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어정번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정번은 에도 막부 시대에 정보 수집 및 첩보 활동을 수행한 비밀 요원이다. 도쿠가와 요시무네가 약 20명의 정예 온미츠(첩자)로 창설하여 다이묘와 막부 관리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정부 고위 관리를 보호하며, 에도성을 경비하는 역할을 했다. 어정번은 쇼군 직속의 정보원으로서, 쇼군의 측근으로부터 명령을 받아 정보 수집 활동을 수행하고 다이묘, 막신, 에도 시내를 관찰하여 보고했다. 이들은 세습 가문으로 유지되었으며, 막말에는 22개의 가문이 존재했다. 어정번은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닌자나 스파이와 같은 존재로 묘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어정번 - 마미야 린조
    마미야 린조는 1775년 이바라키현에서 태어나 홋카이도 이북 지역 측량, 사할린 섬 확인, 마미야 해협 발견 등 지도 제작에 기여하고 흑룡강 하구 탐사로 러시아 동향을 파악한 에도 막부의 탐험가이자 관리였다.
  • 기슈번 - 와카야마성
    와카야마성은 와카야마시 중앙 도라후스산 정상에 위치한 평산성으로, 도요토미 히데나가가 축성하고 아사노 요시나가가 확장했으며, 화재 후 재건되어 현재는 와카야마시의 상징이자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고, 일본 3대 연립식 평산성 중 하나이며 오카구치 문은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기슈번 - 조슈 정벌
    조슈 정벌은 에도 막부가 조슈 번의 세력 확장을 막고 권위를 회복하기 위해 두 차례에 걸쳐 감행한 군사 행동으로, 나마무기 사건과 금문의 변을 거치며 갈등이 심화되어 1864년과 1866년에 각각 1, 2차 정벌이 있었으며, 특히 2차 정벌에서 막부의 패배는 막부 쇠퇴를 가속화하고 메이지 유신의 발판을 마련했다.
  • 도쿠가와 요시무네 - 교호 개혁
    교호 개혁은 1716년부터 1736년까지 도쿠가와 요시무네가 막부 재정 안정, 사회 질서 확립, 막부 권력 강화를 목표로 검소함 강조, 상인 길드 형성, 서양 서적 수입 완화, 참근교대 규칙 완화 등을 추진한 개혁 정책이다.
  • 도쿠가와 요시무네 - 가즈라노번
    가즈라노 번은 겐로쿠 10년(1697년) 도쿠가와 요시무네가 3만 석을 분할받아 세워졌으나, 호에이 2년(1705년) 요시무네가 기슈 번주를 계승하며 폐번되어 막부 직할령이 되었고, 현재의 후쿠이현 에치젠정에 위치했으며 번주는 대관을 파견하여 통치했다.
어정번중
개요
유형비밀 조직, 정보 기관
존속 기간에도 시대 중기 ~ 말기
창설도쿠가와 요시무네
활동 지역에도 성, 교토
주요 임무정보 수집, 요인 경호, 암살
관련 인물도쿠가와 요시무네
상세 정보
역할쇼군의 직속 정보 기관, 비밀 경찰
인원 구성약 20 ~ 30명
조직 구조쇼군 직속, 독립적인 정보망
주요 활동각지의 정보 수집 및 분석
쇼군 및 주요 인물 경호
정적 암살 및 공작 활동
다이묘 감시 및 동향 파악
특징뛰어난 무술 실력과 정보 수집 능력
변장술, 잠입술 등 특수 기술 숙련
철저한 비밀 유지
출신기슈 번 출신자 중심
무술에 능한 자, 정보 수집 능력 우수자 선발
해체 시기메이지 유신 이후 자연스럽게 해체
역사적 배경
창설 배경도쿠가와 요시무네의 교호 개혁의 일환
막부 정치 안정 및 권력 강화를 위한 목적
기존 정보 기관의 한계 보완
주요 활동 시기도쿠가와 요시무네 재임 기간 및 이후
오해 및 논란
대중 매체에서의 묘사과장된 능력, 허구적인 설정 다수
실제 역사와는 다른 이미지 형성
닌자와의 관계일부 겹치는 역할 존재
오니와반은 막부 직속의 정보 기관, 닌자는 용병 또는 독립적인 정보 조직이라는 차이점 존재
관련 용어
오니와 (Oniwa)에도 성 내 정원, 오니와반의 주요 활동 무대
메쓰케 (Metsuke)막부의 감찰 기관, 오니와반과 협력 관계
기타
참고 문헌관련 서적, 역사 자료 등
관련 링크관련 웹사이트, 동영상 등

