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드루 헉슬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앤드루 헉슬리는 영국의 생리학자이자 생물리학자이며, 1963년 앨런 로이드 호지킨과 함께 신경 세포의 활동 전위 연구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근육 수축에 대한 연구를 통해 활주 필라멘트 이론을 제시하고, 미오신 "교차 다리" 작용에 대한 수학 방정식을 개발하여 근육 생리학 발전에 기여했다. 헉슬리는 활동 전위와 근육 수축 연구 외에도, 왕립 학회 회장과 여러 대학의 교수를 역임하며 과학계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헉슬리가 - 올더스 헉슬리
올더스 헉슬리는 영국의 작가이자 사회 풍자 작가로, 《멋진 신세계》와 같은 작품을 통해 과학기술, 전체주의, 신비주의 등 다양한 주제를 탐구하며 현대 사회의 문제와 개인의 자유를 강조했다. - 헉슬리가 - 토머스 아널드
토머스 아널드는 19세기 영국의 교육자이자 옥스퍼드 대학교의 현대사학 교수였으며, 럭비 스쿨 교장으로서 학교를 혁신하고 프리펙트 제도를 발전시켜 영국 교육 시스템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잉글랜드의 신경과학자 - 올리버 색스
올리버 색스는 신경학 환자들의 사례를 바탕으로 뇌와 신경 질환에 대한 저서를 집필하며 대중에게 알려졌고, 2007년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로 임용되어 2015년 암으로 사망하기 전까지 뇌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 잉글랜드의 신경과학자 - 스티븐 로즈
스티븐 로즈는 영국의 생물학자, 신경과학자, 사회 운동가이자 작가이며, 뇌 연구에 기여하고 사회생물학 등을 비판하며 과학의 사회적 책임과 사회 참여 활동을 펼쳤다. - 잉글랜드의 노벨상 수상자 - 팀 헌트
영국의 생화학자 팀 헌트는 세포 주기 조절에 중요한 사이클린을 발견한 공로로 2001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으나, 2015년 성차별적 발언 논란으로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명예 교수직을 사임했다. - 잉글랜드의 노벨상 수상자 - 존 E. 워커
존 E. 워커는 ATP 합성 효소의 기구를 밝혀 1997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미토콘드리아 연구를 진행하여 결합 변화 메커니즘을 뒷받침하는 구조를 밝혀냈다.
앤드루 헉슬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앤드루 필딩 헉슬리 |
출생일 | 1917년 11월 22일 |
출생지 | 잉글랜드 런던 햄프스테드 |
사망일 | 2012년 5월 30일 (94세) |
사망지 | 잉글랜드 케임브리지 |
연구 분야 | |
분야 | 생리학 생물리학 |
직장 | 케임브리지 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
모교 | 케임브리지 대학교 |
알려진 업적 | 신경의 활동 전위 근육 수축 |
수상 | |
수상 내역 | FRS (1955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1963년) 코플리 메달 (1973년) 기사 작위 (1974년) 생리학회 연례 리뷰상 강연 (1973년) 발리 메달 (1975년) 메리트 훈장 (1983년) 명예 FREng (1986년) |
개인 정보 | |
배우자 | J. 리첸다 G. 피스 (1947년 결혼, 2003년 사망) |
자녀 | 6명 |
아버지 | 레너드 헉슬리 |
친척 | 헉슬리 가문 |
서명 | |
![]() |
2. 생애 및 교육
