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초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앵초목은 과거 엥글러 분류 체계와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에서 사용되었던 속씨식물 분류의 목이다. 앵초목은 테오프라스타과, 자금우과, 앵초과를 포함하며, 신엥글러 분류 체계에서도 동일한 과를 포함한다. 그러나 APG 분류 체계에서는 앵초목을 인정하지 않고, 앵초목에 속했던 과들은 진달래목과 앵초과로 통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거에 인정되었던 식물 분류군 - 개미탑목
개미탑목은 과거 식물 분류 체계에서 장미아강에 속하는 목이었으나, 신 에글러 분류에서는 인정되지 않았고, 현대 APG 식물 분류 체계에서는 개미탑과가 장미목으로, 괭이밥과가 범의귀목으로 재분류되었다. - 과거에 인정되었던 식물 분류군 - 개비자나무과
개비자나무과는 동아시아와 북아메리카에 분포하는 상록 교목으로, 주목과 비슷하지만 독특한 구과로 구별되며, 생태계 다양성에 기여하고 목재 및 약용으로 활용되나 기후 변화와 환경 오염으로 보존 노력이 필요한 식물이다. - 식물분류학 - 장미군
장미군은 1830년 프리드리히 고틀리프 바르틀링이 발표한 식물 분류군에서 유래한 아강으로, APG IV 분류 체계에 따라 17개 목, 135개 과로 분류되며, 포도목과 진정장미군으로 나뉜다. - 식물분류학 - 학명
학명은 칼 폰 린네의 이명법에 따라 라틴어 또는 라틴어화된 단어로 속명과 종소명을 조합하여 생물 종을 나타내는 공식적인 이름으로,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며 하나의 종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데 사용된다.
앵초목 |
---|
2. 분류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에서 앵초목은 오아과아강에 속하며, 테오프라스타과, 자금우과, 앵초과의 3개 과를 포함한다.[1] 엥글러 분류 체계와 신엥글러 분류 체계에서도 앵초목에 포함되는 과는 같다. 엥글러 분류 체계에서 앵초목은 합판화아강에 속하며, 신엥글러 분류 체계에서는 합판화류에 속한다.[1]
그러나 APG 식물 분류 체계는 앵초목을 인정하지 않는다. APG 분류 체계에서는 기존 앵초목에 속해 있던 과들을 진달래목에 포함시키거나 앵초과로 통합한다.[1]
2. 1. APG 분류 체계
APG 식물 분류 체계는 이 목을 인정하지 않는다. 엥글러 분류 체계와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에서 이 목에 속해 있는 과는 앵초과를 비롯하여 진달래목에 포함되며, APG 식물 분류 체계 제3판에서는 모두 앵초과로 통합되었다.2. 2.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 1981년판에서 앵초목은 오아과아강에 속하며, 아래 3개 과를 포함한다.'''앵초목''' (Primulales)
* 테오프라스타과 (Theophrastaceae)
* 자금우과 (Myrsinaceae)
* 앵초과 (Primulaceae)
2. 3. 엥글러 분류 체계
APG 식물 분류 체계는 이 목을 인정하지 않는다. 엥글러 분류 체계와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에서 이 목에 속해 있는 과는 앵초과를 비롯하여 진달래목에 포함되며, APG 식물 분류 체계 제3판에서는 모두 앵초과로 정리되고 있다.엥글러 분류 체계는 합판화아강에 속하며, 다음 3개 과를 포함하고 있다.
- 테오프라스타과 (Theophrastaceae)
- 자금우과 (Myrsinaceae)
- 앵초과 (Primulaceae)
2. 4. 신엥글러 분류 체계
신엥글러 분류 체계에서도 앵초목에 포함되는 과는 같다. 앵초목은 합판화류에 속한다.: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
:: 쌍자엽식물강 (쌍떡잎식물)
::: 합판화아강 (Sympetalae)
:::: '''앵초목'''
::::* 테오프라스투스과
::::* 자금우과
::::* 앵초과
참조
[1]
논문
Phylogenetic interrelationships in the order Primulales,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family circumscriptions
https://cdnsciencepu[...]
2011-02-01
[2]
논문
THE GENERA OF THE PRIMULALES OF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https://www.jstor.or[...]
195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