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앨디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앨디 전투는 1863년 6월 17일, 미국 남북 전쟁 중 버지니아주 앨디에서 벌어진 기병전이다. 조지프 후커 북군 사령관과 알프레드 플리슨턴 기병 사령관의 지휘하에 북군은 J.E.B. 스튜어트 남군 기병대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앨디로 진격했다. 토마스 문포드 대령이 이끄는 남군 기병대는 앨디에서 북군과 교전했고, 치열한 전투 끝에 북군이 305명, 남군이 110~119명의 사상자를 내고 끝났다. 이 전투는 스튜어트가 리의 본대 위치를 탐색하려는 플레손턴의 시도를 지연시키는 데 성공한 일련의 전투 중 하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3년 6월 - 게티즈버그 전역
    게티즈버그 전역은 1863년 6월부터 7월까지 남북 전쟁 중 로버트 E. 리 장군이 이끄는 남부 연합군이 북부를 침공하여 벌어진 일련의 군사 작전으로, 게티즈버그 전투에서 북군이 승리하며 남군의 북부 침공을 저지하고 전쟁의 전환점이 되었다.
  • 1863년 6월 - 빅스버그 전투
    빅스버그 전투는 1863년 미시시피 강변의 빅스버그를 점령하기 위한 남북 전쟁의 주요 전투이며, 북군의 승리로 끝나 미시시피 강을 장악하고 남부 연합을 분단시켰으며 남북 전쟁의 전환점을 마련했다.
  • 버지니아주의 미국 남북 전쟁 - 매너서스 갭 전투
    매너서스 갭 전투는 1863년 7월 23일, 겟티스버그 전투에서 패배한 남부군을 차단하려는 북군의 시도로 벌어졌으나, 결정적인 승패 없이 종료되어 남부군이 셰넌도어 계곡으로 후퇴할 시간을 벌게 된 전투이다.
  • 버지니아주의 미국 남북 전쟁 - A. P. 힐
    A. P. 힐은 미국의 군인으로, 남북 전쟁 당시 남부 연합군의 장군으로 활약하며 스톤월 잭슨 휘하에서 '경사단'을 지휘하고 잭슨 사후에는 제3군단을 지휘했으나 피터스버그 포위전 중 전사했다.
  • 1863년 전투 - 매너서스 갭 전투
    매너서스 갭 전투는 1863년 7월 23일, 겟티스버그 전투에서 패배한 남부군을 차단하려는 북군의 시도로 벌어졌으나, 결정적인 승패 없이 종료되어 남부군이 셰넌도어 계곡으로 후퇴할 시간을 벌게 된 전투이다.
  • 1863년 전투 - 빅스버그 전투
    빅스버그 전투는 1863년 미시시피 강변의 빅스버그를 점령하기 위한 남북 전쟁의 주요 전투이며, 북군의 승리로 끝나 미시시피 강을 장악하고 남부 연합을 분단시켰으며 남북 전쟁의 전환점을 마련했다.
앨디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엘디 근처 기병전, 에드윈 포브스 그림
엘디 근처 기병전, 에드윈 포브스 그림
전투엘디 전투
분쟁미국 남북 전쟁
전역게티즈버그 전역
날짜1863년 6월 17일
장소버지니아주 라우던 카운티
좌표38.9826
결과불분명
교전 세력
교전국 1북부연방
교전국 2남부동맹
지휘관
북부연방 지휘관저드슨 킬패트릭
남부동맹 지휘관토마스 T. 문포드
부대
북부연방 부대2nd and 4th New York Cavalry
6th Ohio Cavalry
1st Massachusetts Cavalry
1st Maine Cavalry
1st Rhode Island Cavalry
남부동맹 부대1st, 2nd, 3rd, 4th, and 5th Virginia Cavalry
병력 규모
북부연방 병력2,000명
남부동맹 병력1,500명
사상자 및 피해
북부연방 사상자305명
남부동맹 사상자110–119명

2. 배경

1863년 늦봄, 연방군 사령관 조지프 후커와 그의 기병 사령관 알프레드 플리슨턴 준장 사이에는 긴장이 고조되었다. 플리슨턴의 기병대가 남부연합군의 J.E.B. 스튜어트 소장이 이끄는 기병대의 방어선을 뚫지 못하고, 6월 3일 이후 이동 중이던 북버지니아군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셰넌도어 계곡으로 접근하는 데 실패했기 때문이다.