앤드루 헉슬리는 1917년 11월 22일 영국 런던 햄프스테드에서 레너드 헉슬리와 그의 두 번째 부인 로잘린드 브루스 사이에서 태어난 막내 아들로, 올더스 헉슬리와 줄리안 헉슬리의 이복 형제이자, 생물학자 T. H. 헉슬리의 손자였다.[3]
12살 무렵, 앤드루는 형 데이비드와 함께 부모님으로부터 선반을 선물 받았다. 그는 나무 촛대부터 작동하는 내연 기관에 이르기까지 모든 종류의 기계적 물체를 설계, 제작 및 조립하는 데 능숙했으며, 훗날 연구에 필요한 전문 장비의 상당 부분을 직접 제작하면서 이러한 실용적인 기술을 활용했다. 십 대 초반에 현미경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는 평생 동안 지속되었다.[3]
헉슬리는 런던 중심부에 있는 유니버시티 칼리지 학교와 웨스트민스터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웨스트민스터 학교에서는 킹스 장학생이었다. 케임브리지 트리니티 칼리지에 입학하여 자연 과학을 전공으로 장학금을 받았다. 원래 엔지니어가 되려고 했지만, 선택 과목으로 생리학을 수강한 후 전공을 변경했다.[4]
2. 1. 가문 배경
헉슬리는 1917년 11월 22일 영국 런던 햄프스테드에서 작가이자 편집자인 레너드 헉슬리와 그의 두 번째 부인 로잘린드 브루스 사이에서 태어난 막내 아들이다. 올더스 헉슬리와 줄리안 헉슬리의 이복 형제이자, 생물학자 T. H. 헉슬리의 손자였다.[3]2. 2. 어린 시절
앤드루 헉슬리는 1917년 11월 22일 영국 런던 햄프스테드에서 태어났다. 레너드 헉슬리와 그의 두 번째 부인 로잘린드 브루스 사이에서 태어난 막내 아들이었다. 올더스 헉슬리와 생물학자 줄리안 헉슬리의 이복 형제이자, 생물학자 T. H. 헉슬리의 손자였다.12살 무렵, 앤드루와 그의 형 데이비드는 부모님으로부터 선반을 선물 받았다. 앤드루는 나무 촛대부터 작동하는 내연 기관에 이르기까지 모든 종류의 기계적 물체를 설계, 제작 및 조립하는 데 능숙했다. 훗날 연구에 필요한 전문 장비의 상당 부분을 직접 제작하면서 이러한 실용적인 기술을 활용했다. 십 대 초반에 현미경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는 평생 동안 지속되었다.[3]
2. 3. 교육 과정
헉슬리는 런던 중심부에 있는 유니버시티 칼리지 학교와 웨스트민스터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웨스트민스터 학교에서는 킹스 장학생이었다. 케임브리지 트리니티 칼리지에 입학하여 자연 과학을 전공으로 장학금을 받았다. 원래 엔지니어가 되려고 했지만, 선택 과목으로 생리학을 수강한 후 전공을 변경했다.[4]3. 과학 연구 경력
1939년 앨런 로이드 호지킨이 미국에서 돌아온 후, 헉슬리는 그의 대학원생이 되어 신경 섬유를 따라 전기 신호가 전달되는 과정에 대한 연구를 함께 진행했다.[5] 이들은 플리머스의 해양 생물 협회 연구소에서 긴 지느러미 연안 오징어(''Doryteuthis pealeii'')의 오징어 거대 축삭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했고,[5] 전기 생리학의 전압 고정 기술을 사용하여 이온 전류를 기록했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연구가 일시 중단되기도 했지만, 전쟁이 끝난 후 호지킨과의 공동 연구를 재개하여 신경 임펄스(활동 전위)의 전달 원리를 밝혀냈다. 헉슬리와 호지킨은 이 연구로 1963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4]
1952년 활동 전위에 대한 연구를 마친 헉슬리는 근육 수축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그는 간섭 현미경을 직접 설계하고 제작하여 근육 수축을 관찰했으며, 1954년에는 활주 필라멘트 이론을 제시했다. 1966년 그의 팀은 활주 필라멘트 이론을 증명했으며, 이는 근육 생리학에 대한 현대적 이해의 기초가 되었다.[13]
