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유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유성은 대한민국의 목회상담학자이다. 총신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칼빈 신학교에서 신학 석사, 보스턴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백석대학교, 한영신학대학교에서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평택대학교 피어선신학전문대학원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부부가족상담학회 부회장, 한국독서치료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목회상담, 부부가족상담, 이야기치료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연구 및 저술 활동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택대학교 교수 - 유종근 (1944년)
유종근은 남성고와 고려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뉴욕주립대학교에서 경제학 석박사 학위를 취득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경제학자로, 럿거스대학교 교수와 뉴저지 주지사 경제자문관을 거쳐 김대중 대통령 후보 정책 특보로 정계에 입문, 민주당 당무위원, 전라북도지사, 김대중 정부 경제고문, 열린우리당 특임고문 등을 역임하고 한국경제사회연구원 이사장직을 수행했으며, 국회의원 선거에 낙선한 바 있다. - 평택대학교 교수 - 문창모
문창모는 결핵 퇴치 운동에 기여한 의사이자 자유당, 공화당, 통일국민당 소속의 정치인으로, 제14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원주기독교병원 재건과 연세대학교 원주대학 설립에 공헌했다. - 총신대학교 동문 - 전승우
전승우는 1995년 록 밴드 컬트의 드러머로 데뷔하여 솔로 가수, 작사가, 작곡가, 음반 프로듀서 등으로 활동하며 S.E.S., 빅뱅, 아이유 등 다양한 가수들의 작품에 참여한 대한민국의 음악가이다. - 총신대학교 동문 - 정준 (배우)
1988년 CF 모델로 데뷔한 정준은 MBC 특채 탤런트 출신으로 영화와 드라마 등 다양한 작품에 출연하며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보여준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굿피플 나눔대사로 사회 공헌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 보스턴 대학교 동문 - 한기춘
한기춘은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한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으로, 연세대학교와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한국은행 고문,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하고 유신정우회 국회의원과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으로 활동했으나, 유신정권 참여 경력은 비판받는다. - 보스턴 대학교 동문 -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비폭력 저항으로 미국 시민권 운동을 이끈 미국의 목사이자 사회 운동가, 인권 운동가로,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워싱턴 대행진 등을 주도하며 인종차별 철폐를 위해 투쟁했고, 그의 업적과 비폭력 저항 사상은 미국 사회와 전 세계 인권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양유성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양유성 |
활동 기간 | 1980년 ~ 현재 |
출생일 | 1957년 5월 13일 |
직업 | 대학 교수 저술가 |
언어 | 한국어 영어 |
분야 | 신학 상담학 |
![]() | |
종교 | 개신교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미국 보스턴 대학교 대학원 |
2. 학력
총신대학교 신학과 졸업 (신학사),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졸업 (목회학 석사), Calvin Theological Seminary|칼빈 신학교영어 Th.M., Boston University|보스턴 대학교영어 Th.D.
2. 1. 국내 학력
2. 2. 해외 학력
- Calvin Theological Seminary|칼빈 신학교영어 Th.M.
- Boston University|보스턴 대학교영어 Th.D.
3. 경력
