937 | |
거미 | 'LAraigne'' | 1938 | 공쿠르상 수상, 후쿠나가 다케히코 번역 (신초 문고, 1951) |
라 포스 코뮌 | La Fosse commune | 1939 | |
르 쥐즈멍 드 디외 | Le Jugement de Dieu | 1941 | |
르 모르 세지 르 비프 | Le mort saisit le vif | 1942 | |
뒤 필란트로프 아 라 루킨 | Du philanthrope à la rouquine | 1945 | |
르 시뉴 뒤 토로 | Le Signe du taureau | 1945 | |
레 퐁 드 파리 | Les Ponts de Paris | 1946 | |
레 비방, 삐에스 앙 트루아 아크트 | Les Vivants, pièce en trois actes | 1946 | |
Tant que la terre durera (1권) | Tant que la terre durera, tome I | 1947 | 미국 번역: 붉은색과 흰색 (1956) |
Le Sac et la Cendre (2권) | Le Sac et la Cendre, tome II | 1948 | 영국 번역: 베옷과 재 (1956) |
라 카스 드 롱클 삼 | 'La Case de loncle Sam'' | 1948 | |
세바스티앙, 삐에스 앙 트루아 아크트 | Sébastien, pièce en trois actes | 1949 | |
Étrangers sur la terre (3권) | Étrangers sur la terre, tome III | 1950 | 영국 번역: 낯선 사람들 (1958) |
La Tête sur les épaules | La Tête sur les épaules | 1951 | 영국 번역: 구름 속의 머리 (1979), 우메하라 세이시 번역 (신초 문고, 1952) |
La Neige en deuil | La Neige en deuil | 1952 | 영국 번역: 산 (1953) |
레트랑지 데스탱 드 레르몬토프 | 'LÉtrange Destin de Lermontov'' | 1952 | |
Les Semailles et les Moissons (1권) | Les Semailles et les Moissons, tome I | 1953 | 미국 번역: 사랑에 빠진 아멜리 (1956) |
드 그라테-시엘 앙 코코티에 | De Gratte-ciel en cocotier | 1955 | 곤도 히토시 번역 (하쿠스이샤, 1956) |
Amélie (2권) | Amélie, tome II | 1955 | 미국 번역: 아멜리와 피에르 (1957) |
라 메종 데 베트 에뢰즈 | La Maison des bêtes heureuses | 1956 | |
La Grive (3권) | La Grive, tome III | 1956 | 미국 번역: 엘리자베스 (1959) |
Tendre et Violente Élisabeth (4권) | Tendre et Violente Élisabeth, tome IV | 1957 | 미국 번역: 부드럽고 폭력적인 엘리자베스 (1960) |
La Rencontre (5권) | La Rencontre, tome V | 1958 | 미국 번역: 만남 (1962) |
네상스 드 윈 다핀 | 'Naissance dune Dauphine'' | 1958 | |
Les Compagnons du coquelicot (1권) | Les Compagnons du coquelicot. | 1959 | 영국 번역: 붉은 양귀비 형제단 (1962) |
La Barynia (2권) | La Barynia. | 1960 | 미국 번역: 남작 부인 (1961) |
La Gloire des vaincus (3권) | La Gloire des vaincus. | 1961 | |
Les Dames de Sibérie (4권) | Les Dames de Sibérie. | 1962 | |
Sophie ou la Fin des combats (5권) | Sophie ou la Fin des combats. | 1963 | |
Une extrême amitié | Une extrême amitié | 1963 | 영국 번역: 친밀한 우정 (1967) |
르 제스트 데브 | 'Le Geste dÈve'' | 1964 | |
Les Eygletière (1권) | Les Eygletière, tome I | 1965 | 사사모토 다카시 번역 (사이마루 출판회, 1973) |
La Faim des lionceaux (2권) | La Faim des lionceaux, tome II | 1966 | |
La Malandre (3권) | La Malandre, tome III | 1967 | |
Le Cahier (1권) | Le Cahier. | 1968 | |
Cent un coups de canon (2권) | Cent un coups de canon. | 1969 | |
