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어거스트 에이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거스트 에이트는 2008년 남오세티야 전쟁을 배경으로, 아들을 구하기 위해 전쟁 지역으로 향하는 젊은 미혼모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이다. 영화는 어머니의 시점과 아들의 시점을 교차하여 보여주며, 전쟁의 참혹함과 모성애를 다룬다. 2012년 러시아에서 개봉하여 박스 오피스 1위를 기록했지만, 제작비에 미치지 못하는 흥행 성적을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오세티야 전쟁 (2008년) 영화 - 5 데이즈 오브 워
    2008년 남오세티야 전쟁을 배경으로 미국인 기자가 전쟁에 휘말려 진실을 알리려는 노력을 그린 2011년 영화 《5 데이즈 오브 워》는 역사 왜곡 논란과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조지아를 배경으로 한 영화 - 익스트랙션 2
    전직 특수부대 출신 용병 타일러 레이크가 새로운 임무를 맡아 전 부인의 여동생과 그녀의 자녀들을 감옥에서 구출하는 과정을 그린 2023년 공개된 미국의 액션 스릴러 영화로, 크리스 헴스워스, 골쉬프테 파라하니, 아담 베사 등이 출연하며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된 2020년 영화 《타일러 레익: 빼앗긴 목숨》의 속편이다.
  • 조지아를 배경으로 한 영화 - 5 데이즈 오브 워
    2008년 남오세티야 전쟁을 배경으로 미국인 기자가 전쟁에 휘말려 진실을 알리려는 노력을 그린 2011년 영화 《5 데이즈 오브 워》는 역사 왜곡 논란과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러시아의 전쟁 영화 - 몽골 (영화)
    세르게이 보드로프 감독의 영화 몽골은 칭기즈 칸, 즉 테무진의 어린 시절부터 몽골 제국 건설까지의 과정을 그린 역사 서사극으로, 아사노 타다노부, 쑨훙레이, 훌란 추룬 등이 출연했으며 몽골, 중국, 카자흐스탄에서 촬영되었고 2008년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 후보에 올랐다.
  • 러시아의 전쟁 영화 - 스탈린그라드 (영화)
    2013년 개봉한 러시아 영화 스탈린그라드는 스탈린그라드 전투 당시 고립된 러시아 군인들과 소녀 카티야, 독일군 장교 칸의 이야기를 3D로 다루며, 러시아 영화 흥행 기록을 경신했으나 멜로 드라마 요소와 역사 고증 오류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어거스트 에이트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연극 개봉 포스터
연극 개봉 포스터
원제(아브구스트. 보스모고)
영어 제목August Eighth (어거스트 에이트)
일본어 제목オーガストウォーズ (오가스토 워즈)
영화 정보
감독드자닉 파이지예브
제작일리야 바추린
드자닉 파이지예브
표도르 본다르추크
각본마이클 앨런 러너
원작드자닉 파이지예브
주연스베틀라나 이바노바
막심 마트베예프
아르툠 파데예프
알렉세이 구스코프
알렉산드르 올레슈코
예고르 베로예프
음악루슬란 무라토프
촬영세르게이 트로피모프
편집데니스 버클러
제작사글라브키노
다고 프로덕션
보난자 스튜디오
배급사20세기 폭스 CIS
브로드미디어 스튜디오(일본)
개봉일
상영 시간132분
제작 국가러시아
언어러시아어
오세트어
조지아어
제작비1900만 미국 달러
흥행 수익1250만 미국 달러

2. 배경

이 영화는 2008년 남오세티야 전쟁을 배경으로 한다. 전쟁 전에 아들을 멀리 보낸 젊은 미혼모가 아들과 재회하기 위해 남오세티야로 가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전쟁 이야기는 어머니의 시점과, SF 이야기 속 로봇과의 전투로 이를 바라보는 아들의 시점, 두 가지 관점을 통해 보여진다.

2008년 남오세티야 전쟁은 러시아와 조지아 간의 갈등에서 비롯되었으며, 남오세티야 및 압하지야 지역의 분쟁 상황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 이 전쟁으로 인해 한국은 에너지 안보 및 국제 관계 측면에서 간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2. 1. 남오세티야 전쟁

2. 2. 러시아-조지아 관계

2. 3. 국제사회의 반응

3. 줄거리

모스크바 출신의 23세 파티시에 크세니야는 새로운 남자친구와 관계에 집중하고 있다. 7살 아들 아르툠은 부모의 별거로 인한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 '코스모보이'라는 슈퍼히어로가 되어 로봇과 함께 악당과 싸우는 상상을 한다.

