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수과소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수과소증은 양수량이 감소하는 임신 합병증으로, 태아의 건강과 임신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원인으로는 모체의 질환(임신중독증, 고혈압 등), 약물 복용, 태아의 요로 폐색, 태반 기능 부전 등이 있으며, 태아의 염색체 이상, 발육 부전, 양막 조기 파열 등과도 관련된다. 진단은 초음파 검사를 통해 이루어지며, 양수 지수(AFI) 또는 단일 최대 수직 깊이(SDP)를 측정하여 양수과소증을 판단한다.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다르며, 양수 주입, 태아 모니터링, 분만 시기 조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합병증으로는 태아의 신체 변형, 폐 형성 부전, 조산 등이 있으며, 예후는 원인, 심각성, 진단 시 임신 주수 등에 따라 달라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부인과 병리학 - 산욕열
산욕열은 출산 후 여성 생식 기관에 세균 감염으로 인해 발열, 오한, 복통, 악취 나는 분비물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장기간 분만이나 제왕절개 등이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며, 항생제 치료가 중요하고, 과거 높은 사망률을 보였으나 현재는 감소 추세이나 저소득 국가에서는 여전히 모성 사망의 주요 원인이다. - 산부인과 병리학 - 사산
사산은 임신 20주 또는 WHO 기준 28주 이후에 태아가 사망하여 출생하는 것으로, 탯줄 관련 사고, 감염, 선천성 기형, 모체 질환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유산과는 구별되고 부모에게 심리적 고통을 줄 수 있다.
양수과소증 | |
---|---|
질병 정보 | |
분야 | 산부인과 |
증상 | 양수 부족 태아 움직임 감소 |
원인 | 태반 문제 신장 문제 양막 파열 특정 약물 복용 |
진단 방법 | 초음파 검사 양수 지수 측정 |
치료 방법 | 수액 요법 양수 주입 조기 분만 유도 |
합병증 | 태아 성장 제한 사산 조산 양수 흡인 증후군 |
예방 | 특별한 예방법은 없으나, 산전 관리 및 정기적인 검진이 중요 |
빈도 | 임신의 약 4~8%에서 발생 |
사망률 | 태아 사망률 증가와 관련됨 |
2. 원인
양수량은 양수 생성량과 양수강에서 제거되는 양에 따라 결정된다. 임신 초기에는 양수의 주요 공급원은 태아 폐 분비물, 태아막을 통한 모체 혈장의 이동, 그리고 태반 표면이다. 임신 중기에 접어들면 태아의 신장이 소변을 생성하기 시작하며, 이는 임신 기간 동안 양수의 주요 공급원이 된다.[4]
양수과소증의 발생은 특발성일 수도 있고, 모체, 태아 또는 태반과 관련된 원인일 수도 있다.[5]
;모체 요인
자간전증, 만성 고혈압, 교원혈관 질환, 신병증, 혈전성향과 같은 질환은 자궁 태반 부전을 유발한다. 이러한 질환은 발달 중인 태아에게 혈액, 산소 및 영양분을 공급하는 태반과 같은 중요한 기관으로의 혈류를 감소시킨다. 태아로의 혈류 감소는 소변 생성을 저해하여 양수 감소 및 양수 과소증으로 이어진다.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 (리시노프릴), 프로스타글란딘 합성 효소 억제제 (NSAID, 항염증 스테로이드) 및 트라스투주맙과 같은 약물은 태아의 신장으로의 혈류를 감소시킨다. 태아 신장이 적절한 양의 소변을 생성할 수 없을 때, 이는 양수 감소 또는 양수 과소증으로 이어진다. 니메술리드 및 화학요법제와 같은 일부 약물은 무양수증과 관련이 있다.[6]
심한 설사, 구토 또는 과도한 수분 손실을 포함한 산모의 탈수.[7]
TORCH 감염 (''톡소플라즈마 곤디'', 풍진, 거대세포바이러스,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및 파보바이러스 B19와 같은 감염
;태아 요인
거의 대부분 태아의 요로 폐색이나 신 형성부전이 원인이다.[26] 양수과소증과 연관된 조건들로는 태아의 염색체이상, 발육부전, 지연임신, 양막 조기 파열, 태반 조기 박리, 임신성 고혈압, 전자간증, 임신성 당뇨, 프로스타글란딘 합성 억제제(Prostaglandin synthase inhibitors),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Angiotensis-converting enzyme inhibitors)와 같은 약물 섭취 등이 있다.[26]