LÉléphant blanc (3권) | 'LÉléphant blanc.'' | 1970 | |
La 피에르, 라 페이유 에 레 시소 | La Pierre, la Feuille et les Ciseaux | 1972 | 오가사와라 토요키 번역 (소스이샤, 2004) |
안 프레달리에 | Anne Prédaille | 1973 | |
Le Moscovite (1권) | Le Moscovite, tome I | 1974 | |
Les Désordres secrets (2권) | Les Désordres secrets, tome II | 1974 | |
Les Feux du matin (3권) | Les Feux du matin, tome III | 1975 | |
윈 시 롱 슈망 | Une si longue chemin | 1976 | |
르 프롱 당 레 뉘아주 | Le Front dans les nuages | 1976 | |
그림보스크 | Grimbosq | 1976 | |
Le Prisonnier n°1 | Le Prisonnier n°1 | 1978 | |
Viou (1권) | Viou, tome I | 1980 | 영국 번역: 실비 (1982) |
르 팽 드 레트랑제 | 'Le Pain de létranger'' | 1982 | |
라 데리지옹 | La Dérision | 1983 | |
마리 카르포브나 | Marie Karpovna | 1984 | |
르 브뤼 솔리테르 뒤 쾨르 | Le Bruit solitaire du cœur | 1985 | |
À demain, Sylvie (2권) | À demain, Sylvie, tome II | 1986 | 영국 번역: 실비 - 행복 (1989) |
Le Troisième Bonheur (3권) | Le Troisième Bonheur, tome III | 1987 | |
투트 마 비 세라 멍송 | Toute ma vie sera mensonge | 1988 | |
라 구베르난트 프랑세즈 | La Gouvernante française | 1989 | |
라 팜 드 다비드 | La Femme de David | 1990 | |
Aliocha | Aliocha | 1991 | |
유리 | Youri | 1992 | |
르 샹 데장세 | Le Chant des insensés | 1993 | |
르 마르샹 드 마스크 | Le Marchand de masques | 1994 | 오가사와라 토요키 번역 (쇼가쿠칸 문고, 2014) |
르 데피 달가 | 'Le Défi dOlga'' | 1995 | |
보트르 트레 앰블 에 트레 오베이쌍 세르비테르 | Votre très humble et très obéissant serviteur | 1996 | |
라페르 크레모니에르 | 'LAffaire Crémonnière'' | 1997 | 오가사와라 토요키 번역 (소스이샤, 2004) |
르 필스 뒤 사트라프 | Le Fils du Satrape | 1998 | 오가사와라 토요키 번역 (소스이샤, 2004) |
테리블 차리느 | Terribles tsarines | 1998 | |
레 투르빌랑스 두네 그랑드 파미유 | 'Les Turbulences dune grande famille'' | 1999 | |
나무나 오 라 샬뢰르 아니말 | Namouna ou la Chaleur animale | 1999 | |
라 발레린 드 생-페테르부르 | La Ballerine de Saint-Pétersbourg | 2000 | |
라 피유 드 레크리뱅 | 'La Fille de lécrivain'' | 2001 | |
레타주 데 부퐁 | 'LÉtage des bouffons'' | 2002 | |
라 피앙세 드 로그르 | 'La Fiancée de logre'' | 2004 | |
라 바론느 에 르 뮤지시앙 | La Baronne et le Musicien | 2004 | |
라 트라크 | La Traque | 2006 | |
르 파 뒤 쥐즈 | Le Pas du juge | 2009 | |
라 폴리 데장쥬 | La Folie des anges | 2009 | |
트루아 메르, 트루아 필스 | Trois mères, trois fils | 2010 | |
황소궁 | Le Signe du taureau | 아오야기 미즈호 번역 (신초 문고, 상하 1952) | |
공동묘지-프랑스 괴담 | 시부사와 다츠히코 번역 (무라야마 서점 1957/세이도샤 1982, 가와데 문고 1987) | ||
레르몬토프의 기구한 운명 | 'LEtrange Destin de Lermontov'' | 후쿠즈미 마코토 번역 (신독서사, 2003) | |
제정 말기의 러시아 | La vie quotidienne en Russie au temps du dernier tsa | 1959 | 후쿠즈미 마코토 번역 (신독서사, 2000) |
무서운 여제들 | 후쿠즈미 마코토 번역 (신독서사, 2002) | ||