2008년 8월 5일, 남오세티야에서 평화 유지군으로 복무 중인 아르툠의 아버지 자우르가 아들을 잠시 맡아달라고 연락한다. 크세니아는 새 남자친구 예고르와 소치로 휴가를 가고 싶어 잠시 망설이다가, 자우르의 요청대로 아르툠을 조지아 국경 근처 시다몬타 마을에 있는 자우르의 부모님에게 보낸다.

8월 7일, 크세니아는 남오세티야가 분쟁 지역이 되었다는 뉴스를 접하고 자우르에게 아들을 러시아로 데려오라고 요구한다. 자우르는 아들이 안전하다고 설득하려 하지만 크세니아는 듣지 않는다. 크세니아는 남자친구 예고르에게 도움을 요청하지만, 예고르는 가족 문제에 관여하고 싶어하지 않아 결국 둘은 결별한다.

크세니아는 블라디캅카스로 가서 로키 터널을 통해 남오세티야로 가는 버스를 탄다. 버스는 대전차 미사일 공격을 받지만, 러시아 육군 정찰대의 도움으로 료하를 만나 츠힌발리로 향한다. 그날 밤, 츠힌발리 전투가 시작되고, 시 중심 광장은 조지아의 BM-21 그라드 로켓포 공격을 받는다.

크세니아는 자우 난민 캠프에서 자우르와 통화하고, 자우르가 부모님과 아르툠을 대피시키기 위해 시다몬타로 가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둘은 자우에서 만나기로 약속하지만, 자우르는 조지아 탱크의 포격으로 사망한다. 아르툠은 부상당하고 충격받은 채 현장에서 도망친다. 크세니아는 아르툠과 통화하지만, 아르툠은 "므라코블라스트가 모두 죽였어..."라는 말만 남긴다. 크세니아는 아들을 직접 구출하기로 결심한다. 한편, 아르툠은 부상으로 인한 환각에 시달리며 더욱 깊은 환상 속에 빠져든다.

크세니아는 자우르의 친구 일리야와 함께 러시아 군, 언론 호송대에 합류한다. 그러나 호송대는 매복 공격을 받고, 일리야는 조지아 군인에게 살해된다. 크세니아는 정찰대와 함께 있던 료하에게 구조된다. 료하는 크세니아를 아르툠이 숨어 있는 곳 근처의 기지로 데려간다.

료하의 차량은 기지로 가던 중 조지아 탱크의 공격을 받지만, 료하는 이를 피한다. 기지에는 많은 난민들이 피신해 있었고, 크세니아는 혼자 길을 떠난다. 크세니아는 걷지 못하는 아르툠을 발견한다. 크세니아가 조지아 군의 지프를 훔치자, 그녀와 아르툠은 총격을 받는다. 수호이 Su-25의 공습으로 조지아 군이 공격받자, 크세니아와 아르툠은 탈출 기회를 얻는다.

크세니아와 아르툠은 조지아 군인 알렉산드르 호샤바예프에게 붙잡히지만, 그는 그들을 불쌍히 여겨 러시아 군 위치로 데려다준다. 크세니아는 언덕을 넘어 다가오는 러시아 탱크를 향해 걸어간다. 선두 탱크 지휘관은 크세니아에게 길을 비키라고 요청한다. 크세니아와 아르툠은 그렇게 하고 계속 걸어간다. 아르툠은 병원에서 회복하고 아버지의 운명을 알게 된다. 료하는 고리를 점령하여 러시아가 전쟁에서 승리했다고 말해준다. 크세니아와 아르툠은 헬리콥터를 타고 러시아로 돌아간다.

3. 1. 프롤로그

모스크바에 사는 크세니아는 아들 쵸마와 함께 살고 있다. 크세니아는 현재 사귀는 애인이 있고, 쵸마도 그를 받아주기를 바라고 있지만, 쵸마는 "코스모 보이"라는 공상에 빠져 있어 이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러던 중 남오세티야에 평화 유지군으로 있는 전 남편 자우르로부터 쵸마를 잠시 맡아달라는 부탁을 받는다. 크세니아는 망설이지만 쵸마를 보내고, 애인과 단둘이 바캉스를 갈 계획을 세운다. 그러나 그녀는 남오세티야와 조지아의 국경 부근에 군대가 집결해 있고, 개전이 임박했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

사태를 알게 된 크세니아는 자우르에게 쵸마를 돌려보내라고 전화하지만, 자우르는 아들을 만난 지 얼마 되지 않아 거절한다. 크세니아는 애인과도 상의하지만, 그는 바캉스를 우선시하며 오만한 태도를 보인다. 결국 크세니아는 결별을 결심하고, 스스로 아들을 되찾기 위해 현지로 향한다.