양유성은 백석대학교, 한영신학대학교, 평택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수원지방법원 상담위원 등을 역임했다. 또한 평택시 생명존중위원회 위원, 평택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소장 및 피어선심리상담원 원장, 한국부부가족상담학회 및 한국통합예술치료상담학회 부회장, 남서울교회 상담목사, 한국독서치료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3. 1. 대학교수 경력
직위 | 기관 | 기간 |
---|---|---|
겸임교수 | 백석대학교 기독신학대학원 | 1997년 3월 ~ 2000년 8월 |
조교수 | 한영신학대학교 기독교상담학과 | 2000년 9월 ~ 2004년 2월 |
부교수 | 평택대학교 피어선신학전문대학원 | 2004년 3월 ~ |
위원 | 평택시 생명존중위원회 | (기간 미상) |
소장 | 평택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 (기간 미상) |
원장 | 평택대학교 피어선심리상담원 | (기간 미상) |
부회장 | 한국부부가족상담학회 | (기간 미상) |
부회장 | 한국통합예술치료상담학회 | (기간 미상) |
상담목사 | 남서울교회 | (기간 미상) |
회장 | 한국독서치료학회 | 2004년 5월 ~ |
상담위원 | 수원지방법원 | 2006년 5월 ~ 2008년 2월 |
3. 2. 상담 전문가 경력
직책 | 기관 | 기간 |
---|---|---|
겸임교수 | 백석대학교 기독신학대학원 | 1997년 3월 ~ 2000년 8월 |
조교수 | 한영신학대학교 기독교상담학과 | 2000년 9월 ~ 2004년 2월 |
부교수 | 평택대학교 피어선신학전문대학원 | 2004년 3월 ~ 현재 |
위원 | 평택시 생명존중위원회 | (기간 미상) |
소장 | 평택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 (기간 미상) |
원장 | 평택대학교 피어선심리상담원 | (기간 미상) |
부회장 | 한국부부가족상담학회 | (기간 미상) |
부회장 | 한국통합예술치료상담학회 | (기간 미상) |
상담목사 | 남서울교회 | (기간 미상) |
회장 | 한국독서치료학회 | 2004년 5월 ~ |
상담위원 | 수원지방법원 | 2006년 5월 ~ 2008년 2월 |
3. 3. 학회 임원 경력
학회명 | 직책 | 기간 |
---|---|---|
한국부부가족상담학회 | 부회장 | 역임 |
한국통합예술치료상담학회 | 부회장 | 역임 |
한국독서치료학회 | 회장 | 2004년 5월 ~ |
3. 4. 기타 경력
연도 | 내용 |
---|---|
1997년 3월 ~ 2000년 8월 | 백석대학교 기독신학대학원 겸임교수 |
2000년 9월 ~ 2004년 2월 | 한영신학대학교 기독교상담학과 조교수 |
2004년 3월 ~ | 평택대학교 피어선신학전문대학원 부교수 |
? | 평택시 생명존중위원회 위원 |
? | 평택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소장 |
? | 평택대학교 피어선심리상담원 원장 |
? | 한국부부가족상담학회 부회장 |
? | 한국통합예술치료상담학회 부회장 |
? | 남서울교회 상담목사 |
2004년 5월 ~ ? | 한국독서치료학회 회장 |
2006년 5월 ~ 2008년 2월 | 수원지방법원 상담위원 |
4. 생애
총신대학교 신학과와 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상담학 연구에 대한 열정으로 도미 유학하여, 미국 미시간주 그랜드래피즈에 있는 칼빈 신학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보스턴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4] 귀국 후 천안대학교와 한영신학대학교에서 전임교수로 잠시 재직하다 평택대학교 신학대학원 목회상담학 교수로 정착하여 학과장, 주임교수, 학생생활연구소장, 피어선심리상담원 원장 등을 역임하였다.[4]
교회 활동으로는 총신대 신학과 4학년 때 영등포 한남교회 교육전도사를 시작으로 남서울 교회 상담목사까지 17년간 국내외 교회에서 목회 사역을 하였다.[4] 대외적으로는 평택시 생명존중위원회 위원, 한국목회상담협회와 한국부부가족상담학회 부회장, 한국독서치료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4]
학술 활동으로는 목회상담, 기독교상담 외에도 부부가족상담, 독서치료, 이야기치료를 포함한 문학치료, 정신분석학, 상담학 기초 분야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여 통합적 치료 모델과 방법을 모색하였다.[4] 특히 이야기 접근방식에 초점을 맞춰 이야기심리학, 이야기치료, 내러티브 탐구를 학문적으로 발전시켰으며, 남녀의 사랑 심리를 배경으로 한 외도 문제 연구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4]
5. 학문적 업적