유리와 소냐-러시아 혁명의 폭풍 속에서 | 야마와키 유리코 번역 (후쿠인칸 서점, 2007) |
3. 2. 전기
앙리 트루아야는 러시아와 프랑스의 작가이자 전기 작가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주로 유명한 러시아 작가들과 황제들의 삶을 다룬 전기를 썼다.출간 연도 | 원제 | 한국어 번역 제목 (해당하는 경우) |
---|---|---|
1940 | Dostoïevski | 도스토예프스키 |
1946 | Pouchkine | 푸슈킨 |
1956 | Sainte Russie, souvenirs et réflexions suivi de l’Assassinat d’Alexandre II | |
1959 | La Vie quotidienne en Russie au temps du dernier tsar | 마지막 차르 시대의 러시아의 일상 |
1965 | Tolstoï | 톨스토이 |
1971 | Gogol | 고골 |
1971 | Kisling 1891-1953 (제1권 & 제2권, 조셉 케셀과 공동 집필) | 키슬링 |
1977 | Catherine la Grande | 예카테리나 대제 |
1979 | Pierre le Grand | 표트르 대제 |
1981 | Alexandre Ier | 알렉산드르 1세 |
1982 | Ivan le Terrible | 이반 뇌제 |
1984 | Tchekhov | 체호프 |
1985 | Tourgueniev | 투르게네프 |
1986 | Gorki | 고리키 |
1988 | Flaubert | 플로베르 |
1989 | Maupassant | 모파상 |
1990 | Alexandre II, le tsar libérateur | 알렉산드르 2세, 해방 차르 |
1991 | Nicolas II, le dernier tsar | 니콜라이 2세, 마지막 차르 |
1992 | Zola | 졸라 |
1993 | Verlaine | 베를렌 |
1994 | Baudelaire | 보들레르 |
1995 | Balzac | 발자크 |
1996 | Raspoutine | 라스푸틴 |
1997 | Juliette Drouet | 줄리엣 드루에 |
2000 | Nicolas Ier | 니콜라이 1세 |
2001 | 'Marina Tsvetaeva : Léternelle insurgée'' | 마리나 츠베타예바: 영원한 반역자 |
2004 | Alexandre III | 알렉산드르 3세 |
2005 | Alexandre Dumas. Le cinquième mousquetaire | 알렉상드르 뒤마. 다섯 번째 용사 |
2006 | Pasternak | 파스테르나크 |
2008 | Boris Godunov | 보리스 고두노프 |
원제 | 번역서명 | 번역가 | 출판사 | 출간 연도 |
---|---|---|---|---|
Dostoievski | 도스토옙스키 전기 | 무라카미 카스미코 | 주오코론사 | 1982 |
Sainte Russie | 러시아 문호 열전 | 오오츠카 유키오 | 하쿠스이샤 | 1983 |
Pouchkine | 푸시킨 전기 | 시노즈카 히나코 | 수성사 | 2002 |
Gogol | 고골 전기 | 무라카미 카스미코 | 주오코론사 | 1983 |
Catherine la Grande | 여제 예카테리나 | 쿠도 요코 | 주오코론사 | 1981 |
Pierre le Grand | 대제 표트르 | 쿠도 요코 | 주오코론사 | 1981 |
Alexandre premier | 알렉산드르 1세 - 나폴레옹을 패주시킨 남자 | 쿠도 요코 | 주오코론사 | 1982 |
Ivan le Terrible | 이반 뇌제 | 쿠도 요코 | 주오코론사 | 1983 |
Tchekov | 체호프 전기 | 무라카미 카스미코 | 주오코론사 | 1987 |
Turgenev | 투르게네프 전기 | 이치카와 유미코 | 수성사 | 2010 |
Gustave Flaubert | 플로베르 전기 | 이치카와 유미코, 츠치야 료지 | 수성사 | 2008 |
Maupassant | 모파상 전기 | 아다치 카즈히코 | 수성사 | 2023 |
Verlaine | 베를렌 전기 | 쿠츠카케 요시히코・나카지마 요시이에 | 수성사 | 2006 |
Baudelaire | 보들레르 전기 | 쿠츠카케 요시히코・나카지마 요시이에 | 수성사 | 2003 |
Balzac | 발자크 전기 | 오가와 나오야 | 하쿠스이샤 | 1999 |
4. 한국어 번역 작품
앙리 트루아야는 소설과 전기 등 다양한 작품을 한국어로 번역 출간했다.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 L'Araigne|거미프랑스어 (1938)[1]
- Le Téte sur les épaules|폭풍 속의 청춘프랑스어 (1951)[1]
- Two Volumes|황소궁프랑스어[1]
- De Gratte-ciel en cocotier|상실의 은령프랑스어 (1955)[1]
