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서니 레깃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앤서니 레깃은 영국의 이론 물리학자이며, 초유체와 초전도 연구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200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구리산화물 초전도 현상, 고도로 축퇴된 원자 기체의 초유동 현상, 비정질 고체의 저온 특성, 양자역학의 공식화에 관한 개념적 문제 및 위상 양자 계산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했다. 1980년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2004년 대영 제국 훈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리노이 대학교 - 존 바딘
존 바딘은 트랜지스터와 초전도 현상에 대한 이론적 설명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두 번 수상한 미국의 물리학자로서, 트랜지스터 발명과 BCS 이론 발표를 통해 현대 전자공학과 물리학 발전에 혁신적인 기여를 했다. - 일리노이 대학교 -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은 1867년 설립된 일리노이주 소재 공립 연구 중심 대학교로,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제공하며, 높은 연구 성과와 더불어 수많은 노벨상 및 퓰리처상 수상자, 세계적인 기업 창업자를 배출한 명문 대학이다. - 옥스퍼드 대학교 모들린 칼리지 교수 - 길버트 라일
길버트 라일은 영국의 분석철학자로, 심신이원론을 비판하며 마음을 행동의 경향성으로 재해석한 『마음의 개념』과 '알고 있다'의 구분, '두꺼운 기술' 개념 등으로 철학, 인지과학, 문화인류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 옥스퍼드 대학교 모들린 칼리지 교수 - 에르빈 슈뢰딩거
에르빈 슈뢰딩거는 파동역학 창시와 슈뢰딩거 방정식 유도로 양자역학 발전에 기여한 오스트리아 이론물리학자로서, 노벨 물리학상 수상, '슈뢰딩거의 고양이' 사고 실험, 색채 과학 및 철학 연구, 『생명이란 무엇인가』 저술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으나 사생활 논란도 있었다.
앤서니 레깃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앤서니 제임스 레겟 |
출생일 | 1938년 3월 26일 |
출생지 | 런던, 캠버웰 , 잉글랜드 |
국적 | 영국 및 미국 |
학문 | |
분야 | 물리학 |
근무지 | 서식스 대학교 워털루 대학교 양자 정보 컴퓨팅 연구소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샴페인 |
모교 | 옥스퍼드 대학교 (BA, DPhil) |
학위 취득 연도 | 1964년 |
박사 지도교수 | 디르크 테르 하르 |
박사 과정 학생 | 아미르 칼데이라 매튜 피셔 모히트 란데리아 |
주요 업적 | 칼데이라-레겟 모형 (양자 소산) 레겟-가르그 부등식 레겟 부등식 헬륨-3의 초유체 상 |
수상 | |
수상 내역 | 맥스웰 메달 및 상 (1975년) FRS (1980년) IOP 디랙 메달 (1992년) 노벨 물리학상 (2003년) 울프 물리학상 (2002년) KBE (2004년) |
개인 정보 | |
배우자 | 기나세 하루코(1972년 결혼) |
2. 생애
레깃은 런던 남부 캠버웰에서 태어나 가톨릭 신자로 자랐다.[10] 아버지의 조상은 햄프셔의 작은 마을에서 구두 수선공이었고, 할아버지는 채소 장수, 아버지는 런던 코벤트 가든 시장에서 채소를 사러 다녔다. 어머니는 아일랜드계로, 아버지는 채텀 해군 조선소에서 서기로 일했다.[10] 외할머니는 80대까지 장수했으며, 열두 살에 가사 노동에 투입되었다.
부모는 모두 런던 대학교 교육 연구소에서 만나 결혼했다. 아버지는 물리학, 화학, 수학 중등학교 교사였고, 어머니도 수학을 가르쳤지만 레깃이 태어나면서 그만두었다. 레깃은 20대 초반에 가톨릭 신앙을 버렸다.[10]
1973년 6월 키나세 하루코와 결혼하여 1978년 딸 아사코를 낳았다.[10] 아내 하루코는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UIUC)에서 문화인류학 박사 학위를 받고 호스피스 시스템을 연구했다.[10] 딸 아사코는 UIUC에서 지리학과 화학을 복수 전공했으며, 미국/영국 이중 국적을 가지고 있다.[10]
2. 1. 어린 시절과 교육
레깃은 런던 남부 캠버웰의 가톨릭교 집안에서 자랐다.[10] 그의 아버지는 청과물 상인이었고, 어머니는 아일랜드 출신 이주민이었다. 그의 부모는 런던 대학교 교육 연구소에서 만나 약혼했다. 아버지는 물리학, 화학, 수학의 중등학교 교사였고, 어머니 또한 한동안 중등학교 수학을 가르쳤지만, 레깃이 태어났을 때 그만두어야 했다.[10]레깃은 태어난 직후 사우스 런던 어퍼 노우드에서 살다가, 18개월이 되었을 때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여 서리의 잉글필드 그린으로 피신하였다. 전쟁이 끝난 후 어퍼 노우드 집으로 돌아와 1950년까지 살았다. 그는 지역 가톨릭 초등학교, 중학교를 다녔고, 11-플러스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어 윔블던 칼리지로 전학했다.