태아 양막 증후군(Amniotic band syndrome)으로 태아의 신체 일부분이 절단될 위험도 증가하고, 내반족(clubfoot)과 같은 신체 변형도 더 증가한다. 또한 양수과소증으로 인한 태아 폐형성 저하도 동반될 수 있다. 염색체 이상과 같은 다운 증후군은 위장관 이상과 관련이 있으며, 신장 무형성 및 낭성 신장 질환과 같은 선천적 기형은 소변 생성 장애와 관련이 있다. 후부 요도 판막 또는 요도 폐쇄는 하부 요로 폐쇄와 관련이 있다.[8][9][10] 태아 신장 이상은 양측 신장 무형성을 포함한 다양한 신장 관련 문제를 포괄할 수 있으며, 이는 포터 증후군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무수증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8][9][10] 태반 기능 부전과 관련된 자궁 내 성장 지연(IUGR)은 양수량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11]
예후는 임신주수가 빠를수록 좋지 않고, 임신 37주 이전에 진단되었을 때 조산이 3배 증가한다는 보고도 있다.[27]
;태반 요인
- 태반 조기 박리
- 태반 기능 부전: 태반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여 발달 중인 아기에게 충분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지 못해 양수 생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2]
- 쌍둥이 간 수혈
- 태반 혈전증 또는 경색증
2. 1. 모체 요인
자간전증, 만성 고혈압, 교원혈관 질환, 신병증, 혈전성향과 같은 질환은 자궁 태반 부전을 유발한다. 이러한 질환은 발달 중인 태아에게 혈액, 산소 및 영양분을 공급하는 태반과 같은 중요한 기관으로의 혈류를 감소시킨다. 태아로의 혈류 감소는 소변 생성을 저해하여 양수 감소 및 양수 과소증으로 이어진다.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 (리시노프릴), 프로스타글란딘 합성 효소 억제제 (NSAID, 항염증 스테로이드) 및 트라스투주맙과 같은 약물은 태아의 신장으로의 혈류를 감소시킨다. 태아 신장이 적절한 양의 소변을 생성할 수 없을 때, 이는 양수 감소 또는 양수 과소증으로 이어진다. 니메술리드 및 화학요법제와 같은 일부 약물은 무양수증과 관련이 있다.[6]
심한 설사, 구토 또는 과도한 수분 손실을 포함한 산모의 탈수.[7]
TORCH 감염 (''톡소플라즈마 곤디'', 풍진, 거대세포바이러스,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및 파보바이러스 B19와 같은 감염
2. 2. 태아 요인
거의 대부분 태아의 요로 폐색이나 신 형성부전이 원인이다.[26] 양수과소증과 연관된 조건들로는 태아의 염색체이상, 발육부전, 지연임신, 양막 조기 파열, 태반 조기 박리, 임신성 고혈압, 전자간증, 임신성 당뇨, 프로스타글란딘 합성 억제제(Prostaglandin synthase inhibitors),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Angiotensis-converting enzyme inhibitors)와 같은 약물 섭취 등이 있다.[26]태아 양막 증후군(Amniotic band syndrome)으로 태아의 신체 일부분이 절단될 위험도 증가하고, 내반족(clubfoot)과 같은 신체 변형도 더 증가한다. 또한 양수과소증으로 인한 태아 폐형성 저하도 동반될 수 있다. 염색체 이상과 같은 다운 증후군은 위장관 이상과 관련이 있으며, 신장 무형성 및 낭성 신장 질환과 같은 선천적 기형은 소변 생성 장애와 관련이 있다. 후부 요도 판막 또는 요도 폐쇄는 하부 요로 폐쇄와 관련이 있다.[8][9][10] 태아 신장 이상은 양측 신장 무형성을 포함한 다양한 신장 관련 문제를 포괄할 수 있으며, 이는 포터 증후군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무수증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8][9][10] 태반 기능 부전과 관련된 자궁 내 성장 지연(IUGR)은 양수량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11]
예후는 임신주수가 빠를수록 좋지 않고, 임신 37주 이전에 진단되었을 때 조산이 3배 증가한다는 보고도 있다.[27]
2. 3. 태반 요인
- 태반 조기 박리