- 공동묘지|공동묘지-프랑스 괴담프랑스어[1]
- Les Eygletiere I|에글티에르 가 사람들프랑스어 (1965)[1]
- La Pierre, la feuille et les ciseaux|돌, 종이, 가위프랑스어 (1972)[1]
- L'Affaire cremonniere|크레모니에르 사건프랑스어 (1997)[1]
- Le Fils du Satrape|사트라프의 아들프랑스어 (1998)[1]
- L'Etrange Destin de Lermontov|레르몬토프의 기구한 운명프랑스어 (1952)[1]
- La vie quotidienne en Russie au temps du dernier tsa|제정 말기의 러시아프랑스어 (1959)[1]
- 무서운 여제들|무서운 여제들프랑스어[1]
- 유리와 소냐|유리와 소냐-러시아 혁명의 폭풍 속에서프랑스어[1]
- 가면 상인|가면 상인프랑스어[1]
원제 | 한국어 번역 | 번역자 | 출판사 | 출판 연도 | 비고 |
---|---|---|---|---|---|
Dostoievski (1940) | 도스토옙스키 전기 | 무라카미 카스미코 | 주오코론사 | 1982년 1988년 (문고판) | |
Ecrivains rousses, in Sainte Russie | 러시아 문호 열전 | 오오츠카 유키오 | 하쿠스이 총서 | 1983년 | |
Pouchkine (1946) | 푸시킨 전기 | 시노즈카 히나코 | 수성사 | 2002년 | ISBN 4891764821 |
Gogol (1971) | 고골 전기 | 무라카미 카스미코 | 주오코론사 | 1983년 | |
Catherine la Grande (1978) | 여제 예카테리나 | 쿠도 요코 | 주오코론사 | 1981년 1985년 (문고판) 2002년 (신판) | 이케다 리요코의 극화판 있음 |
Pierre le Grand (1979) | 대제 표트르 | 쿠도 요코 | 주오코론사 | 1981년 1987년 (문고판) 2002년 (신판) | |
Alexandre premier (1981) | 알렉산드르 1세 - 나폴레옹을 패주시킨 남자 | 쿠도 요코 | 주오코론사 | 1982년 1988년 (문고판) 2003년 (신판) | |
Ivan le Terrible (1982) | 이반 뇌제 | 쿠도 요코 | 주오코론사 | 1983년 1987년 (문고판) 2002년 (신판) | |
Tchekov (1984) | 체호프 전기 | 무라카미 카스미코 | 주오코론사 | 1987년 1992년 (문고판) | |
Turgenev (1985) | 투르게네프 전기 | 이치카와 유미코 | 수성사 | 2010년 | ISBN 4891767804 |
Gustave Flaubert (1988) | 플로베르 전기 | 이치카와 유미코, 츠치야 료지 | 수성사 | 2008년 | ISBN 4891766867 |
Maupassant (1989) | 모파상 전기 | 아다치 카즈히코 | 수성사 | 2023년 | |
Verlaine (1993) | 베를렌 전기 | 쿠츠카케 요시히코・나카지마 요시이에 | 수성사 | 2006년 | |
Baudelaire (1994) | 보들레르 전기 | 쿠츠카케 요시히코・나카지마 요시이에 | 수성사 | 2003년 | |
Balzac (1995) | 발자크 전기 | 오가와 나오야 | 하쿠스이샤 | 1999년 |
4. 1. 소설 (한국어 번역)
- L'Araigne|거미프랑스어 (1938)[1]
- Le Téte sur les épaules|폭풍 속의 청춘프랑스어 (1951)[1]
- Two Volumes|황소궁프랑스어[1]
- De Gratte-ciel en cocotier|상실의 은령프랑스어 (1955)[1]
- 공동묘지|공동묘지-프랑스 괴담프랑스어[1]
- Les Eygletiere I|에글티에르 가 사람들프랑스어 (1965)[1]
- La Pierre, la feuille et les ciseaux|돌, 종이, 가위프랑스어 (1972)[1]
- L'Affaire cremonniere|크레모니에르 사건프랑스어 (1997)[1]
- Le Fils du Satrape|사트라프의 아들프랑스어 (1998)[1]
- L'Etrange Destin de Lermontov|레르몬토프의 기구한 운명프랑스어 (1952)[1]
- La vie quotidienne en Russie au temps du dernier tsa|제정 말기의 러시아프랑스어 (1959)[1]
- 무서운 여제들|무서운 여제들프랑스어[1]
- 유리와 소냐|유리와 소냐-러시아 혁명의 폭풍 속에서프랑스어[1]
- 가면 상인|가면 상인프랑스어[1]
4. 2. 전기 (한국어 번역)
1988년 (문고판)1985년 (문고판)
2002년 (신판)
1987년 (문고판)
2002년 (신판)
1988년 (문고판)
2003년 (신판)
1987년 (문고판)
2002년 (신판)
1992년 (문고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