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룽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룽강은 칭하이성에서 발원하여 쓰촨성을 거쳐 창장강(진사강)과 합류하는 강이다. 바얀하라산맥의 티베트-칭하이 고원에서 시작하여 남동쪽으로 흐르다가 간쯔현에서 남쪽으로 방향을 틀어 살루리산맥과 다쉐산맥 사이를 지난다. 야룽강 상류는 티베트 유목민들이 거주해왔고, 하류는 중국의 영향력 경계였다. 1980년대 이후 수력 발전을 위해 대규모 개발이 이루어져 총 23개의 댐이 건설되었거나 계획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칭하이성의 강 - 장강
장강은 티베트고원에서 발원하여 동중국해로 흐르는 중국 최장의 강이자 세계에서 세 번째로 긴 강으로, 중국 내륙 수운의 중심축이며 양쯔강으로도 알려져 있지만, 댐 건설과 환경 오염으로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 - 칭하이성의 강 - 진사강
진사강은 사금이 많이 채취되어 붙여진 이름으로, 장강의 상류를 가리키며 칭하이성에서 발원하여 티베트와 쓰촨 성의 경계를 이루며 흐르다 민강과 합류하여 장강이 되고, 현재는 대규모 댐 건설로 세계 최대 수력 발전소 밀집 지역이 되었다. - 쓰촨성의 강 - 장강
장강은 티베트고원에서 발원하여 동중국해로 흐르는 중국 최장의 강이자 세계에서 세 번째로 긴 강으로, 중국 내륙 수운의 중심축이며 양쯔강으로도 알려져 있지만, 댐 건설과 환경 오염으로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 - 쓰촨성의 강 - 진사강
진사강은 사금이 많이 채취되어 붙여진 이름으로, 장강의 상류를 가리키며 칭하이성에서 발원하여 티베트와 쓰촨 성의 경계를 이루며 흐르다 민강과 합류하여 장강이 되고, 현재는 대규모 댐 건설로 세계 최대 수력 발전소 밀집 지역이 되었다. - 장강의 지류 - 진사강
진사강은 사금이 많이 채취되어 붙여진 이름으로, 장강의 상류를 가리키며 칭하이성에서 발원하여 티베트와 쓰촨 성의 경계를 이루며 흐르다 민강과 합류하여 장강이 되고, 현재는 대규모 댐 건설로 세계 최대 수력 발전소 밀집 지역이 되었다. - 장강의 지류 - 황푸강
황푸강은 상하이시를 가로지르며 푸시와 푸둥을 나누는 경계 역할을 하고 창장 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상하이의 주요 식수원이자 교통로인 강이다.
야룽강 | |
---|---|
개요 | |
![]() | |
![]() | |
일반 정보 | |
이름 | 야룽강 |
원어 이름 | 雅砻江 |
원어 이름 (언어) | 중국어 |
다른 이름 | ཉག་ཆུ་ (티베트어) Nyagqu (티베트어 로마자 표기) |
어원 | 불명 |
길이 | 1,571km |
평균 방류량 (합류 지점) | 1,810m³/s |
유역 면적 | 128,444km² |
발원지 | 바얀 하르 산맥 |
발원지 좌표 | 34°12′27″N 97°36′24″E |
발원지 고도 | 4,920m |
하구 | 양쯔강 |
하구 위치 | 판즈화, 쓰촨 성 |
하구 좌표 | 26°36′20″N 101°48′5″E |
하구 고도 | 985m |
왼쪽 지류 | 안닝 |
오른쪽 지류 | 무리 |
지리 | |
국가 | 중국 |
2. 지리
야룽강은 칭하이성 위수 티베트족 자치주 칭두현 바얀하라산맥의 티베트-칭하이 고원에서 발원하며, 이곳에서 '''자취'''(扎曲|자취중국어)라고 불린다.[4] 남동쪽으로 흐르다가 간쯔현에서 점차 남쪽으로 방향을 틀어 서쪽의 살루리산맥과 동쪽의 다쉐산맥 사이를 흐른다.[5] 간쯔현 남쪽의 대부분 구간에서 깊은 협곡을 이루며, 쓰촨-티베트 고속도로는 야룽강 중류의 야장현에서 야룽강을 가로지른다. 량산 이족 자치주에서는 150km에 걸쳐 진핑산맥을 휘감아 진핑 만곡부를 형성하며, 진핑-II 댐 수력 발전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야룽강의 물을 산 아래로 우회시켰다. 야룽강은 쓰촨성 판즈화시에서 창장강 본류(진사강)와 합류한다.[6]