헉슬리는 1961년 영국과 러시아 교수 간 교환 계획의 일환으로 키예프 대학교에서 신경생리학을 강의했으며,[14] 1950년부터 1957년까지 ''생리학 저널''과 ''분자 생물학 저널''의 편집자로 활동했다.[14] 또한 동물 반사경 등 관련 분야에 대한 이론적 연구에도 기여했다.[15]
3. 1. 활동 전위 연구 (앨런 로이드 호지킨과의 공동 연구)
1939년 앨런 로이드 호지킨이 미국에서 돌아온 후, 헉슬리는 그의 대학원생이 되었다. 호지킨은 신경 섬유를 따라 전기 신호가 전달되는 과정에 관심을 가졌고, 헉슬리에게 이 문제를 함께 연구하자고 제안했다.[5] 이들은 플리머스의 해양 생물 협회 연구소에서 긴 지느러미 연안 오징어(''Doryteuthis pealeii'')의 오징어 거대 축삭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했다.[5] 이들은 전기 생리학의 전압 고정 기술을 사용하여 이온 전류를 기록했다. 1939년 신경 섬유 내부에서 활동 전위를 기록하는 데 성공했음을 발표하는 짧은 논문을 ''네이처''에 게재했다.[6]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연구가 일시 중단되었다. 1946년 전쟁이 끝난 후 호지킨과의 공동 연구를 재개했다. 플리머스에서 연구를 계속하면서, 신경 임펄스(활동 전위)가 섬유의 중심이 아닌 바깥쪽 막을 따라 이동하며, 나트륨 이온의 안쪽 확산과 칼륨 이온의 바깥쪽 확산으로 전달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1952년 활동 전위가 전달되는 방식에 대한 이론을 발표했다.[7] 이 모델은 이후 40년 동안 신경생물학에서 사용된 대부분의 모델의 기초가 되었다.[8]
헉슬리와 호지킨은 신경 세포의 활동 전위 연구를 통해 신경 전달의 이온 메커니즘을 밝혀낸 공로로 1963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4]
3. 2. 근육 수축 연구
1952년 활동 전위에 대한 연구를 마친 헉슬리는 근육이 어떻게 수축하는지에 대한 문제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근육의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수축하는 동안 필라멘트 네트워크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관찰하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했다. 그는 간섭 현미경을 직접 설계하고 제작하여 근육 수축을 관찰했다. 이를 통해 기존 현미경보다 더 정밀하게 근육 수축을 관찰하고 섬유 유형을 쉽게 구별할 수 있었다.[12]1953년 롤프 니더게르케와 함께 근육 운동의 특징을 발견했다. 비슷한 시기 휴 헉슬리와 진 핸슨도 비슷한 관찰을 하고 있었다. 두 팀은 1954년 5월 22일 ''네이처''에 논문을 동시에 게재했다.[9][10] 이들은 근육 수축의 활주 필라멘트 이론을 제시했다.[11] 헉슬리는 자신의 연구 결과와 동료들의 연구를 종합하여 1957년 근육 구조와 근육 수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출판했다.[12] 1966년 그의 팀은 활주 필라멘트 이론을 증명했으며, 이는 근육 생리학에 대한 현대적 이해의 기초가 되었다.[13]
3. 3. 기타 연구 및 활동
헉슬리는 1961년 영국과 러시아 교수 간 교환 계획의 일환으로 키예프 대학교에서 신경생리학을 강의했다.[14] 1950년부터 1957년까지 ''생리학 저널''과 ''분자 생물학 저널''의 편집자로 활동했다.[14] 동물 반사경 등 관련 분야에 대한 이론적 연구에도 기여했으며,[15] 로버트 슈템플리와 함께 수초 신경 섬유에서 도약 전도가 일어남을 증명했다.4. 주요 직책 및 서훈
5. 개인사
1947년 헉슬리는 유전학자 마이클 피스 (에드워드 R. 피스의 아들)와 그의 아내 헬렌 보웬 웨지우드, 초대 웨지우드 남작의 장녀(참고: 다윈-웨지우드 가문)의 딸인 조슬린 "리쳰다" 가멜(결혼 전 성: 피스)과 결혼했다. 그들은 슬하에 1남 5녀를 두었다.