현지 공항 근처는 혼란스러웠지만, 크세니아는 버스를 타고 목적지로 향한다. 그러나 산악 지대 주행 중 로켓탄 공격으로 버스가 파괴되고, 많은 사상자가 발생한다. 크세니아는 지나가던 러시아군 부대의 차를 얻어 타고 츠힌발리 시가지까지 가지만, 조지아군의 포격이 시작된다. 피난 중 자우르와 연락이 닿아, 쵸마를 대피소로 데려가려 한다는 것을 듣고, 크세니아도 그곳에서 만나기로 한다.

하지만 자우르 일행은 전차와 마주치고, 자우르는 쵸마를 도망시킨 후 평화 유지군임을 알리지만, 전차는 포격으로 응답한다. 쵸마는 이 광경을 로봇이 어둠의 제왕에게 파괴되는 모습으로 인식한다.

쵸마와 잠시 통화한 크세니아는 위기를 감지하고 대피소를 나선다. 저널리스트 신분증을 훔쳐 군과 함께 전선으로 향하던 중, 쵸마가 총격에 휘말려 머리에 부상을 입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크세니아는 러시아 군인과 조지아 병사와의 싸움 중 뇌진탕으로 실신했다가 민간인 지하 벙커에서 정신을 차린다. 쵸마의 부상 소식을 접한 크세니아는 쵸마에게 응원 메시지를 보내고, 지하 벙커를 뛰쳐나간다. 러시아군 부대장 료하의 도움을 받아 쵸마를 찾아 나서고, 료하는 크세니아에게 여러 조언을 해준다.

마침내 쵸마에게 도달한 크세니아는 쵸마가 몽롱한 상태임을 알게 된다. 조지아군에게서 차를 훔쳐 탈출을 시도하지만 추격을 받는다. 러시아군의 공습 덕분에 추격자를 따돌리지만, 조지아군 병사에게 붙잡힌다. 하지만 병사는 크세니아의 간절한 호소를 듣고 두 사람을 안전한 곳으로 데려다준다. 치료 후 의식을 되찾은 쵸마는 크세니아에게 로봇 이야기가 아닌 아빠 이야기를 해달라고 조른다.

기운을 되찾은 쵸마와 크세니아가 헬기를 기다리는 곳에 료하가 나타나 작별 인사를 한다. 이후 크세니아의 집 자동 응답 전화에는 료하의 메시지가 녹음된다.

3. 2. 전쟁의 시작

모스크바에 사는 크세니아는 아들 쵸마와 함께 살고 있다. 크세니아는 현재 사귀는 애인이 있지만, 쵸마는 "코스모 보이"로서 용감한 로봇과 함께 어둠의 제왕으로부터 "마법의 가루"를 되찾기 위해 싸우고 있다는 공상에 빠져 있어 그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러던 중 남오세티야에 평화 유지군으로 있는 전 남편 자우르로부터 쵸마를 잠시 맡아달라는 연락이 온다. 크세니아는 망설였지만 쵸마를 보내고, 애인과 바캉스를 갈 계획을 세운다. 그러나 남오세티야와 조지아의 국경 부근에 군대가 집결하고, 개전이 임박했음을 알지 못했다.

사태를 알게 된 크세니아는 쵸마를 돌려보내라고 자우르에게 전화하지만, 자우르는 반발하며 받아들이지 않았다. 애인과도 상의하지만, 그는 바캉스를 우선하려 했고, 크세니아는 그와 결별을 결심하고 아들을 되찾기 위해 현지로 향한다.

현지 공항 근처는 혼란스러웠지만, 크세니아는 목적지로 향하는 버스를 찾았다. 그러나 산악 지대를 주행 중 갑자기 로켓탄을 맞아 버스는 대파되고,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 로켓탄을 발사한 자가 누구인지는 작중에 명확히 밝혀지지 않는다. 러시아군 병사의 대사에 아군으로부터의 가능성도 고려한다는 내용이 있다. 크세니아는 지나가던 러시아군 부대의 차를 얻어 타고 츠힌발리 시가지까지 가지만, 조지아군의 포격이 시작된다.

피난 중 자우르와 연락이 닿아, 쵸마를 대피소로 데려가려 한다는 것을 알게 된 크세니아는 그곳에서 만나기로 한다. 하지만 자우르 일행은 전차와 마주치고, 자우르는 쵸마를 도망시킨 후, 자신이 평화 유지군임을 알리지만, 전차는 포격으로 응답했다. 쵸마는 아버지와 조부모가 차째 날아가는 모든 광경을 로봇이 어둠의 제왕에게 "파괴"되어 버린 모습으로 보게 된다.

쵸마와 잠시 통화할 수 있었던 크세니아는 "모두 제왕에게 죽었다"라는 말에서 위기를 감지하고, 대피소를 나선다.

