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앵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앵삼은 중국과 한국에서 착용된 의복으로, 특히 한국에서는 조선 시대에 앵삼이라는 형태로 나타났다. 앵삼은 중국의 란산과 유사하나 색상이 달랐으며, 국가 고시나 정부 행사에서 정식 의복으로 사용되었다. 란산은 선비족에 의해 도입되어 한족의 일상복으로 자리 잡았고, 당나라, 송나라, 명나라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다. 한국에서는 란산을 난삼이라고 불렀으며, 조선 영조 때 과거 급제자의 관복으로 채택되었다. 앵삼은 나이팅게일의 색깔에서 유래된 노란색을 띠며, 조선 후기에 착용되기 시작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의상 - 한푸
    한푸는 중국 전통 의상으로, 4천 년의 역사를 거치며 발전해 왔으며, 시대별로 다양한 스타일과 문화적 영향을 받아 변화해 왔다.
  • 중국의 의상 - 치파오
    치파오는 만주족 기마복에서 유래되어 서양 의복의 영향을 받아 현대적인 형태로 변화한 중국 여성의 대표적인 전통 의상으로, 몸에 꼭 맞는 실루엣과 옆트임이 특징이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로 발전해왔고 현대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중국 문화를 상징하는 의상으로 국제적인 인지도를 얻고 있다.
  • 조선의 복식 - 한복
    한복은 한국의 전통 의복으로, 저고리와 바지 또는 치마를 기본으로 다양한 옷과 액세서리로 구성되어 삼국시대부터 기본적인 형태가 유지되며 시대와 계층에 따라 변화해왔고, 현대에는 생활한복 등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일상복으로 활용이 증가하며 세계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 조선의 복식 - 색동저고리
    색동저고리는 여러 색깔의 천 조각을 이어 붙여 만든 옷으로, 주로 아이들이 명절에 입었으며 음양오행설에 기반한 색상으로 조화와 상생을 나타내고 어린이 인권 존중의 상징이기도 하다.
앵삼
개요
이름반령난삼 (盤領襴衫)
로마자 표기Panling lanshan
다른 이름난삼 (襴衫)
로마자 표기lanshan
한국어 표기난삼 (襴衫)
로마자 표기Namsam
학자와 학생의 정복으로 입는 반령난삼
학자와 학생의 정복으로 입는 반령난삼
설명

2. 역사

선비족에 의해 남북조 시대에 반령(盤領) 로브가 도입되었다.[4] 도입된 반령 로브는 한족의 일상복 형태가 되었으며, 한푸 시스템에 통합되어 중국화되었다.[4][5] 이는 당나라, 송나라, 명나라와 같은 다음 왕조에서 더욱 발전하고 표준화되었다.[5]

당나라 시대에는 란산이 북조 의복 시스템을 계승하여 좁은 소매를 갖게 되었다.[5] 붉은색 란산은 학자와 관리들이 부투라는 모자와 함께 착용했다.[3]

송나라 시대에는 란산의 소매가 넓어졌고, 문민주의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전통적인 한족 스타일로 회귀하면서 로브가 점점 더 넓어졌다.[5] 란산의 색상은 흰색 또는 미색으로 바뀌었다.[5]

흰색 란산은 명나라에서도 계속 착용되었다.[5] 명나라 시대에는 파란색 란산이 등장하기도 했다.[5]

한국에서 란산은 '난삼'(난삼/襴(幱/欄)衫)이라고 불렸다.[6][8] 난삼은 고대 중국 제도를 따온 것으로, 조선영조 때 과거에 급제한 학생들의 관복으로 채택되었다.[7][8] 조선 시대에는 앵삼(鶯衫)이라는 유사한 형태의 도포도 착용되었는데, 앵삼은 중국의 난삼과 유사하지만 색상이 달랐다.[6][8] 앵삼의 '앵'은 문자 그대로 "나이팅게일"을 뜻하는데, 이는 앵삼의 노란색이 유럽울새의 색깔과 같기 때문이다.[9] 앵삼은 국가 고시와 정부 행사에서 일종의 정식 의복으로 착용되었다.[10][11][12] 앵삼은 조선 후기에 착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7][8]

2. 1. 중국

선비족에 의해 남북조 시대에 반령(盤領) 로브가 도입되었다.[4] 도입된 반령 로브는 한족의 일상복 형태가 되었으며, 한푸 시스템에 통합되어 중국화되었다.[4][5] 이는 당나라, 송나라, 명나라와 같은 다음 왕조에서 더욱 발전하고 표준화되었다.[5]