이에 6월 17일, 플리슨턴은 스튜어트의 방어선을 돌파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데이비드 맥엠. 그레그 준장에게 매너서스 정션에서 서쪽으로 리틀 리버 턴파이크를 따라 앨디로 이동하라고 명령했다. 앨디는 리틀 리버 턴파이크가 애시비 갭 턴파이크와 스니커스 갭 턴파이크와 교차하는 지점 근처에 위치하여 전술적으로 중요한 곳이었다. 이 두 도로는 각각 애시비 갭과 스니커스 갭을 통해 블루 리지 산맥의 계곡으로 연결되는 통로였다.

3. 전투

6월 17일 이른 아침, 남군 먼포드 대령은 제2 버지니아 기병대와 제3 버지니아 기병대를 이끌고 라우던 계곡을 지나 동쪽으로 어퍼빌에서 미들버그를 거쳐 불런 산맥의 앨디(Aldie)로 향했다. 그는 적의 활동을 감시하기 위해 앨디에 초병선을 설치했고, 주력 부대는 마을 북서쪽 프랭클린 카터의 농장에 야영지를 마련했다.

오후 2시경, 저드슨 킬패트릭 준장이 지휘하는 북군 선봉 부대(제2 및 제4 뉴욕, 제6 오하이오, 제1 메인, 제1 로드아일랜드, 제1 매사추세츠 기병대)가 앨디에 도착했다. 앨디 서쪽에서 제1 매사추세츠 기병대가 먼포드의 초병과 마주쳐 교전 끝에 후퇴시켰다. 거의 동시에, 먼포드 여단의 나머지 부대(제1, 제4, 제5 버지니아 기병대, 윌리엄스 카터 위크햄 대령 지휘)는 앨디 서쪽 리틀 강(Little River) 근처 도버 밀스(Dover Mills)에 도착했다. 위크햄의 지시로 토머스 L. 로서 대령이 이끄는 제5 버지니아 기병대는 앨디 근처에서 야영지를 찾던 중 북군과 마주쳤고, 이들을 앨디 밖으로 몰아냈다. 로서 대령은 윌리엄 애덤 농장 동쪽에 저격수를 배치하고, 앨디에서 뻗어 나가는 두 개의 주요 도로(스니커스 갭 턴파이크와 애쉬비 갭 턴파이크)를 감제할 수 있는 능선에 방어선을 구축하여 북군의 반격에 대비했다.

곧이어 양측은 포병과 기병 전력을 증강하며 본격적인 전투에 돌입했다. 킬패트릭이 이끄는 북군은 먼저 스니커스 갭 턴파이크 방면으로 공격을 시도했으나, 석벽 뒤에 자리 잡은 남군 저격수들의 강력한 저항에 부딪혀 큰 피해를 보고 후퇴했다. 특히 제1 매사추세츠 기병대는 지형적으로 불리한 곳에서 남군의 효과적인 방어에 막혀 상당한 손실을 입었다. 애쉬비 갭 턴파이크 방면에서도 로서 부대의 방어선은 북군의 초기 공격을 성공적으로 막아냈다.

하지만 해 질 녘 북군의 증원 부대가 속속 도착하면서 전세는 북군에게 유리하게 기울기 시작했다. 특히 제6 오하이오 기병대가 애쉬비 갭 턴파이크 방면의 남군 방어선을 돌파하면서 남군의 저항은 약화되었다. 전투는 오후 8시경까지 이어졌으며, 미들버그 방면에서 북군 기병대가 나타났다는 스튜어트 장군의 보고와 후퇴 명령에 따라 먼포드는 휘하 부대를 서쪽으로 철수시켰다.