- 태반 기능 부전: 태반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여 발달 중인 아기에게 충분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지 못해 양수 생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2]
- 쌍둥이 간 수혈
- 태반 혈전증 또는 경색증
3. 진단
3. 1. 임상 증상
양수량은 보통 임신 36주까지 증가하다가, 임신 40주 이후부터 감소하기 시작한다.[4] 자궁저부 높이 측정과 임신 주수 간의 불일치는 양수 이상을 시사하는 임상적 징후가 될 수 있으며, 초음파 검사를 통해 평가해야 한다. 양수 과소증의 증상은 항상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을 수 있지만, 몇 가지 잠재적인 징후는 다음과 같다.- 아기의 복부 크기 감소[13]
- 태아 움직임 감소[14]
- 통증이 없는 자궁 수축
3. 2. 초음파 검사
양수과소증 또는 무양수증의 진단은 경복부 초음파 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15] 진단을 위해 양수 지수(AFI)와 단일 최대 수직 깊이(SDP) 측정,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AFI가 5cm 미만이거나 SDP가 2cm 미만이면 양수과소증, AFI가 0cm이거나 SDP가 없으면 무양수증을 나타낸다.[16] AFI는 복부의 각 사분면(우상, 좌상, 우하, 좌하)에서 양수를 측정하여 더한 값으로, 정상 AFI는 5–25 cm이다. AFI <5 cm는 양수과소증, AFI >25 cm는 양수과다증으로 간주된다. 무작위 대조 시험에서 AFI를 사용하면 양수과소증의 위양성 진단 횟수가 증가할 수 있어, 양수과소증 진단에는 양수의 단일 최대 수직 깊이(SDP) 측정이 권장된다.[1]단일 최대 수직 깊이는 태아 신체 부위나 제대가 없는 가장 깊은 양수 주머니를 찾아 12시 방향에서 6시 방향으로 측정한다. 정상적인 SDP는 2–8 cm이며, SDP <2 cm는 양수과소증, SDP >8 cm는 양수과다증으로 간주된다. SDP를 사용하면 위양성이 적어 불필요한 중재가 줄고, 불리한 주산기 결과의 증가는 없다.[1] 다태 임신에서는 단일 최대 수직 깊이 측정이 적절한 양수 수준을 가장 정확하게 판단하는 방법이다.[2]
4. 관리 및 치료
양수과소증의 초기 진단 후, 철저한 병력 및 신체 검사와 필요한 경우 진단 검사를 시행한다.[2] 이 질환의 영향을 받는 유아의 예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시기적절한 진단과 적절한 개입이 중요하다. 치료는 근본 원인에 따라 달라진다.[17][18]
산모 및 가족 병력을 다시 확인하고 신체 검사를 수행하면 양수과소증을 유발할 수 있는 산모 상태 또는 약물을 파악할 수 있다. 조기 양막 파열 또는 양막 조기 파열은 질산염 검사, 고사리 현상 증거 또는 자궁 경부 내 액체 고임 증거로 배제한다. 태아의 초음파 평가는 태아 기형, 이수성, 태아 성장 제한 또는 태반 이상을 식별하기 위해 수행된다. 국립 보건원은 신장, 방광 및 제대와 같이 관련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특정 태아 장기에 대한 자세한 문서를 권장한다. 양수 부족으로 인해 초음파에서 정확한 시각화가 불가능한 경우 MRI 촬영을 고려할 수 있다. 유전자 검사는 영상에서 태아 기형이 기록된 경우 유용할 수 있다. 상승된 산모 혈청 알파 태아 단백질(MSAFP)은 태아 막 또는 태반 손상으로 인한 양수 누출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불량한 예후와 관련이 있다. TORCH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산모 혈액 검사 또는 양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양수 주입은 자궁 내 양수 주입을 통해 태아 폐 발달을 개선하고 합병증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태아 외회전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일부 데이터도 있다.[2] 제대 압박을 예방하기 위해 분만 중에도 사용될 수 있다.[19] 이 절차는 침습적인 모체-태아 의학을 전문으로 하는 센터에서 다학제 팀의 맥락에서만 수행하는 것이 권장된다.[19]
태아의 웰빙을 평가하고 잠재적인 합병증을 감지하려면 태아를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수증의 심각성 및 태아의 건강 상태에 따라 분만 시기를 조정해야 할 수 있다.