3. 3. 츠힌발리 전투

모스크바에 사는 크세니아는 아들 쵸마와 함께 살고 있다. 쵸마는 "코스모 보이"라는 공상에 빠져있어 크세니아는 걱정한다. 그러던 중 남오세티야에 있는 전 남편 자우르가 쵸마를 잠시 맡아달라고 부탁한다. 크세니아는 망설이지만 쵸마를 보내고, 남오세티야와 조지아의 국경 부근에 군대가 집결하여 전쟁이 일어날 위기에 처해있다는 사실을 모른 채 애인과 바캉스를 떠날 계획을 세운다.

사태를 알게 된 크세니아는 쵸마를 돌려보내라고 자우르에게 전화하지만, 자우르는 거절한다. 결국 크세니아는 직접 아들을 찾으러 츠힌발리로 향한다. 현지로 가는 버스가 로켓탄 공격을 받아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고, 크세니아는 러시아군 부대의 도움을 받아 츠힌발리 시가지에 도착한다. 그곳에서 조지아군의 포격이 시작되고, 크세니아는 자우르와 연락하여 대피소에서 만나기로 한다.

하지만 자우르 일행은 전차와 마주치고, 자우르는 쵸마를 도망시키지만 전차의 포격에 휘말린다. 쵸마는 이 모든 광경을 로봇과 어둠의 제왕의 싸움으로 인식한다. 쵸마와 통화하게 된 크세니아는 위기를 감지하고 대피소를 나선다. 저널리스트 신분증을 훔쳐 군과 함께 전선으로 향하던 크세니아는 쵸마가 총격에 휘말려 머리를 다쳤다는 것을 알게 된다.

크세니아는 러시아 군인과 조지아 병사와의 싸움 중 뇌진탕으로 실신했다가 민간인 지하 벙커에서 깨어난다. 쵸마의 비디오 메시지를 보고 다시 쵸마를 찾아 나선 크세니아는 저격병에게 노려지지만, 이전에 만났던 러시아군 부대에게 다시 도움을 받는다. 부대장 료하는 크세니아에게 엄격한 태도를 보이지만, 어머니와의 통화에서 인정 많은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료하는 크세니아를 돕겠다고 약속하지만, 민간인 구조 때문에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한다. 결국 크세니아는 료하의 조언과 도움을 받아 혼자 쵸마를 찾아 나선다.

마침내 쵸마를 만난 크세니아는 쵸마가 공상과 현실을 구분하지 못하는 것을 알게 된다. 조지아군에게서 차를 훔쳐 도망치던 중 러시아군의 공습 덕분에 추격자를 따돌린다. 하지만 조지아군 병사에게 붙잡히고, 쵸마를 구하려는 크세니아의 호소에 병사는 이들을 안전한 곳까지 데려다준다. 치료를 받고 의식을 되찾은 쵸마는 크세니아에게 "로봇 얘기는 이제 그만해. 아빠 얘기를 해줘"라고 말한다. 료하는 크세니아의 집 자동 응답 전화에 메시지를 남긴다.

3. 4. 아들의 환상

아르툠은 "코스모 보이"로서 용감한 로봇과 함께 어둠의 제왕으로부터 "마법의 가루"를 되찾기 위해 싸우는 공상에 빠져 있었다. 이는 현실에서 아버지 자우르와 조부모가 조지아군의 전차 포격에 의해 사망하는 장면을 목격한 충격과, 총격에 휘말려 머리에 부상을 입은 경험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쵸마는 천장에서 흩날리는 먼지를 어떤 부상도 치유하는 "마법의 가루"라고 생각하며, 현실과 환상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인다.

어머니 크세니아가 쵸마를 구출하기 위해 조지아군에게서 차를 훔쳐 탈출할 때, 쵸마의 눈에는 크세니아가 로봇으로, 조지아군은 어둠의 제왕의 군세로 비쳤다. 이는 쵸마가 여전히 현실과 환상의 경계에서 혼란스러워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러시아군의 공습으로 추격에서 벗어나고, 조지아군 병사의 도움으로 안전한 곳에 도착한 후, 치료를 받고 의식을 되찾은 쵸마는 크세니아에게 "로봇 얘기는 이제 그만해. 아빠 얘기를 해줘"라고 말한다. 이는 쵸마가 점차 현실을 자각하고, 환상에서 벗어나 아버지의 죽음이라는 고통스러운 현실을 마주하기 시작했음을 의미한다.