이후 올드 윈저에 있는 예수회 학교인 보몽 칼리지에 다녔다. 보몽에서 주로 고전을 공부했고, 마지막 해에는 그 해에 공부한 모든 과목에서 상을 받았다.
1954년 옥스퍼드 발리올 칼리지에서 장학금을 받았고, 이듬해 리테라이 휴마니오레스 (고전) 학위를 받기 위해 입학했다. 첫 번째 학위를 마친 후, 옥스퍼드 머튼 칼리지에서 물리학을 전공으로 두 번째 학부 학위를 시작했다.[11] 옥스퍼드 대학교는 2005년 6월 레깃에게 명예 문학 박사 학위를 수여했다.
2. 2. 학문적 경력
레깃은 1954년 옥스퍼드 대학교 베일리얼 칼리지에서 고전문학을 전공했으며, 이후 머튼 칼리지에서 물리학을 제2전공으로 공부하였다. 1964년 8월부터 1965년 8월까지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UIUC)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있었고, 이후 일본 교토 대학교에서 1년 동안 연구하였다.[12] 그는 데이비드 파인스와 존 바딘, 고든 베이엄, 레오 카다노프 등과 함께 연구했으며, 교토 대학교에서는 마츠바라 타케오 교수 연구실에서 연구했다.[12]옥스퍼드, 하버드, 일리노이에서 1년 더 연구한 후, 1967년 가을 서식스 대학교에서 강사직을 맡아 15년 동안 재직하였다. 1970년대 중반에는 도쿄 대학교와 가나의 쿠마시 콰메 은크루마 과학 기술 대학교에서 시간을 보냈다.
1982년 UIUC의 맥아더 석좌 교수 제안을 받아들였고, 1983년 초 코넬에서 8개월간 객원 과학자로 머문 후,[12] 같은 해 가을부터 UIUC에서 재직하고 있다. 1980년경부터 그의 연구 관심사는 초유동 3He에서 저온 유리의 특성, 고온 초전도 현상,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원자 기체, 양자역학의 현실 적용성 등으로 옮겨갔다.
2006년부터 2016년까지 캐나다 워털루 대학교의 양자 컴퓨팅 연구소에서도 직책을 맡았다. 2007년부터는 워털루 대학교의 Institute for Quantum Computing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023년 4월 현재, UIUC 응집 물질 이론 연구소의 수석 과학자로 재직 중이다. 2013년에는 상하이 복합물리 센터의 창립 이사가 되었다.[13] 1960년대 중반에는 교토 대학 이학부에서 일본어 논문 영문 번역 업무를 맡았으며, 일본어에 유창하다. 그 경험을 바탕으로 이공계 논문 작성법을 발표하여, 현재는 기본 명저로 자리 잡았다.[17] 1980년 왕립 학회 펠로우로 선출되었다.
2. 3. 개인사
레깃은 런던 남부 캠버웰의 기독교 집안에서 자랐다. 그의 아버지는 마을의 청과물 상인이었고, 어머니는 아일랜드 출신의 영국 이주민이었다. 두 사람 모두 각자의 집안에서 처음으로 대학 교육을 받았다. 아버지는 교육을 받은 후 물리, 화학, 수학 교사로 일했고 어머니는 수학교사로 일했다. 어머니는 레깃과 그의 두 명의 여자 형제와 두 명의 남자 형제가 태어나면서 교직을 그만두었다.레깃은 태어난 직후 어퍼 노르우드에서 살다가 생후 18개월이 됐을 때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여 그의 가족은 엥글필드 그린으로 피신하였다. 전쟁이 끝나고 레깃은 마을에 있는 가톨릭 초등학교, 중학교를 다녔고 졸업시험(Eleven plus exam)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어 다른 학생들보다 일찍 윔블던 고등학교에 들어가 공부하였다.
1964년 8월부터 1965년 8월까지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에서, 그 후에는 일본의 교토 대학교에서 1년 동안 박사후 과정을 밟았다. 그는 1년 동안 옥스퍼드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일리노이 대학교 등을 오가며 박사후 과정을 계속했다. 1967년 가을, 서식스 대학교에서 강의를 시작했고 이후 15년 동안 이 대학에서 일하였다.
1983년 레깃은 코넬 대학교에서 8개월 동안 있다가 같은 해 가을부터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에서 일하고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그의 관심 분야는 초유체 헬륨에서 저온 유리의 특성, 고온 초전도, 그리고 양자역학의 현실 적용성으로 바뀌었다.