이름 | 출생일 |
---|---|
재닛 레이첼 헉슬리 | 1948년 4월 20일 |
스튜어트 레너드 헉슬리 | 1949년 12월 19일 |
카밀라 로잘린드 헉슬리 | 1952년 3월 12일 |
엘레노어 브루스 헉슬리 | 1959년 2월 21일 |
헨리에타 캐서린 헉슬리 | 1960년 12월 25일 |
클레어 마조리 피스 헉슬리 | 1962년 11월 4일 |
헉슬리는 2012년 5월 30일 케임브리지의 애든브룩 병원에서 사망했다.[24] 그는 6명의 자녀, 손자, 증손자를 남겼다. 그의 부인 리첸다 헉슬리 여사는 2003년 7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장례식은 2012년 6월 13일 트리니티 칼리지 채플에서 열렸고, 이후 사적인 화장이 거행되었다.[25]
6. 업적 및 평가
앨런 로이드 호지킨과의 실험 연구를 통해 헉슬리는 신경 임펄스, 즉 "활동 전위"에 대한 수학적 설명을 제공하는 일련의 미분 방정식을 개발했다. 이 연구는 동물 신경계의 기능에 책임이 있는 전압 감지 막 채널에 대한 모든 현재 연구의 기초를 제공했다.[3] 이와는 별도로, 그는 액틴과 미오신 필라멘트 사이의 활주력을 생성하여 골격근의 수축을 유발하는 미오신 "교차 다리"의 작용에 대한 수학 방정식을 개발했다. 이 방정식은 근육 수축을 이해하는 완전히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으며, 박테리아 수준 이상의 세포가 생성하는 거의 모든 움직임을 이해하는 데 확장되었다.[12] 스위스 생리학자 로버트 슈템플리와 함께 그는 수초 신경 섬유에서 도약 전도의 존재를 입증했다.
헉슬리는 신경 세포의 활동 전위 연구를 통해 신경 전달의 이온 메커니즘을 규명하여 존 에클스와 함께 1963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4] 헉슬리와 호지킨은 생물의 활동이 중추신경계에 의해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적 자극인 신경 활동 전위 과정에 대한 실험 및 수학적 연구로 상을 받았다. 에클스는 시냅스 전달에 대한 중요한 발견을 했다.
헉슬리는 1955년 왕립 학회 회원(FRS)으로 선출되었으며,[14] 1973년에는 "신경 임펄스 메커니즘과 근육 수축 활성화에 대한 뛰어난 연구"를 인정받아 코플리 메달을 수여받았다.[18] 1961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에 선출되었다.[19] 1974년 11월 12일 엘리자베스 2세 여왕에 의해 기사 작위를 받았다.[20] 1975년 미국 철학회에, 1979년에는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에 선출되었다.[21] 1983년 11월 11일 공로 훈장에 임명되었다. 1976-77년에는 영국 과학 협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1980년부터 1985년까지 왕립 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1986년에는 당시 공학 협회로 알려진 왕립 공학 아카데미의 명예 회원으로 선출되었다.[22]
데이비드 풀이 그린 헉슬리의 초상화는 케임브리지 트리니티 칼리지 컬렉션에 걸려 있다.[23]
이온 채널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활동 전위를 측정하는 실험에서, '전압 고정'이라고 불리는 전기 생리학적인 기술이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이 실험에 사용된 또 다른 중요한 요소는 대서양 오징어(''Doryteuthis pealeii'')의 거대한 축삭이었으며, 이를 통해, 일반적으로 다루기 힘들 정도로 작은 신경 섬유의 전류를 기록할 수 있었다. 이 실험은 1935년에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개구리의 좌골 신경을 사용하여 시작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중단을 거치면서 1940년대까지 이어졌다. 종전 후, 호지킨과 헉슬리는 1952년에 이론을 발표했다. 이 논문은 세계 최초로 생화학 분야에서 컴퓨터를 사용한 모델 중 하나가 되었으며, 향후 40년간 신경 생물학 모델의 기초가 되었다. 그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1960년까지 근무했으며, 그 후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의 생리학 부문장이 되었다. 1969년에는 왕립 학회 소속 교수가 되었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의 펠로우로서 생리학과 의학을 가르쳤다.