3. 5. 재회와 탈출

모스크바에 사는 크세니아는 아들 툐마와 함께 살고 있다. 크세니아는 현재 사귀는 애인이 있고, 툐마도 그를 받아주기를 바라고 있지만, 툐마는 "코스모 보이"로서 용감한 로봇과 함께 어둠의 제왕으로부터 "마법의 가루"를 되찾기 위해 싸우고 있다는 공상에 빠져 있어 이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러던 중 평화 유지군으로서 남오세티야에 있는 전 남편 자우르로부터 툐마에게 자연을 즐기게 해주고 싶고, 근처에 사는 자우르의 부모님도 만나게 해주고 싶으니 잠시 맡아달라는 이야기가 들어온다. 크세니아는 망설이면서도 툐마를 보내고, 애인과 단둘이 바캉스를 갈 예정이다. 그녀는 남오세티야와 조지아의 국경 부근에 군대가 집결해 있고, 개전이 시간 문제라는 것을 몰랐다.

사태를 알게 된 크세니아는 바로 툐마를 돌려보내라고 자우르에게 전화하지만, 아들을 만난 지 얼마 안 된 그는 반발하며 받아들이지 않았다. 애인과도 상의하지만, 그는 바캉스를 우선하려 할 뿐만 아니라, 크세니아에게 오만한 태도를 보인다. 결별을 결심한 크세니아는 스스로 아들을 되찾기 위해 현지로 향한다.

현지 공항 근처는 혼란스러웠지만, 어떻게든 목적지로 향하는 버스를 찾을 수 있었다. 그러나 산악 지대를 주행 중 갑자기 로켓탄을 맞아 버스는 대파되고,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크세니아는 지나가던 러시아군 부대의 차를 얻어 타고 츠힌발리 시가지까지 가지만, 그들과 헤어진 곳에서 조지아군의 포격이 시작된다. 피난하는 중에 자우르와 연락이 닿아, 그가 자신의 부모님과 툐마를 대피소로 데려가려 한다는 것을 전해 듣고, 크세니아도 거기서 만나기로 한다.

하지만 자우르 일행은 차로 출발하려던 찰나에 전차와 마주친다. 자우르는 툐마를 도망시킨 후, 자신이 평화 유지군임을 전차에 알리지만, 전차는 포격으로 응답했다. 아버지와 조부모가 차째 날아가는 모든 광경은 툐마에게 로봇이 어둠의 제왕에게 "파괴"되어 버린 모습으로 비쳤다.

툐마와 잠시 통화할 수 있었던 크세니아는 "모두 제왕에게 죽었다"라는 말에서 위기를 감지하고, 대피소를 나설 결심을 한다. 그리고 저널리스트의 신분증을 훔쳐서 손에 넣고, 군과 함께 전선으로 향한다.

한편, 집에 숨어 있던 툐마는 천장에서 흩날리는 먼지를 어떤 부상도 치유하는 "마법의 가루"라고 생각하고, 그것을 가지고 전차에 파괴된 차로 향하지만, 공교롭게도 벌어진 총격에 휘말려 머리에 부상을 입었다.

동행했던 러시아 군인과 조지아 병사와의 싸움 중에 로켓탄이 근거리에서 폭발하여 뇌진탕으로 실신했던 크세니아는 민간인이 숨어 있는 지하 벙커에서 정신을 차렸다. 크세니아 자신도 온몸에 통증을 느꼈지만, 툐마가 부상의 아픔을 호소하는 비디오 메시지를 휴대폰으로 보고 "코스모 보이"에게 보내는 응원을 답신하고, 지하 벙커를 뛰쳐나간다. 혼자서 시내를 이동하는 곳을 저격병에게 노려지지만, 버스 대파 때 만났던 러시아군 부대에게 다시 도움을 받는다. 부대장 료하가 이끄는 수색 부대는 민간인 구조를 위해 더 전선으로 이동하게 되었고, 어떻게든 포기하려 하지 않는 크세니아를 데려가게 된다.

료하는 크세니아에게 "발목을 잡으면 사살한다"라며 엄격한 태도를 보이지만, 어머니와의 통화에서는 자신이 최전선에 있다는 것을 속일 뿐만 아니라, 자신의 상황보다 어머니의 건강을 걱정하며 당황하는 등 인정 많은 면도 보였다. 그의 한마디에서, 자신이 실신했을 때 구해준 것도 그였다는 것을 깨달은 크세니아는 "툐마도 당신 같은 사람으로 자랐으면 좋겠다"라고 털어놓는다.

부대는 전투를 헤쳐 나가 민간인들에게 도착했지만, 구조 활동 때문에 거기에 머물 수밖에 없게 되었다. 료하는 그들의 호송이 끝나면 크세니아를 반드시 목적지까지 데려다주겠다고 약속하지만, 사전 정보 이상으로 다수의 민간인이 있었기 때문에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고, 아들을 걱정하는 크세니아는 기다릴 수 없었다. 료하는 지도와 무전기에 더해, 이동 경로와 적의 눈을 속이는 방법 등의 조언을 해주고, 크세니아를 보냈다.