양수 과소증의 양을 영구적으로 늘릴 방법은 없지만, 초음파 검사에서 태아의 완전한 해부학적 검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양수 주입술을 이용해 200mL의 식염수를 양막강에 삽입하면 태아 구조의 가시성이 향상된다.[2] 탈수 환자의 경우 1~2리터의 경구 수분 공급이 양수를 일시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20] 데스모프레신, 조직 밀봉제 또는 실데나필 시트르산염과 같은 다른 조사 요법도 유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방법은 덜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실험적이다.[5]
선천성 하부 요로 폐쇄의 경우, 태아 수술이 무작위이지만 소규모 연구에 따르면 생존율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인다.[21] 미숙아 환자는 외래 환자 환경에서 정확한 태아 성장 모니터링 및 예상치 못한 태아 사망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매주 또는 격주 검사로 관리되며, 여기에는 매주 무자극 검사 (NST)와 수정된 BPP라고도 하는 단일 가장 깊은 주머니(SDP) 평가가 포함된다.[1] 특발성, 비합병성, 지속적인 양수과소증은 임신 36주 0/7일 – 37주 6/7일 또는 진단이 늦어진 경우 진단 시점에 분만할 수 있다.[1]
5. 합병증
양수과소증은 태아의 염색체 이상, 발육 부전, 지연 임신, 양막 조기 파열, 태반 조기 박리, 임신성 고혈압, 전자간증, 임신성 당뇨, 특정 약물 섭취 등 다양한 요인과 관련되어 있다.[26] 특히, 프로스타글란딘 합성 억제제나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와 같은 약물은 양수과소증을 유발할 수 있다.[26] 임신 37주 이전에 양수과소증이 진단될 경우 조산 위험이 증가한다.[27]
양수과소증은 태아에게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태아 양막 증후군으로 인해 신체 일부가 절단될 위험이 있으며, 내반족과 같은 신체 변형도 발생할 수 있다. 폐 형성 저하 또한 동반될 수 있다.
임신 후기 양수 감소증이 분만 시 합병증을 증가시키지 않는다는 보고도 있지만,[28] 태아 가사에 따른 제왕절개술 빈도가 높아진다는 보고도 있다.[29] 탯줄 압박으로 인해 태아 심박동 변화와 제왕절개술 빈도가 높아질 수 있다.[30] 근골격계 이상, 폐 형성 부전, 자궁 내 성장 제한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양막 결절도 자주 나타난다.[22]
포터 증후군은 양수과소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폐 형성 부전, 사지 기형, 특징적인 얼굴 모습을 보인다.
6. 예후
양수과소증의 예후는 근본 원인과 상태의 심각성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태아 신장 기형으로 인한 양수과소증을 겪는 아기의 경우 예후가 좋지 않으며 사망률이 높다. 그러나 조기 양막 파열(PPROM)과 같은 다른 요인으로 인한 양수과소증을 겪는 아기의 예후는 더 좋다.
양수과소증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 '''양수과소증의 근본 원인:''' 태아 신장 기형으로 인한 양수과소증을 겪는 아기는 다른 요인으로 인한 양수과소증을 겪는 아기보다 예후가 훨씬 좋지 않다.
- '''양수과소증의 심각성:''' 심각한 양수과소증을 겪는 아기는 경미한 양수과소증을 겪는 아기보다 예후가 좋지 않다.
- '''진단 시 임신 주수''': 임신 초기에 양수과소증 진단을 받은 아기는 임신 후기에 양수과소증 진단을 받은 아기보다 예후가 좋지 않다.