2. 역사

에도 시대에 온미츠(御庭番, 첩자 또는 비밀 수사관을 의미)는 주로 정보 수집과 첩보 활동을 하는 보안 및 첩보 요원으로 활동했다. 때로는 이가 닌자 감독관 아래에서 이동식 수동 노동자로 위장한 하위 계급 요원(''코부시카타'')의 도움을 받기도 했다. 오니와반은 엄격한 규정을 따랐으며, 일반 대중과의 교제가 금지되기도 했다.[2]

2. 1. 기원

도쿠가와 요시무네는 첩자 또는 비밀 수사관을 의미하는 온미츠(御庭番) 약 20명을 엄선하여 엘리트 집단인 오니와반(御庭番)을 설립하였다. 이들은 ''다이묘'' 영주와 도쿠가와 막부 관리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정부 고위 관리들을 보호하고 에도성에서 경비원으로 활동했다.[2] 이들은 성의 정원에 주둔했을 것으로 추정되어 오니와반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어정번(御庭番)의 전신은 요시무네가 쇼군으로 취임하기 전에 번주를 맡았던 기슈번의 '''약혼역'''(쿠스리고메야쿠)이다. 이들은 기슈번에서 안쪽 경비를 표면적인 직무로 하고, 번주의 명을 받아 정보 수집을 했다. 요시무네가 쇼군으로 취임했을 때, 약혼역 중 십여 명이 요시무네를 따라 에도로 옮겨 막신(幕臣)으로 편입되어 어정번이 되었다. 기슈번의 약혼역은 전체 수십 명이었으나, 막신으로 편입된 것은 십여 명뿐이었다. 이는 윤번으로 에도에 수행한 자를 임명했을 뿐, 특별히 선발한 것은 아니었다.

요시무네가 어정번을 신설한 이유는 이에야스 이래 막부에 봉사해 온 이가자나 코가자가 닌자로서의 기능을 잃고 간첩으로 쓸모없게 된 것과, 방계 기슈가에서 쇼군가를 이은 요시무네가 대대로 자신의 집에 봉사해 온 신뢰할 수 있는 자를 간첩으로 쓰려고 한 점이 꼽힌다. 또한, 막부의 공식 감찰관이었던 오메츠케가 후대에는 전령을 주된 직무로 하는 의례관이 되면서 쇼군 직속의 감찰 능력이 형해화되었기 때문에, 이를 보충하여 쇼군 권력을 강화하려는 목적도 있었다.

어정번의 시조가 된 17명의 채용 경위와 직함명 변천은 다음과 같다.[7]

채용 시기직함명출신성명
교호 원년 10월히로시키 이가자기슈번 약혼역카와무라 야고자에몬, 미야지 로쿠에몬, 야부타 사다하치
교호 원년 11월히로시키 이가자기슈번 약혼역아케라 카시우에몬, 니시무라 쇼자에몬
교호 3년 5월히로시키 이가자기슈번 약혼역바바 타키우에몬, 나카무라 만고로, 노지리 시치로베, 무라가키 키치헤이, 코사카 코키치, 타카하시 요에몬, 쿠라치 분자에몬, 카지노 타사에몬, 와타다 마고이치, 하야시 소시치로, 요시카와 야스노우에몬
교호 14년 8월어정번전 기슈번 구치노모노카와무라 신로쿠



에도 막부의 "히로시키 이가자" 16명 중 7명은 교호 11년 2월에 "오큐소쿠 오니와시메도반"으로, 나머지 9명은 "이가 어정번"으로 임명되어 기존의 "히로시키 이가자"와 구별되었다.

2. 2. 에도 시대

도쿠가와 요시무네는 약 20명의 엄선된 온미츠로 어정번중을 설립하여 다이묘 영주와 도쿠가와 막부 관리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정부 고위 관리들을 보호하며 에도성에서 경비원으로 활동하게 했다.[2] 이들은 성의 정원에 주둔했을 것으로 추정되어 어정번중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에도 시대 온미츠는 주로 정보 수집과 첩보 활동을 하는 보안 및 첩보 요원이었으며, 때로는 이가 닌자 감독관 아래에서 이동식 수동 노동자로 위장한 하위 계급 요원(''코부시카타'')의 도움을 받았다. 오니와반은 엄격한 규정을 따랐으며, 일반 대중과의 교제가 금지되기도 했다.