2007년에는 캐나다 워털루 대학교의 자리를 제안 받아 1년에 2개월 이상씩 그 캠퍼스에서 연구하였다.
1973년 6월, 키나세 하루코와 결혼했다. 그들은 영국 브라이튼의 서섹스 대학교에서 만났다. 1978년에 딸 아사코를 낳았다.[10] 그의 아내 하루코는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UIUC)에서 문화인류학 박사 학위[10]를 받았으며 호스피스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10] 딸 아사코 또한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UIUC)에서 지리학과 화학을 복수 전공으로 졸업했다. 그녀는 미국/영국 이중 국적을 가지고 있다.[10]
1960년대 중반에 교토 대학교 이학부에서 일본어 논문의 영문 번역 및 열람 업무(Progress of Theoretical Physics의 Language Consultant)를 맡았으며, 일본어에 유창하다. 그 경험을 바탕으로 이공계 논문 작성법을 발표하여, 현재는 기본 명저로 자리 잡았다.[17] 1980년 왕립 학회 펠로우로 선출되었다. 2007년부터는 Institute for Quantum Computing(워털루 대학교)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3. 주요 연구 업적
레깃은 큐프레이티 초전도, 양자역학과 관련된 근본적 개념, 비결정질 고체의 저온 특성, 위상수학을 사용한 양자 계산에 초점을 맞춘 연구를 진행했다. 특히 구리산화물 초전도 현상, 고도로 축퇴된 원자 기체의 초유동 현상 연구에 주력했다.
2005년 12월 29일자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에는 "아인슈타인의 '유령 같은' 현실에 대한 새로운 시험"이라는 기사가 게재되었다.[14] 이 기사에서는 캘리포니아주 버클리에서 열린 컨퍼런스에서 레깃이 하버드 대학교의 노먼 램지와 양자 이론을 바꾸려는 시도의 가치에 대해 논쟁한 내용을 다루었다. 레깃은 측정 문제 때문에 양자역학이 불완전할 수 있다고 믿고 이러한 시도가 정당하다고 생각한 반면, 램지는 이에 반대했다.
주요 연구 업적으로는 칼데이라-레겟 모델, 레깃 프로그램(거시적 터널 효과의 실증을 위한 일반적인 지침)이 있다.
3. 1. 초유동 헬륨-3
레깃은 구리산화물 초전도 현상, 고도로 축퇴된 원자 기체의 초유동 현상, 비정질 고체의 저온 특성, 양자역학의 공식화에 관한 개념적 문제 및 위상 양자 계산에 초점을 맞춘 연구를 진행했다.2005년 12월 29일자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에는 "아인슈타인의 '유령 같은' 현실에 대한 새로운 시험"이라는 기사가 게재되었다. 이 기사에서는 레깃이 2005년 가을 캘리포니아주 버클리에서 열린 컨퍼런스에서 하버드 대학교의 노벨상 수상자인 노먼 램지와 벌인 논쟁을 다루었다.[14] 레깃과 램지는 양자 이론을 바꾸려는 시도의 가치에 대해 논쟁했다. 레깃은 측정 문제 때문에 양자역학이 불완전할 수 있다고 믿고 이러한 시도가 정당하다고 생각한 반면, 램지는 이에 반대했다.
3. 2. 칼데이라-레깃 모델
레깃의 연구는 구리산화물 초전도 현상, 고도로 축퇴된 원자 기체의 초유동 현상, 비정질 고체의 저온 특성, 양자역학의 공식화에 관한 개념적 문제 및 위상 양자 계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14]2005년 12월 29일자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은 "아인슈타인의 '유령 같은' 현실에 대한 새로운 시험"이라는 기사를 게재했는데, 이 기사에서는 레깃이 2005년 가을 캘리포니아주 버클리에서 열린 컨퍼런스에서 하버드 대학교의 노벨상 수상자인 노먼 램지와 벌인 논쟁을 언급했다. 두 사람은 양자 이론을 바꾸려는 시도의 가치에 대해 논쟁했다. 레깃은 이러한 시도가 정당하다고 생각했고, 램지는 반대했다. 레깃은 측정 문제 때문에 양자역학이 불완전할 수 있다고 믿는다.
- 칼데이라-레겟 정리
- 레겟 구상(Leggett Program, 거시적 터널 효과의 실증을 위한 일반적인 지침)
3. 3. 레깃 프로그램 (Leggett Program)
앤서니 레깃의 연구는 구리산화물 초전도 현상, 고도로 축퇴된 원자 기체의 초유동 현상, 비정질 고체의 저온 특성, 양자역학의 공식화에 관한 개념적 문제 및 위상 양자 계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2005년 12월 29일자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은 "아인슈타인의 '유령 같은' 현실에 대한 새로운 시험"이라는 기사를 게재했는데, 이 기사에서는 레깃이 2005년 가을 캘리포니아주 버클리에서 열린 컨퍼런스에서 하버드 대학교의 노벨상 수상자인 노먼 램지와 벌인 논쟁을 언급했다.[14] 레깃과 램지는 양자 이론을 바꾸려는 시도의 가치에 대해 논쟁했다. 레깃은 측정 문제 때문에 양자역학이 불완전할 수 있다고 믿고 이러한 시도가 정당하다고 생각한 반면, 램지는 이에 반대했다.