앤드루는 20세기에 가장 위대한 수리 생물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호지킨과의 연구에서, 신경 임펄스에 활동 전위로서의 수학적인 설명을 제공하는 일련의 미분 방정식을 확립했다. 이 연구는 동물의 신경계에 대한 이해에 필수적인 전위 의존성 막 채널 연구의 기초가 되었다. 그 외에도 그는 골격근의 수축 시에, 액틴-미오신 섬유상에서 미오신이 슬라이드하는 원동력이 되는 미오신의 가교 현상을 수학적으로 기술하는 방정식도 고안했다. 이 방정식은 근육의 수축에 관해 완전히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했으며, 이를 통해, 세균 이상의 모든 세포의 운동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게 되었다.
7. 저서
- 헉슬리, A. F. (1980). 《근육에 대한 고찰》. 셰링턴 강좌 XIV. 리버풀.
참조
[1]
서적
The History of Neuroscience in Autobiography
https://www.sfn.org/[...]
Academic Press and Society for Neuroscience
[2]
논문
Andrew Fielding Huxley (1917–2012)
[3]
뉴스
Sir Andrew Huxley obituary
https://www.theguard[...]
2023-12-16
[4]
웹사이트
Andrew F. Huxley – Biographical
https://www.nobelpri[...]
2023-12-16
[5]
서적
The Brain, the Nervous System, and Their Diseases
Greenwood Publishing Group
[6]
논문
Action potentials recorded from Inside a nerve fibre
[7]
웹사이트
hodgkin-huxley squid-axon 1952
https://www.ebi.ac.u[...]
2023-12-15
[8]
서적
Electrostimulation: Theory, Applications, and Computational Model
https://us.artechhou[...]
Artech House
2011
[9]
논문
Structural changes in muscle during contraction; interference microscopy of living muscle fibres
[10]
논문
Changes in the cross-striations of muscle during contraction and stretch and their structural interpretation
[11]
논문
A high-power interference microscope
[12]
논문
Muscle structure and theories of contraction
[13]
논문
The variation in isometric tension with sarcomere length in vertebrate muscle fibres
[14]
논문
Sir Andrew Fielding Huxley OM. 22 November 1917 – 30 May 2012
[15]
논문
A theoretical treatment of reflexion of light by multilayer structures
[16]
웹사이트
The Master of Trinity
http://www.trin.cam.[...]
Trinity College, Cambridge
[17]
웹사이트
Nobel Laureates associated with Imperial College London
http://www3.imperial[...]
Imperial College London
2011-12-28
[18]
웹사이트
Copley Medal
https://royalsociety[...]
2023-12-16
[19]
웹사이트
Andrew Fielding Huxley
https://www.amacad.o[...]
2022-08-01
[20]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2-08-01
[21]
웹사이트
Andrew Huxley
http://www.nasonline[...]
2022-08-01
[22]
웹사이트
Huxley, Sir Andrew Fielding
https://doi.org/10.1[...]
2023-10-07
[23]
웹사이트
Trinity College, University of Cambridge
https://www.bbc.co.u[...]
BBC Your Paintings
2018-02-12
[24]
간행물
Huxley, Sir Andrew Fielding (1917–2012), physiologist
2016-01-07
[25]
웹사이트
Sir Andrew Huxley (1917–2012)
https://www.trin.cam[...]
Trinity College, Cambridge
2014-02-25
[26]
뉴스
Sir Andrew Huxley
http://www.guardian.[...]
The Guardian
2012-06-01
[27]
저널
Supplement to The London Gazette: 1974 Birthday Honours
https://www.thegazet[...]
1974-06-07
[28]
저널
The London Gazette
https://www.thegazet[...]
1983-1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