양유성 교수는 총신대학교 신학과와 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칼빈 신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보스턴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평택대학교 신학대학원 목회상담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학과장, 주임교수, 학생생활연구소 소장, 피어선심리상담원 원장 등을 역임했다.[4]
학문 분야는 목회상담, 기독교상담, 부부가족상담, 독서치료, 이야기치료, 문학치료, 정신분석학, 상담학 기초 분야까지 다양하며, 통합적 치료 모델과 방법을 연구했다. 특히 이야기심리학, 이야기치료, 내러티브 탐구를 학문적으로 발전시켰고, 남녀의 사랑 심리를 바탕으로 한 외도 문제 연구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4]
5. 1. 저서
제목 | 출판사 | 출판연도 |
---|---|---|
상담학 논문작성을 위한 내러티브 탐구 | 학지사 | 2022년 |
외도의 심리와 상담 | 학지사 | 2008년 |
이야기치료 | 학지사 | 2004년 |
5. 2. 공저
출판 연도 | 제목 | 출판사 |
---|---|---|
2013 | 부부 및 가족상담 | 학지사 |
2011 | 현대목회상담학자 연구 | 돌봄 |
2010 | 상호작용을 통한 독서치료 | 학지사 |
2009 | 목회상담 실천입문 | 학지사 |
2008 | 발달적 독서치료의 실제 | 학지사 |
2006 | 신현수 외, 기독교알기 | 이컴비즈넷 |
2005 | 말씀목회와 그 지평 | 쿰란출판사 |
5. 3. 역서
제목 | 출판사 | 출판 연도 |
---|---|---|
우리 주님의 재림 | 평택대학교 출판부 | 2017 |
게임중독: 게임중독의 유혹과 대가 | 학지사 | 2016 |
이야기심리학: 개인적 신화의 탐색과 재구성 | 학지사 | 2015 |
기독교 상담신학 | 기독교문서선교회 | 2014 |
고르디우스의 매듭 | 아이디프린팅 | 2010 |
우리가 죄에 거하겠는가? | 보이스사 | 2007 |
5. 4. 주요 논문
양유성 교수는 목회 상담, 이야기 치료, 외도 및 관계 등 다양한 주제로 논문을 발표했다. 각 논문의 상세 목록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5. 4. 1. 목회 상담 관련 논문
연도 | 논문 제목 | 학술지명 | 페이지 |
---|---|---|---|
2017 | 아더 피어선의 미래 이야기에 관한 목회상담적 고찰 | 피어선신학논단 10 | 31-53 |
2015 | 목회상담에서 은유의 치료적 함의 | 피어선신학논단 6 | 76-94 |
2014 | 아더 피어선의 목회사역과 정체성 형성에 대한 목회심리학적 고찰 | 신학과 실천 42 | 411-444 |
2013 | 외도상담에서 분노의 심리와 치료적 함의 | 목회와 상담 21 | 69-90 |
2012 | 목회상담에서 우상숭배의 의미와 대처방안 | 신학과 실천 31 | 259-281 |
2011 | 시기심의 심층분석 | 복음과 신학 13 | 121-138 |
2011 | 은유의 치료적 기능과 개입방식 | 통합예술치료연구 1 | 47-60 |
2010 | 혼외관계에 나타나는 사랑의 심층심리분석 | 목회와 상담 14 | 7-29 |
2009 | Merle R. Jordan의 목회상담연구 | 복음과 신학 11 | 67-88 |
2008 | 행복한 부부관계로 이끄는 사랑의 심리와 치료방안 | 목회와 상담 11 | 39-59 |
2008 | 성경이야기의 치료적 기능 | 복음과 신학 10 | 219-239 |
2008 | 목회상담의 특성-격려를 통한 상담 | 목회와 상담 10 | 204-230 |
2007 | 성경이야기의 치료적 이해와 적용 | 복음과 상담 40 | 13-41 |
2005 | 리더십의 핵심요소로서의 격려 | 복음과 신학 8 | 51-69 |
2004 | 이야기치료의 상담원리와 방법론 | 상담과 선교 12 | 6-34 |
2005 | 사랑하는 관계 속에서의 나르시시즘 | 목회와 상담 6 | 65-85 |
2004 | 신앙적 자서전쓰기를 통한 영적 성장과 치유 | 복음과 신학 7 | 118-137 |
2003 | 상담에서 나타나는 은유의 이해와 사용 | 교수논문집 7 | 257-79 |
2000 | 기독교상담의 정체성과 기능적 과제 연구 | 교수논문집 5 | 277-98 |
1998 | 혼전상담의 면담회기별 분석과제연구 | 기독신학저널 1 | 283-301 |
5. 4. 2. 이야기 치료 및 기타 상담 관련 논문
연도 | 제목 | 학술지 | 페이지 |
---|---|---|---|
2017 | 아더 피어선의 미래 이야기에 관한 목회상담적 고찰 | 피어선신학논단 10 | 31-53 |
2015 | 목회상담에서 은유의 치료적 함의 | 피어선신학논단 6 | 76-94 |
2014 | 아더 피어선의 목회사역과 정체성 형성에 대한 목회심리학적 고찰 | 신학과 실천 42 | 411-444 |
2013 | 외도상담에서 분노의 심리와 치료적 함의 | 목회와 상담 21 | 69-90 |
2012 | 목회상담에서 우상숭배의 의미와 대처방안 | 신학과 실천 31 | 259-281 |
2011 | 시기심의 심층분석 | 복음과 신학 13 | 121-138 |
2011 | 은유의 치료적 기능과 개입방식 | 통합예술치료연구 1 | 47-60 |