어정번의 전신은 요시무네가 쇼군 취임 전 번주를 맡았던 기슈번의 '''약혼역'''(쿠스리고메야쿠)이다. 이들은 기슈번에서 안쪽 경비를 표면적인 직무로 하고, 번주의 명을 받아 정보 수집을 했다. 요시무네가 쇼군에 취임하자 약혼역 중 십여 명이 에도로 옮겨져 막신으로 편입되어 어정번이 되었다. 기슈번의 약혼역은 수십 명이었으나, 막신으로 편입된 것은 십여 명뿐이었다. 이는 윤번으로 에도에 수행한 자를 임명했을 뿐, 특별히 선발한 것은 아니다.

요시무네가 어정번을 신설한 이유는 이에야스 이래 막부에 봉사해 온 이가자나 코가자가 닌자로서의 기능을 잃고 간첩으로 쓸모없게 된 것과, 방계 기슈가에서 쇼군가를 이은 요시무네가 신뢰할 수 있는 자를 간첩으로 쓰려고 한 점이 꼽힌다. 또한, 막부 공식 감찰관 오메츠케가 후대에는 전령을 주된 직무로 하는 의례관이 되면서 쇼군 직속 감찰 능력이 약화되었기 때문에, 이를 보충하여 쇼군 권력을 강화하려는 목적도 있었다.

  • 어정번 가문의 시조가 된 17명의 채용 경위와 직함명 변천[7]


채용 시기직함명출신성명
교호 원년 10월히로시키 이가자기슈번 약혼역카와무라 야고자에몬, 미야지 로쿠에몬, 야부타 사다하치
교호 원년 11월히로시키 이가자기슈번 약혼역아케라 카시우에몬, 니시무라 쇼자에몬
교호 3년 5월히로시키 이가자기슈번 약혼역바바 타키우에몬, 나카무라 만고로, 노지리 시치로베, 무라가키 키치헤이, 코사카 코키치, 타카하시 요에몬, 쿠라치 분자에몬, 카지노 타사에몬, 와타다 마고이치, 하야시 소시치로, 요시카와 야스노우에몬
교호 14년 8월어정번전 기슈번 구치노모노카와무라 신로쿠


  • 에도 막부의 히로시키 이가자가 된 16명은 교호 11년 2월에 7명이 "오큐소쿠 오니와시메도반", 나머지 9명은 "이가 어정번"이 되어, 기존의 히로시키 이가자와 구별되었다.

3. 직무

에도 시대 온미츠(隠密, 첩자 또는 비밀 수사관을 의미)는 주로 정보 수집과 첩보 활동을 하는 보안 및 첩보 기능의 비밀 요원이었다. 이들은 때때로 이가 닌자 감독관 아래에서 이동식 수동 노동자로 위장하여 활동하는 하위 계급 요원들의 소규모 집단인 '코부시카타'의 도움을 받기도 했다. 오니와반은 엄격한 규정을 따랐으며, 어떤 경우에는 일반 대중과의 교제를 금지하기도 했다.

도쿠가와 요시무네는 약 20명의 엄선된 온미츠로 오니와반을 설립하여 다이묘와 도쿠가와 막부 관리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정부 고위 관리들을 보호하며, 에도성에서 경비원으로 활동하게 했다.[2]

3. 1. 표면적 직무

어정번(御庭番)은 에도 막부의 직제에서 오오쿠(大奥)에 속하는 남성 직원인 광식역인(広敷役人) 중 하나로, 와카도시요리(若年寄)의 지배를 받았다. 이들은 에도성 혼마루에 있는 정원에 설치된 어정번소(御庭番所)에서 근무하며, 안쪽 경비를 표면적인 직무로 삼았다.[6]