레깃 프로그램(거시적 터널 효과의 실증을 위한 일반적인 지침)이 있다.
3. 4. 기타 연구
레깃의 연구는 구리산화물 초전도 현상, 고도로 축퇴된 원자 기체의 초유동 현상, 비정질 고체의 저온 특성, 양자역학의 공식화에 관한 개념적 문제 및 위상 양자 계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14]2005년 12월 29일자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에는 "아인슈타인의 '유령 같은' 현실에 대한 새로운 시험"이라는 기사가 게재되었는데, 이 기사에서는 레깃이 2005년 가을 캘리포니아주 버클리에서 열린 컨퍼런스에서 하버드 대학교의 노벨상 수상자인 노먼 램지와 벌인 논쟁을 언급했다. 두 사람은 양자 이론을 바꾸려는 시도의 가치에 대해 논쟁했다. 레깃은 이러한 시도가 정당하다고 생각했고, 램지는 반대했다. 레깃은 측정 문제 때문에 양자역학이 불완전할 수 있다고 믿는다.
4. 수상 및 서훈
레깃은 2003년에 비탈리 긴즈부르크, 알렉세이 아브리코소프와 함께 초유체와 초전도 연구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16] 또, 압축된 물질에 관한 연구로 2002년/2003년 울프 물리학상을 B. I. 할페린과 공동 수상했다.[16]
1980년 왕립 학회 회원(FRS)으로 선출되었고,[4] 1985년에는 미국 물리학회 및 미국 물리학 연구소 회원, 1998년에는 물리학 연구소 명예 회원(HonFInstP)으로 선출되었다.[15]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미국 철학 학회,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외국인 회원), 인도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기도 하다.
2004년 대영 제국 훈장 2등급(KBE, 작위급 훈장)을 받았다.[16]
연도 | 상 |
---|---|
1981년 | 사이먼 기념상 |
1982년 | 프리츠 런던 기념상 |
1992년 | 디랙상 |
1999년 | 유진 페엔버그 기념 메달 |
2002년 | 울프상 물리학 부문 |
2003년 | 노벨 물리학상 |
2011년 | 인도 국립 과학 아카데미 외국인 회원 |
5. 저서
- The Problems of Physics|물리학 입문영어오푸스, 과학선서, 타카기 신 역, 키노쿠니야 서점, 1990년, ISBN 4314005394
참조
[1]
간행물
LEGGETT, Sir Anthony (James)
[2]
기타
MathGenealogy
[3]
서적
Teoria quântica: estudos históricos e implicações culturais
https://books.google[...]
SciELO – EDUEPB
2011-01
[4]
웹사이트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https://royalsociety[...]
Royal Society
[5]
웹사이트
Anthony Leggett UIUC Faculty page
http://www.physics.u[...]
[6]
웹사이트
Nobel Prize in Physics 2003.
http://nobelprize.or[...]
[7]
논문
A theoretical description of the new phases of liquid 3He
[8]
논문
Quantum tunneling in a dissipative system
http://www.icmt.illi[...]
[9]
Webarchive
"The Problems of Physics – A conversation with Tony Leggett"
http://www.ideasroad[...]
2013
[10]
웹사이트
Anthony J. Leggett – Autobiography
https://nobelprize.o[...]
[11]
서적
Merton College Register 1900–1964
Basil Blackwell
1964
[12]
웹사이트
Energy Programs | Principal Investigators
https://www.bnl.gov/[...]
[13]
웹사이트
上海复杂物理研究中心
http://sccp.physics.[...]
2018-01-15
[14]
뉴스
New tests of Einstein's 'spooky' reality
https://www.nytimes.[...]
[15]
웹사이트
Tony Leggett
https://physics.illi[...]
2024-11-18
[16]
간행물
London Gazette
2004-06-12
[17]
기타
A. J. Leggett:Notes on the Writing of Scientific English for Japanese Physicists
[18]
웹인용
Anthony Leggett UIUC Faculty page
http://www.physics.u[...]
[19]
웹인용
Nobel Prize in Physics 2003.
http://nobelprize.or[...]
[20]
논문
A theoretical description of the new phases of liquid 3He
[21]
논문
Quantum tunneling in a dissipative system
http://www.icmt.illi[...]
2009-08-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