2010 | 혼외관계에 나타나는 사랑의 심층심리분석 | 목회와 상담 14 | 7-29 |
2009 | Merle R. Jordan의 목회상담연구 | 복음과 신학 11 | 67-88 |
2008 | 행복한 부부관계로 이끄는 사랑의 심리와 치료방안 | 목회와 상담 11 | 39-59 |
2008 | 성경이야기의 치료적 기능 | 복음과 신학 10 | 219-239 |
2008 | 목회상담의 특성-격려를 통한 상담 | 목회와 상담 10 | 204-230 |
2007 | 성경이야기의 치료적 이해와 적용 | 복음과 상담 40 | 13-41 |
2005 | 리더십의 핵심요소로서의 격려 | 복음과 신학 8 | 51-69 |
2004 | 이야기치료의 상담원리와 방법론 | 상담과 선교 12 | 6-34 |
2005 | 사랑하는 관계 속에서의 나르시시즘 | 목회와 상담 6 | 65-85 |
2004 | 신앙적 자서전쓰기를 통한 영적 성장과 치유 | 복음과 신학 7 | 118-137 |
2003 | 상담에서 나타나는 은유의 이해와 사용 | 교수논문집 7 | 257-79 |
2000 | 기독교상담의 정체성과 기능적 과제 연구 | 교수논문집 5 | 277-98 |
1998 | 혼전상담의 면담회기별 분석과제연구 | 기독신학저널 1 | 283-301 |
5. 4. 3. 외도 및 관계 관련 논문
논문 제목 | 학술지명 | 발행년도 | 페이지 |
---|---|---|---|
“외도상담에서 분노의 심리와 치료적 함의” | 목회와 상담 | 2013 | 69-90 |
“혼외관계에 나타나는 사랑의 심층심리분석” | 목회와 상담 | 2010 | 7-29 |
“사랑하는 관계 속에서의 나르시시즘” | 목회와 상담 | 2005 | 65-85 |
5. 4. 4. 기타 논문
연도 | 논문 제목 | 학술지명 | 페이지 |
---|---|---|---|
2017 | 아더 피어선의 미래 이야기에 관한 목회상담적 고찰 | 피어선신학논단 10 | 31-53 |
2015 | 목회상담에서 은유의 치료적 함의 | 피어선신학논단 6 | 76-94 |
2014 | 아더 피어선의 목회사역과 정체성 형성에 대한 목회심리학적 고찰 | 신학과 실천 42 | 411-444 |
2013 | 외도상담에서 분노의 심리와 치료적 함의 | 목회와 상담 21 | 69-90 |
2012 | 목회상담에서 우상숭배의 의미와 대처방안 | 신학과 실천 31 | 259-281 |
2011 | 시기심의 심층분석 | 복음과 신학 13 | 121-138 |
2011 | 은유의 치료적 기능과 개입방식 | 통합예술치료연구 1 | 47-60 |
2010 | 혼외관계에 나타나는 사랑의 심층심리분석 | 목회와 상담 14 | 7-29 |
2009 | Merle R. Jordan의 목회상담연구 | 복음과 신학 11 | 67-88 |
2008 | 행복한 부부관계로 이끄는 사랑의 심리와 치료방안 | 목회와 상담 11 | 39-59 |
2008 | 성경이야기의 치료적 기능 | 복음과 신학 10 | 219-239 |
2008 | 목회상담의 특성-격려를 통한 상담 | 목회와 상담 10 | 204-230 |
2007 | 성경이야기의 치료적 이해와 적용 | 복음과 상담 40 | 13-41 |
2005 | 리더십의 핵심요소로서의 격려 | 복음과 신학 8 | 51-69 |
2004 | 이야기치료의 상담원리와 방법론 | 상담과 선교 12 | 6-34 |
2005 | 사랑하는 관계 속에서의 나르시시즘 | 목회와 상담 6 | 65-85 |
2004 | 신앙적 자서전쓰기를 통한 영적 성장과 치유 | 복음과 신학 7 | 118-137 |
2003 | 상담에서 나타나는 은유의 이해와 사용 | 교수논문집 7 | 257-79 |
2000 | 기독교상담의 정체성과 기능적 과제 연구 | 교수논문집 5 | 277-98 |
1998 | 혼전상담의 면담회기별 분석과제연구 | 기독신학저널 1 | 283-301 |
5. 5. 학위 논문
- Parental Authority in Korean-American Parent-Teen Relationships|패어런털 어소리티 인 코리언-아메리칸 페어런트-틴 릴레이션십스영어, 보스턴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for the Dying|패스토럴 케어 앤드 카운슬링 포 더 다잉영어, 칼빈 신학교 신학석사학위논문, 1987.
- 〈심리학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통합의 문제를 주로 하여〉, 총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4.
- 〈기독교상담의 모델과 방법론-Jay E. Adams의 권면적 상담을 중심으로〉, 총신대학교 학사학위논문, 1981.
참조
[1]
웹사이트
평택대학교 대학원
https://graduate.ptu[...]
[2]
뉴스
대한문학치료학회 학술대회 및 창립총회
http://news.imaeil.c[...]
매일신문
2009-12-09
[3]
뉴스
가정사역 전문가들이 말하는 ‘외도’ 1월23일 연동교회서 강좌
https://news.kmib.co[...]
국민일보
2010-01-20
[4]
서적
행복의 비결
평택대학교피어선신학전문대학원
2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