3. 2. 실제 직무

도쿠가와 요시무네는 약 20명의 엄선된 온미츠(隠密, 첩자 또는 비밀 수사관을 의미하는 용어)로 어정번을 설립했다. 이들은 ''다이묘''(大名) 영주와 도쿠가와 막부 관리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정부 고위 관리들을 보호하며, 에도성에서 경비원으로 활동했다.[2] 어정번은 에도 막부의 직제에서 오오쿠(大奥)에 속하는 남성 직원·광식역인(広敷役人) 중 하나로, 와카도시요리(若年寄)의 지배를 받았다. 이들은 에도성 혼마루에 위치한 정원에 설치된 어정번소(御庭番所)에 근무하며, 안쪽의 경비를 표면적인 직무로 삼았다.[6]

어정번은 쇼군 측근인 오소바고요토리츠기(御側御用取次)로부터 명령을 받아 정보 수집 활동을 수행하여 쇼군 직통의 귀중한 정보원이 되었다.[6] 이들은 일상적으로 다이묘·막신 및 에도 시내를 관찰하여 이상이 있으면 보고하도록 정해져 있었다. 정원 번의 명목으로 어전에 접근할 수 있었기 때문에, 보고 시에는 오메미(御目見) 이하의 고케닌(御家人) 신분이라도 쇼군에게 직접 면회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들은 신분은 낮아도 쇼군 자신의 의사를 받아 행동하는 특수한 입장에 있었다.

어정번은 특수한 임무 때문에 공적을 세워 출세할 기회를 얻기도 했다. 그중에는 막말에 초대 니가타 봉행(新潟奉行)·나가사키 봉행(長崎奉行)을 역임한 가와무라 오사나리(川村修就), 간조 봉행(勘定奉行)·외국 봉행(外国奉行)을 역임하고, 미일 수호 통상 조약 비준을 위해 사절 부사로 미국에 건너간 무라가키 노리카타(村垣範正)와 같은 인물도 있다.

3. 3. 정보 보고

도쿠가와 요시무네는 엄선된 약 20명의 온미츠(隠密, 첩자 또는 비밀 수사관을 의미하는 용어)로 구성된 어정번(御庭番)을 설립하였다. 이들은 ''다이묘'' 영주와 도쿠가와 막부 관리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정부 고위 관리들을 보호하며, 에도성에서 경비원으로 활동했다.[2] 어정번은 오오쿠(大奥)에 속하는 남성 직원·광식역인(広敷役人) 중 하나로, 와카도시요리(若年寄)의 지배를 받았다. 이들은 에도성 혼마루의 어정번소(御庭番所)에 근무하며, 안쪽 경비를 표면적인 직무로 삼았다. 쇼군 측근인 오소바고요토리츠기(御側御用取次)로부터 명령을 받아 정보 수집 활동을 수행하여 쇼군 직통의 귀중한 정보원이 되었다.[6] 또한, 다이묘·막신 및 에도 시내를 관찰하여 이상이 있으면 보고하도록 정해져 있었다.

어정번은 정원 번이라는 명목으로 어전에 접근할 수 있었기 때문에, 보고 시에는 오메미(御目見) 이하의 고케닌(御家人) 신분이라도 쇼군에게 직접 면회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들은 신분은 낮았지만 쇼군의 의사를 받아 행동하는 특수한 입장에 있었다.

4. 신분과 가문

도쿠가와 요시무네 시대에 기슈번에서 은밀한 임무를 맡았던 이들을 막부에 편입시켜 17명을 초대 오니와반으로 임명했다. 이후 오니와반은 이들의 자손 17가문에서 세습되었으며, 분가 9가문이 생겨 총 26가문이 되었다. 이 중 4가문은 해임되어 막부 말기에는 22가문이 남았다. 이들은 오니와반 가문으로서 단결을 유지하며 오니와반의 직무를 협동하여 수행했다.[7]

오니와반 가문들은 처음에는 모두 하급 고케닌이었으나, 막부 말기까지 대부분 하급 하타모토로 신분이 상승했다. 오니와반 출신이 출세하면 오니와반에서 물러났지만, 그 자식이 새로 막부에 들어올 때는 오니와반이 되는 것이 정해져 있었다. 하타모토로 출세한 오니와반의 자식은 하타모토격 오니와반이 되었다.

이들은 당시 무감에 오니와반으로 수록되었고, 간첩이면서도 성명, 주소, 수입, 경력까지 공개되어 있었다.