앨디 전투 결과 북군은 305명(전사 및 부상자)의 사상자를 냈고, 남군은 110명에서 119명 사이의 사상자를 기록했다. 이 전투는 스튜어트가 라우던 계곡을 넘어 장군 본대의 위치를 파악하려던 북군 플레손턴의 정찰 시도를 성공적으로 지연시킨 일련의 전투 중 첫 번째 전투였다.

3. 1. 주요 격전지

앨디 전투의 주요 격전지는 다음과 같다.

  • '''스니커스 갭 턴파이크 (Snickers Gap Turnpike)''': 6월 17일 이른 아침, 남군의 토머스 T. 먼포드 대령은 제2 버지니아 기병대 및 제3 버지니아 기병대를 이끌고 이곳을 지나 앨디에 초병선을 설치한 뒤, 북서쪽 프랭클린 카터 농장에 야영했다. 오후에 북군의 저드슨 킬패트릭 준장이 이끄는 부대가 앨디에 도착하면서 전투가 시작되었다. 킬패트릭은 스니커스 갭 턴파이크로 관심을 돌렸고, 포격전과 함께 격렬한 기병 전투가 벌어졌다. 처음에는 북군이 돌격했으나, 남군 먼포드 부대가 석벽 뒤에 배치한 저격수들의 맹렬한 사격으로 이를 저지하고 북군을 후퇴시켰다. 특히 제1 매사추세츠 기병대는 이 도로의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급커브에서 남군의 매복에 걸려 큰 피해를 입었다. 전투에 참여한 8개 중대 294명 중 198명을 잃는 심각한 손실이었으며, 헨리 리 히긴슨이 지휘하던 분견대는 백병전 끝에 거의 전멸했다.

  • '''애쉬비 갭 턴파이크 (Ashby Gap Turnpike)''': 남군의 토머스 L. 로서 대령이 이끄는 제5 버지니아 기병대는 앨디 서쪽에서 북군 제1 매사추세츠 기병대와 마주쳐 그들을 앨디 마을 너머로 몰아냈다. 로서 대령은 윌리엄 애덤 농장 동쪽에 저격수를 배치한 후, 이 도로를 포함한 두 갈래 길을 감시할 수 있는 능선에 병력을 배치했다. 북군의 제1 매사추세츠 기병대는 제4 뉴욕 기병대의 지원을 받아 후퇴하는 것으로 보이는 로서 부대에게 돌격했으나, 로서의 방어선은 견고했고 오히려 남군의 반격과 저격수들의 사격에 의해 격퇴당했다. 이로써 남군은 애쉬비 갭 턴파이크에 대한 지배력을 확보했다. 그러나 전투 후반, 어둠이 내릴 무렵 북군 증원군이 도착하면서 전세가 바뀌었다. 제6 오하이오 기병대가 애쉬비 갭 턴파이크에서 남군의 루벤 F. 보스턴 대위 분견대를 공격하여 큰 피해를 주었고, 이는 전투의 흐름을 바꾸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윌리엄 애덤 농장 (William Adam Farm)''': 남군의 토머스 L. 로서 대령은 북군을 앨디 밖으로 몰아낸 후, 이 농장 동쪽에 I 중대 소속 저격수 50명(루벤 F. 보스턴 대위 지휘)을 배치했다. 이 저격수들은 애쉬비 갭 턴파이크를 따라 배치되어 북군의 초기 공격을 효과적으로 막아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하지만 전투 막바지에 제6 오하이오 기병대가 애쉬비 갭 턴파이크를 따라 공격해오면서 이곳에 배치된 보스턴 대위의 저격수 분견대는 큰 피해를 입었으며, 대부분 전사하거나 포로가 되었다.