조언에 따른 크세니아는 마침내 툐마에게 도달하지만, 툐마는 몽롱하여 공상과 현실의 구별을 하지 못하는 상태였다. 이동을 위해 조지아군에게서 차를 훔치는 데 성공하지만, 추격을 받으며 도망치게 된다. 그때 툐마의 눈에는, 툐마를 코스모 보이로 부르며 격려하는 크세니아의 모습은 로봇으로, 두 사람이 탄 차를 공격하는 조지아군은 어둠의 제왕의 군세로 비친다.

반격 공세를 펼친 러시아군의 공습에 도움을 받아, 두 사람은 추격자를 따돌리지만, 휴식을 위해 멈춘 곳에서 조지아군 병사에게 붙잡힌다. "어서 쏴"라는 동료의 소리를 들으면서 병사는 총을 겨눈다. 그러나 의식을 잃은 툐마를 구하는 데 필사적인 크세니아의 말을 듣고, "조지아군 차량으로 러시아군 쪽으로 가는 것은 위험하다"라고 말하며 운전을 바꿔 두 사람을 안전한 위치까지 데려다주고 떠난다. 치료를 받고 의식을 되찾은 툐마는, 코스모 보이에게 보내는 주문을 반복하는 크세니아에게 "로봇 얘기는 이제 그만해. 아빠 얘기를 해줘"라고 졸랐다.

기운을 되찾은 툐마와 크세니아가 이송 헬기를 기다리는 곳에, 료하가 나타난다. 그는 "무전기를 돌려받으러"라고 말을 흐리면서 작별 인사를 하는 데 그쳤지만, 이윽고 크세니아의 집 자동 응답 전화에, 료하로부터의 메시지가 녹음되었다.

3. 6. 에필로그

모스크바에 사는 크세니아와 아들 쵸마는 전쟁 이후에도 힘든 시간을 보낸다. 크세니아는 새로운 애인과 관계를 맺고 있지만, 쵸마는 "코스모 보이"라는 공상에 빠져 현실을 외면한다.

남오세티야에서 평화 유지군으로 복무 중이던 전 남편 자우르가 쵸마를 만나고 싶어해 크세니아는 쵸마를 잠시 보낸다. 하지만 조지아와의 전쟁 발발 가능성을 인지하지 못한 크세니아는 뒤늦게 쵸마를 되찾기 위해 위험한 여정을 시작한다.

여러 우여곡절 끝에 쵸마와 재회하지만, 쵸마는 부상으로 인해 현실과 공상을 혼동하는 상태였다. 크세니아는 쵸마를 구하기 위해 조지아군에게서 차를 훔쳐 탈출을 시도하고, 이 과정에서 러시아군의 도움을 받는다.

결국 두 사람은 조지아군 병사에게 붙잡히지만, 병사는 크세니아의 모성애에 감동받아 그들을 안전한 곳으로 보내준다. 치료 후 의식을 되찾은 쵸마는 크세니아에게 로봇 이야기가 아닌 아빠 이야기를 해달라고 부탁한다.

크세니아와 쵸마가 헬기를 기다리는 동안, 료하가 나타나 무전기를 돌려받으러 왔다는 핑계로 작별 인사를 한다. 이후 크세니아의 집 자동 응답 전화에는 료하의 메시지가 녹음되어 있었다.

4. 등장인물


  • 크세니야 (스베틀라나 이바노바 분): 이야기의 중심 인물이다.
  • 료하 (막심 마트베예프 분): 크세니야와 관련된 인물로 등장한다.
  • 자우르 (이고르 베로예프 분): 친절한 로봇 역을 맡았다.
  • 아르툠 (아르툠 파데예프 분): 주요 등장인물 중 한 명이다.
  • 일리야 대위 (하산 바로예프 분, 데니스 베치노프 모델): 주요 등장인물 중 한 명이다.
  • 러시아 대통령 (블라디미르 브도비첸코프 분): 러시아 대통령 역을 맡았다.
  • 예고르 (알렉산드르 올레쉬코 분): 주요 등장인물 중 한 명이다.
  • 그리쉬카 (콘스탄틴 사모우코프 분):
  • 키릴 이바노비치 (세르게이 가자로프 분): 대통령 보좌관 역을 맡았다.
  • 카즈베크 니콜라예비치 (알렉세이 구스코프 분):
  • 크세니야의 어머니 (안나 레그칠로바 분):
  • 본인 (고샤 쿠첸코):
  • 외국인 기자 (에스텔 라스킨 분):
  • 장갑차에서 사망한 기자 (미탸 라부쉬 분):
  • 아자 (리디야 벨레제바 분):
  • 츠힌발리의 버스 통제자 (테이무라즈 타니야 분):
  • 러시아 국방부 장관 (블라디미르 자이체프 분):
  • 야쉬카 (알렉산드르 페트로프 분): 전차 지휘관 역을 맡았다.
  • 러시아 연방보안국(FSB) 의장 (발레리 쿠다시킨 분):
  • 자우르의 어머니 (타마라 감기야 분):
  • 자우르의 아버지 (레오니드 히쉬바 분):
  • 로마노프 (알렉산드르 카람노프 분):
  • 조지아 병사 (알렉산드르 호샤바예프 분):
  • 전차 운전병 (키릴 플레트뇨프 분):
  • 코스모보이 (예카테리나 아브디예바 분):
  • 마라코블라스트 (자니크 파지예프 분):