- '''다른 합병증의 존재:''' 태아 성장 제한 또는 골격 기형과 같은 다른 합병증도 있는 양수과소증 아기는 다른 합병증이 없는 양수과소증 아기보다 예후가 좋지 않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양수과소증을 겪는 많은 아기가 건강하게 태어날 수 있다. 그러나 태아 신장 기형으로 인한 양수과소증 아기의 예후는 여전히 좋지 않다. 이러한 아기는 장기적인 의료 관리가 필요할 수 있으며 발달 장애를 겪을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ntepartum Fetal Surveillance
https://www.acog.org[...]
2021-11-07
[2]
웹사이트
UpToDate
https://www.uptodate[...]
2021-11-07
[3]
논문
Outcome of pregnancies complicated by oligohydramnios or anhydramnios of renal origin
http://dx.doi.org/10[...]
2011-07-14
[4]
서적
Oligohydramnios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1-11-07
[5]
웹사이트
UpToDate
https://www.uptodate[...]
2021-11-07
[6]
논문
Anhydramnios and maternal thrombocytopenia after prolonged use of nimesulide
http://dx.doi.org/10[...]
2003
[7]
서적
Disorders of Amniotic Fluid Volume: Oligoamnios and Polyhydramnios
http://dx.doi.org/10[...]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3-11-21
[8]
논문
Etiology and management of early pregnancy renal anhydramnios: Is there a place for serial amnioinfusions?
2020-02-19
[9]
논문
Design and Protocol of the Renal Anhydramnios Fetal Therapy (RAFT) Trial
2022
[10]
논문
Korelasi Asupan Vitamin C dan vitamin D dengan Kadar Timbal Ibu Hamil Preeklamsia
2022-09-02
[11]
논문
Gestational hypertension, preeclampsia and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induce dysregulation of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disease associated microRNAs in maternal whole peripheral blood
http://dx.doi.org/10[...]
2016
[12]
논문
Impact of antepartum diagnostic amnioinfusion on targeted ultrasound imaging of pregnancies presenting with severe oligo- and anhydramnios: An analysis of 61 cases
http://dx.doi.org/10[...]
2017
[13]
논문
Anhydramnios associated with administration of trastuzumab and paclitaxel for metastatic breast cancer during pregnancy
http://dx.doi.org/10[...]
2007
[14]
논문
An experience of second-trimester anhydramnios salvaged by single amnioinfusion
http://dx.doi.org/10[...]
2017-11-20
[15]
논문
Perinatal outcome after ultrasound diagnosis of anhydramnios at term
http://dx.doi.org/10[...]
2011-12-20
[16]
논문
Renal oligo- and anhydramnios: cause, course and outcome—a single-center study
http://dx.doi.org/10[...]
2015-02-13
[17]
논문
Ureterocele Causing Anhydramnios Successfully Treated With Percutaneous Decompression
http://dx.doi.org/10[...]
2002
[18]
논문
Antepartum amnioinfusion: a review
http://dx.doi.org/10[...]
2003
[19]
웹사이트
Oligohydramnios
http://pathways.nice[...]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2016-09-20
[20]
논문
Maternal hydration for increasing amniotic fluid volume in oligohydramnios and normal amniotic fluid volume
2002
[21]
논문
Percutaneous vesicoamniotic shunting versus conservative management for fetal lower urinary tract obstruction (PLUTO): A randomised trial
[22]
논문
Amnion nodosum revisited: clinicopathologic and placental correlations
[23]
논문
A comparison of 3 criteria of oligohydramnios in identifying peripartum complications: a secondary analysis
[24]
논문
Obstetricians' attitudes towards 'isolated' oligohydramnios at term
[25]
간행물
Amniotic fluid index and prolonged antepartum fetal heart rate decelerations
[26]
간행물
Oligohydramnios: A review
[27]
간행물
Oligohydramnios and the appropriately grown fetus
[28]
간행물
Isolated oligohydramnios is not associated with adverse perinatal outcomes
[29]
간행물
Perinatal outcome and amniotic fluid index in the antepartum and intrapartum periods: A meta-analysis
[30]
간행물
Intrapartum Doppler velocimetry, amniotic fluid bolume, and getal heart rate as predictors of subsequent fetal distress, 1. An initial repor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