당나라 시대에는 란산이 북조 의복 시스템을 계승하여 좁은 소매를 갖게 되었다.[5] 붉은색 란산은 학자와 관리들이 부투라는 모자와 함께 착용했다.[3]

송나라 시대에는 란산의 소매가 넓어졌고, 문민주의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전통적인 한족 스타일로 회귀하면서 로브가 점점 더 넓어졌다.[5] 란산의 색상은 흰색 또는 미색으로 바뀌었다.[5]

흰색 란산은 명나라에서도 계속 착용되었다.[5] 명나라 시대에는 파란색 란산이 등장하기도 했다.[5]

2. 2. 한국 (조선 시대)

한국에서 란산은 '난삼'(난삼/襴(幱/欄)衫)이라고 불렸다.[6][8] 난삼은 고대 중국 제도를 따온 것으로, 조선영조 때 과거에 급제한 학생들의 관복으로 채택되었다.[7][8] 조선 시대에는 앵삼(鶯衫)이라는 유사한 형태의 도포도 착용되었는데, 앵삼은 중국의 난삼과 유사하지만 색상이 달랐다.[6][8] 앵삼의 '앵'은 문자 그대로 "나이팅게일"을 뜻하는데, 이는 앵삼의 노란색이 유럽울새의 색깔과 같기 때문이다.[9] 앵삼은 국가 고시와 정부 행사에서 일종의 정식 의복으로 착용되었다.[10][11][12] 앵삼은 조선 후기에 착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7][8]

3. 디자인 및 구조

3. 1. 중국 란산

판링 란산은 넓은 소매에 검은색 테두리가 있으며, 단추로 고정되는 둥근 칼라가 특징이다. 그 아래에는 교차 칼라 속옷을 착용해야 한다. 옆트임이 있거나 없을 수 있는데, 옆트임이 없는 경우에는 속옷을 가리기 위한 옆판(암배)이 있다.

명나라의 정치인 펑충우(1556-1627 AD).

3. 2. 한국 난삼 및 앵삼

한국에서 란산은 '난삼'(난삼/襴(幱/欄)衫)이라고 불렸다.[6][8] 난삼은 고대 중국 제도를 따온 것으로, 조선영조 임금 시대에 과거에 급제한 학생들이 관복으로 착용했다.[7][8]

조선 시대에는 학생들은 '앵삼'(앵삼/鶯衫)이라고 불리는 유사한 형태의 도포도 착용했다. 앵삼은 중국의 난삼과 유사하지만 색상이 달랐다.[6][8] 앵삼의 '앵'은 문자 그대로 "나이팅게일/nightingale영어"을 뜻하는데, 이는 앵삼의 노란색이 나이팅게일의 색깔과 같기 때문이다.[9] 앵삼은 국가 고시와 정부 행사에서 일종의 정식 의복으로 착용되었다.[10][11][12] 앵삼은 조선 후기에 착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7][8]

4. 유사 의복

원령산은 란삼과 형태가 유사한 둥근 깃의 의복이다. 심의는 고대 중국의 전통 의복으로, 란삼의 디자인에 영향을 주었다.

참조

[1] 간행물 https://www.scribd.c[...] 中国戏剧出版社 1986-10
[2] 간행물 https://www.scribd.c[...] 中州古籍出版社 2001-07
[3] 논문 The Development of Academic Dress in China https://newprairiepr[...] 2014-01-01
[4] 논문 돈황석굴벽화에 보이는 일반복식의 연구 https://dspace.ewha.[...] 1992
[5] 웹사이트 Chinese Traditional Costume - Lanshan for Scholars - 2022 https://www.newhanfu[...] 2020-11-28
[6] 웹사이트 난삼(襴(幱)衫) http://encykorea.aks[...] 1995
[7] 논문 A Study of Changes in Scholar's Costume During Chosun Dynasty - Centering on Sungkyunkwan Student's Uniform- http://www.koreascie[...] 1997
[8] 논문 欄杉의 硏究 http://dspace.ewha.a[...] 1978
[9] 웹사이트 Aengsam (Yellow-green Robe for the Successful) https://museum.danko[...]
[10] 서적 East Asian Collections in Scottish Museums https://www.nms.ac.u[...] National Museums Scotland 2020
[11] 웹사이트 Official/Court clothing http://www.lifeinkor[...]
[12] 웹사이트 앵삼 鶯衫 https://museum.danko[...]
[13] 뉴스 청주 산성서 17일 궁중의상 패션쇼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9-06-13
[14] 서적 선택받은 색 경향미디어 2006
[15] 뉴스 새 학위복 입고!!!!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5-05-25
[16] 뉴스 국립국악원 15일, 16일 궁중무용 '정재'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04-02-10
[17] 서적 무용학개론 대한미디어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