2. 1. 지류
야룽강의 지류는 다음과 같다.- 선수이허 (鲜水河|선수이허중국어)
- 리치우허 (力丘河|리치우허중국어)
- 리탕허 (理塘河|리탕허중국어)
- 주룽허 (九龙河|주룽허중국어)
- 안닝허 (安宁河|안닝허중국어)

3. 역사
야룽강 상류 지역은 전통적으로 캄 지역의 티베트 유목민들이 거주해 왔다. 야룽강 하류는 깊이 파여 있어 인간이 거주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야룽강 하류는 역사적으로 이 지역에서 중국 영향력의 서쪽 경계였다.[7]
4. 댐 건설 및 환경 문제
1980년대 이후 야룽강은 수력 발전을 위해 대규모 개발이 이루어졌으며[7], 총 23개의 댐이 건설되었거나 건설 중, 또는 계획 단계에 있다.[8][9]
4. 1. 댐 목록
1980년대 이후 야룽강은 수력 발전을 위해 대규모 개발이 이루어졌다.[7] 총 23개의 댐이 강에 건설되었거나, 건설 중이거나, 계획되어 있다. 다음은 하류에서 상류로 나열된 댐 목록이다.[8][9]댐 이름 | 상태 | 발전량(MW) |
---|---|---|
퉁쯔린 댐 | 건설 중 | 600 |
얼탄 댐 | 완공 | 3,300 |
관디 댐 | 완공 | 2,400 |
진핑 2 댐 | 완공 | 4,800 |
진핑 1 댐 | 완공 | 3,600 (세계에서 가장 높은 댐) |
칼라 댐 | 계획 | 1,060 |
양팡거우 댐 | 계획 | 2,200 |
멍디거우 댐 | 계획 | 1,700 |
렁구 댐 | 계획 | 2,300 |
야겐 댐 | 계획 | 1,500 |
량허커우 댐 | 완공 | 3,000 |
궁바거우 댐 | 계획 | 500 |
궁커 댐 | 계획 | 400 |
신룽 댐 | 계획 | 500 |
잉다 댐 | 계획 | 500 |
퉁하 댐 | 계획 | 200 |
거니 댐 | 계획 | 200 |
아다 댐 | 계획 | 250 |
르바 댐 | 계획 | 250 |
런칭링 댐 | 계획 | 300 |
원보시 댐 | 계획 | 150 |
다니칸두오 댐 | 계획 | 7.2 |
양리 댐 | 계획 | 1 |
참조
[1]
서적
Studies of the Biogeochemistry of Typical Estuaries and Bays in China
https://books.google[...]
2019-01-23
[2]
서적
Studies of the Biogeochemistry of Typical Estuaries and Bays in China
https://books.google[...]
2019-01-23
[3]
서적
Studies of the Biogeochemistry of Typical Estuaries and Bays in China
https://books.google[...]
2019-01-23
[4]
서적
Qinghai Sheng Dituce
Star Map Press
2011-01-01
[5]
서적
Atlas of China
SinoMaps Press
2006-01-01
[6]
서적
Sichuan Sheng Dituce
Star Map Press
2012-01-01
[7]
웹사이트
Yalong River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21-01-17
[8]
웹사이트
INTERACTIVE: Mapping China's "Dam Rush"
http://www.wilsoncen[...]
Wilson Center
2014-06-15
[9]
웹사이트
The Last Report on China's Rivers
https://www.scribd.c[...]
China's Rivers Report
2014-06-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