전장의 핵심 지역 및 연구 지역 지도


존 앨저넌 오웬스의 저서 '검과 펜 - 또는 전쟁과 문학 속 윌라드 글레이저의 모험'(1890)에 묘사된 "앨디 전투의 윌라드 글레이저 상사"


결과적으로 북군은 305명의 사상자를 냈고, 남군은 110명에서 119명 사이의 피해를 입었다. 먼포드는 미들버그에서 북군 기병대가 발견되었다는 스튜어트의 보고에 따라 서쪽으로 철수했다. 이 전투는 스튜어트가 라우던 계곡을 넘어 리 장군 본대의 위치를 파악하려는 북군 플레손턴의 시도를 성공적으로 지연시킨 첫 번째 전투였다.

4. 전투의 결과 및 영향

앨디 전투는 스튜어트가 라우던 계곡을 건너 의 본대 위치를 탐색하려던 플레손턴의 위협을 성공적으로 지연시킨 일련의 소규모 전투 중 첫 번째 전투였다. 스튜어트의 기병대는 플레손턴의 라우던 계곡 횡단을 지연시켜 리 군대의 위치를 파악할 기회를 빼앗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이러한 지연에도 불구하고 스튜어트 기병대의 정찰 및 차폐 역할은 게티즈버그 전역 전체적으로 볼 때 효과적이지 못했다는 평가도 있으며, 이는 남군에게 불리하게 작용했다.

북군은 이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상당한 피해를 입었다. 북군의 피해는 전사 및 부상자를 합하여 305명이었고, 남군의 피해는 110명에서 119명 사이였다. 특히 제1 매사추세츠 기병대는 전투에 참가한 294명 중 198명을 잃는 큰 피해를 입었으며, 이는 북군 기병대의 사기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앨디 전투 현장의 제1 매사추세츠 기병대 기념비.


한편, 북군의 제4 뉴욕 기병대 대령이었던 루이지 팔마 디 체스놀라는 이 전투 중 포로로 잡혀 1864년 5월까지 리비 감옥에 수감되었으나, 앨디 전투에서의 활약으로 훗날 명예 훈장을 수여받았다.

5. 전적지 보존

전장이 완전히 보호되지는 않았지만, 대체로 온전한 상태로 남아 있다. 앨디와 그곳의 제분소는 전투 당시의 모습과 거의 같다. 미국 50번 국도의 확장은 애쉬비 갭 턴파이크를 따라 전장의 일부를 훼손시켰다. 석조 벽과 농가는 스니커스 갭 턴파이크(현재의 734번 국도)를 따라 그대로 남아 있다. 제1 매사추세츠 연대가 전멸했던 맹목적인 굽이길을 따라 석조 벽이 있던 자리에는 생존자들이 세운 기념비가 전투 중의 헌신을 기리고 있다. 2012년 5월 8일, 밥 맥도넬 주지사는 남북 전쟁 신탁이 매입하고 나중에 공원 관리 당국에서 수동적인 역사 해석 장소로 운영할 5에이커 부지의 보존을 발표했다. 그 부지는 루든/포키어 카운티 경계에 있으며 1863년 6월 17일~21일 앨디 전투, 미들버그 전투, 어퍼빌 전투의 핵심적인 장소였다. 남북 전쟁 신탁(미국 전장 신탁의 부서)과 그 파트너들은 2001년 이후 네 차례의 매입을 통해 전장의 605acre를 확보하고 보존했다.[2]

6. 주요 인물

루이지 팔마 디 체스놀라는 제4 뉴욕 기병대의 대령으로, 전투 중 포로로 잡혀 1864년 5월까지 리비 감옥에 수감되었다. 그는 앨디 전투에서의 활약으로 명예 훈장을 수여받았다.

참조

[1] 웹사이트 NPS http://www.cr.nps.go[...] 2006-05-26
[2] 웹사이트 Saved Land https://www.battlefi[...] 2018-05-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