4. 1. 주요 등장인물


  • 크세니야 (스베트라나 이바노바 분): 이야기의 중심 인물이다.
  • 료하 (막심 마트베예프 분): 크세니야와 관련된 인물로 등장한다.
  • 자우르 (이고르 베로예프 분): 친절한 로봇 역을 맡았다.
  • 아르툠 (아르툠 파데예프 분): 주요 등장인물 중 한 명이다.
  • 일리야 대위 (하산 바로예프 분, 데니스 베치노프 모델): 주요 등장인물 중 한 명이다.
  • 러시아 대통령 (블라디미르 브도비첸코프 분): 러시아 대통령 역을 맡았다.
  • 예고르 (알렉산드르 올레쉬코 분): 주요 등장인물 중 한 명이다.
  • 그리쉬카 (콘스탄틴 사모우코프 분):
  • 키릴 이바노비치 (세르게이 가자로프 분): 대통령 보좌관 역을 맡았다.
  • 카즈베크 니콜라예비치 (알렉세이 구스코프 분):
  • 크세니야의 어머니 (안나 레그칠로바 분):
  • 본인 (고샤 쿠첸코):
  • 외국인 기자 (에스텔 라스킨 분):
  • 장갑차에서 사망한 기자 (미탸 라부쉬 분):
  • 아자 (리디야 벨레제바 분):
  • 츠힌발리의 버스 통제자 (테이무라즈 타니야 분):
  • 러시아 국방부 장관 (블라디미르 자이체프 분):
  • 야쉬카 (알렉산드르 페트로프 분): 전차 지휘관 역을 맡았다.
  • 러시아 연방보안국(FSB) 의장 (발레리 쿠다시킨 분):
  • 자우르의 어머니 (타마라 감기야 분):
  • 자우르의 아버지 (레오니드 히쉬바 분):
  • 로마노프 (알렉산드르 카람노프 분):
  • 조지아 병사 (알렉산드르 호샤바예프 분):
  • 전차 운전병 (키릴 플레트뇨프 분):
  • 코스모보이 (예카테리나 아브디예바 분):
  • 마라코블라스트 (자니크 파지예프 분):

4. 2. 조연

알렉세이 구스코프는 카즈베크 니콜라예비치 역을 맡았다. 블라디미르 브도비첸코프는 러시아 대통령 역을 맡았는데, 당시 대통령이었던 드미트리 메드베데프를 모델로 한 것이다. 세르게이 가자로프는 대통령 보좌관인 키릴 이바노비치 역을 연기했다. 알렉산드르 올레슈코는 예고르 역을 맡았다.

5. 제작

영화의 중심 줄거리는 두 가지 실화를 바탕으로 한다. 한 남자가 2008년 8월에 전 여자친구를 남오세티야에서 데려온 것과, 제작자의 친구 아들이 해리를 경험한 것이다. 영화는 2011년 3월부터 8월까지 촬영되었다. 남오세티야의 대부분의 장면은 압하지야북오세티야-알라니야에서 촬영되었다. 대부분의 엑스트라는 압하지아인이었지만, 오세티아어를 사용하는 등장인물들은 북오세티아 배우들이 연기하거나 더빙했다. 공식 예고편은 Sundown Entertainment에서 Trailerhouse에서 제작했다.

5. 1. 촬영

영화의 중심 줄거리는 두 가지 실화를 바탕으로 한다. 한 남자가 2008년 8월에 전 여자친구를 남오세티야에서 데려온 것과, 제작자의 친구 아들이 해리를 경험한 것이다. 영화는 2011년 3월부터 8월까지 촬영되었다. 남오세티야의 대부분의 장면은 압하지야북오세티야-알라니야에서 촬영되었다. 대부분의 엑스트라는 압하지아인이었지만, 오세티아어를 사용하는 등장인물들은 북오세티아 배우들이 연기하거나 더빙했다. 공식 예고편은 Sundown Entertainment에서 Trailerhouse에서 제작했다.

