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어름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름치는 대한민국 고유종으로, 한강, 임진강, 금강 상류에 서식하는 물고기이다. 최대 30-35cm까지 성장하며, 환경 변화에 민감하여 멸종 위기에 놓여 1978년 천연기념물 제259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1972년 금강에서도 서식이 확인되어 두 강이 과거에 연결되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근거가 되었으며, 금강은 어름치의 남쪽 한계선으로 학술적 가치가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7년 기재된 물고기 - 묵납자루
  • 한국의 물고기 - 멸치
    멸치는 청어목 멸치과의 바닷물고기로, 10~20cm 정도 크기에 푸른 회색 등과 은백색 배를 가지며,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고 칼슘이 풍부하며 어획량이 많아 낚시 미끼나 비료로도 사용된다.
  • 한국의 물고기 - 뱀장어
    뱀장어는 뱀장어목 뱀장어과에 속하는 민물고기로, 원통형 몸에 미끈한 피부를 가지며, 배지느러미가 없고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가 연결된 형태를 가지며, 산란 후 죽고,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되었으며, 동아시아에서 식용으로 양식된다.
어름치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야가타니고이 Hemibarbus mylodon
학명Hemibarbus mylodon
명명자Berg, 1907년
이명Barbus mylodon (Berg, 1907)
Gonoproktopterus mylodon (Berg, 1907)
Hamibarbus mylodon (Berg, 1907)
Hypselobarbus mylodon (Berg, 1907)
Belligobio eristigma Jordan & Hubbs, 1925
잉어과
니고이속
멸종위기 등급 (대한민국)멸종위기 관찰종
일본어 이름야가타니고이
영어 이름Barbus mylodon (Berg, 1907)
한국어 이름어름치
생물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기어강
잉어목
아과카마츠카아과
누치속

2. 분포

어름치는 대한민국 고유종으로[5], 임진강, 한강, 금강 상류에 서식한다.

3. 형태

최대 몸길이는 30-35cm이다. 등지느러미 줄기는 3-7개, 배지느러미 줄기는 3-5개이다.[6][7] 기본적으로 대형 저서 무척추동물을 포식한다.

4. 생태

어름치는 대한민국 고유 어종으로, 환경 변화에 민감하고 분포 지역이 제한되어 있어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이러한 이유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6] 최근에는 사람들이 마구잡이로 포획하고 서식지 하천의 수질이 나빠지면서 그 수가 더욱 감소하고 있다.

어름치는 한강에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1972년 금강 중·상류에서도 서식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는 과거에 한강과 금강이 연결되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이다. 금강은 한반도 고유종인 어름치가 살 수 있는 남쪽 한계선이므로 학술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학명인 ''Hemibarbus''는 "반"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ἡμι- (hēmi-)"와 잉어를 의미하는 "barbus"에서 유래되었다. 종명인 "mylodon"은 고대 그리스어 "ὀδών (odṓn)"에서 유래되었으며 "이가 있는"을 의미한다. 이는 잉어과 어류 특유의 제4 인두치가 어금니 모양이고 윗면에 작은 둥근 홈이 있는 것을 가리킨다.[8]

5. 인간과의 관계

어름치는 사람들의 무분별한 포획과 서식지 하천의 수질 악화로 인해 그 수가 감소하고 있으며,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9]

어름치는 한국 고유 어종으로, 환경 변화에 민감하고 분포 지역이 제한되어 있어 1978년 8월 18일천연기념물 제259호로 지정되었다. 1972년 5월 1일에는 금강의 어름치 서식지가 천연기념물 제238호로 지정되었다. 금강에서 어름치가 발견되면서, 과거 한강과 금강이 연결되었다는 중요한 증거가 되었다.

5. 1. 보존 노력

최근 사람들의 무분별한 포획과 서식지 하천의 수질 악화로 인해 어름치의 수가 감소하고 있다.[9]

어름치는 한국 고유 어종으로, 환경 변화에 민감하고 분포 지역이 한정되어 있어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이러한 이유로 1978년 8월 18일 천연기념물 제259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1972년 5월 1일에는 금강의 어름치 서식지가 천연기념물 제238호로 지정되었다. 원래 어름치는 한강에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금강에서도 서식이 확인되면서 두 강이 과거에 연결되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학술적 근거가 되었다. 금강은 한국 고유종인 어름치가 서식할 수 있는 남쪽 한계선으로, 무분별한 포획과 수질 오염으로부터 어름치를 보호하기 위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6. 갤러리

어름치

참조

[1] 웹사이트 Hemibarbus mylodon (Berg, 1907) https://www.gbif.org[...] GBIF 2013-10-27
[2] 웹사이트 Hemibarbus mylodon http://www.dbpia.co.[...] DBpia 2013-10-27
[3] 웹사이트 Hemibarbus mylodon is Back in Kum River http://www.apec-vc.o[...] APEC-VC Korea 2013-10-27
[4] 웹사이트 魚羅淵(江原古生代国家地質公園)(어라연 (강원고생대 국가지질공원) ) - エリア情報 - 韓国旅行・観光情報 https://www.koreatri[...] 2024-06-15
[5] 웹사이트 Hemibarbus mylodon (Berg, 1907) https://www.gbif.org[...] GBIF 2013-10-27
[6] 웹사이트 Hemibarbus mylodon is Back in Kum River http://www.apec-vc.o[...] APEC-VC Korea 2013-10-27
[7] 웹사이트 相模湾初記録となるアブラガレイ(カレイ目カレイ科)について https://www.jstage.j[...] 崎山 直夫・瀬能 宏 2024-06-15
[8] 웹사이트 Hemibarbus mylodon (Barbus mylodon, Belligobio eristigma) — Seriously Fish https://www.seriousl[...] 2024-06-15
[9] 웹사이트 Hemibarbus mylodon http://www.dbpia.co.[...] DBpia 2013-10-27
[10] 웹사이트 https://species.nib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