5. 2. 캐스팅

크세니야 역은 스베틀라나 이바노바/Иванова, Светлана Андреевнаru (사코 마유미)가 맡았고, 료하 역은 막심 마트베예프/Матвеев, Максим Александровичru (사쿠라이 토오루)가 연기했다. 자울 역에는 이고르 베로예프/Бероев, Егор Вадимовичru (야마기시 하루오)가, 쵸마 역에는 아르춈 파디예프 (사토 이쿠미)가 캐스팅되었다. 영화의 중심 줄거리는 2008년 8월에 발생한 두 가지 실화를 바탕으로 하는데, 한 남자가 전 여자친구를 남오세티야에서 데려온 사건과 제작자의 친구 아들이 해리를 겪은 경험이다. 영화 촬영은 2011년 3월부터 8월까지 진행되었으며, 남오세티야 장면의 대부분은 압하지야북오세티야-알라니야에서 촬영되었다. 대부분의 엑스트라는 압하지아인이었지만, 오세티아어를 사용하는 등장인물들은 북오세티아 배우들이 연기하거나 더빙했다. 공식 예고편은 Sundown Entertainment에서 Trailerhouse에서 제작했다.

6. 배급

영화의 시사회는 2012년 2월 17일 모스크바 푸쉬킨스키 영화관에서 열렸다. 2012년 2월 21일 러시아 전역에 개봉되었다. 시사회는 조국 수호자의 날에 맞춰 계획되었고, 따라서 영화는 많은 경쟁작들을 상대해야 했다. 배급 첫 주에 이 영화는 박스 오피스에서 선두를 차지했으며 첫 주말에 1억 4천만 루블(약 5백만 달러) 이상을 벌어들였다. 총 수익은 약 1천만 달러로, 파이지예프의 전작인 터키의 갬빗의 흥행 수익에 훨씬 미치지 못했다.

모스크바 푸쉬킨스키 영화관에서 2012년 2월 17일 영화의 시사회가 열렸다. 2012년 2월 21일 러시아 전역에 개봉되었다. 시사회는 조국 수호자의 날에 맞춰 계획되었고, 영화는 많은 경쟁작들을 상대해야 했다. 배급 첫 주에 이 영화는 박스 오피스에서 선두를 차지했으며 첫 주말에 1억 4천만 루블(약 5백만 달러) 이상을 벌어들였다. 총 수익은 약 1천만 달러로, 파이지예프의 전작인 터키의 갬빗의 흥행 수익에 훨씬 미치지 못했다. 영어 자막이 있는 영화의 데뷔는 2012년 9월 1일 오스트레일리아에서 "August 8th"라는 제목으로 2012년 러시아 부활 영화제에서 열렸다.

6. 1. 러시아 배급

영화의 시사회는 2012년 2월 17일 모스크바 푸쉬킨스키 영화관에서 열렸다. 2012년 2월 21일 러시아 전역에 개봉되었다. 시사회는 조국 수호자의 날에 맞춰 계획되었고, 따라서 영화는 많은 경쟁작들을 상대해야 했다. 배급 첫 주에 이 영화는 박스 오피스에서 선두를 차지했으며 첫 주말에 1억 4천만 루블(약 5백만 달러) 이상을 벌어들였다. 총 수익은 약 1천만 달러로, 파이지예프의 전작인 터키의 갬빗의 흥행 수익에 훨씬 미치지 못했다.

6. 2. 국제 배급

모스크바 푸쉬킨스키 영화관에서 2012년 2월 17일 영화의 시사회가 열렸다. 2012년 2월 21일 러시아 전역에 개봉되었다. 시사회는 조국 수호자의 날에 맞춰 계획되었고, 영화는 많은 경쟁작들을 상대해야 했다. 배급 첫 주에 이 영화는 박스 오피스에서 선두를 차지했으며 첫 주말에 1억 4천만 루블(약 5백만 달러) 이상을 벌어들였다. 총 수익은 약 1천만 달러로, 파이지예프의 전작인 터키의 갬빗의 흥행 수익에 훨씬 미치지 못했다. 영어 자막이 있는 영화의 데뷔는 2012년 9월 1일 오스트레일리아에서 "August 8th"라는 제목으로 2012년 러시아 부활 영화제에서 열렸다.

7. 평가

7. 1. 비평가들의 평가

7. 2. 관객 반응

참조

[1] 웹사이트 Two Badass Trailers for the Russian Giant Robot Extravaganza August Eighth http://www.beyondhol[...] 2012-02-15
[2] 웹사이트 Россиянам расскажут о "Войне трех восьмерок" http://www.vmdaily.r[...] Вечерняя Москва 2012-02-18
[3] August Eighth trailer http://avsquad.com/w[...]
[4] 웹사이트 Avgust. Vosmogo (2012) https://www.imdb.com[...] IMDb 2014-1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