5. 원국 어용 (遠国御用)

오니와반이 막부 관료로서의 신분을 숨기고 멀리 떨어진 지방의 실정을 조사하기 위해 떠나는 여행을 "원국 어용"이라고 한다. 앞서 언급했듯이, 이들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화려한 첩보 활동은 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종 명령받는 원국 어용은 중요한 임무였다.[1]

쇼군의 명령을 받고 곧바로 막부 어용 의상점에 가서 비밀의 방에서 변장하고 가족에게도 알리지 않은 채 즉시 출발했다는 이야기가 자주 등장한다. 그러나 오니와반 자신의 이야기나 그들이 남긴 기록, 막부에 남아있는 공식 기록을 보면 이는 사실이 아니며 전설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1]

실제로 정보 수집 명령을 받은 오니와반은 출발 전에 한 번 자택으로 돌아가 신중하게 준비했다. 이들은 막부 관료로 출세한 후 오니와반 직무를 떠난 장로까지 포함한 오니와반 가문 사이에서 긴밀하게 연락을 주고받았다. 명령을 받은 오니와반은 가문의 장로를 비롯한 선배 오니와반들에게 조사 내용에 대해 상담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겉으로는 오니와반들이 "다른 사람은 물론 친형제라 할지라도 직무상의 비밀을 누설하지 않는다"는 서약서를 취임 시 제출했다.[1] 또한, 에도에서 사전 조사를 하고 예비 지식을 쌓은 후 출발했다. 조사 보고는 서면으로 제출되었고, 선배 오니와반들의 검토를 거쳐 보고가 이루어졌다.[1]

은밀 조사 중에는 공식적으로 병가를 낸 것으로 처리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보고서 상의 여정은 명령을 받은 직후 출발하여 돌아온 직후 보고했다는 형식을 취했지만, 실제로는 사전 준비와 사후 보고서 작성 때문에 전후 며칠간 집에 머무른 기간이 있었다. 이는 한눈팔지 않고 직무에 매진했다는 명분을 취할 필요가 있었고, 일당으로 출장 수당이 지급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1]

원국 어용 때마다 들르게 되는 교토·오사카에는 매번 어용을 명령받은 오니와반이 들르는 어용 상인이 있었다. 이들은 오니와반의 은밀 조사를 지원하기 위한 일종의 현지 스태프로 배치되어 있었으며, 오니와반은 처음 하는 어용이라도 이들의 도움을 받아 무사히 임무를 완수할 수 있었다.[1]

6. 대중문화 속 오니와반

어정번중은 시대극, 시대 소설, 만화 등 대중문화에서 닌자나 스파이처럼 비밀스러운 존재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어정번|오니와반일본어이라는 명칭은 여러 작품에서 사용되었으며, 때로는 실제 역사와는 다른 허구적인 설정이 추가되기도 한다.

6. 1. 대표적 등장 작품

어정번중은 여러 대중 매체에서 주요 등장인물로 묘사되었다. 텔레비전 드라마 《오에도 수사망》, 《쇼군의 은밀! 그림자 십팔》, 영화 《오니와반》(영어로 ''데몬 스파이즈''로 알려짐)에 등장한다.[3] TV 시리즈 《폭군 쇼군》, 만화/애니메이션 시리즈 《가레이》, 《은혼》, 《자토이치》, 《피스 메이커》, 《사무라이 참프루》, 《카무이의 검》, 《요시무네》에도 등장한다. 첫 번째 《그림자 무사》 TV 시리즈에는 4대 도쿠가와 쇼군 도쿠가와 이에츠나 밑에 오니와반이 존재하지만, 그들은 이가 닌자에 대항하는 코우가 닌자이다. 오니와반은 또한 《원피스》에 등장하여 쇼군 오로치의 밑에서 일한다.

만화/애니메이션 시리즈 《바람의 검심[4]과 《욕정 클라이맥스》처럼 쇼군 시대가 끝난 이후의 시대를 배경으로 하거나, 애니메이션 《초 SD 전국전 무신 기라하가네》, 비디오 게임 《레드 어스》, 미니어처 게임 《인피니티》와 같이 완전히 허구적인 대체 세계, 심지어 미래 SF 설정을 배경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애니메이션 시리즈 《세일러 문》에서 매주 등장하는 악당 오니와반다나[5](영어 버전에서는 닌자나로 이름이 변경됨)의 이름 또한 오니와반에 대한 말장난이다.

일반적으로 어정번은 간첩이나 닌자와 같은 존재였다는 이미지가 널리 퍼져 있으며, 시대극, 시대 소설, 만화 등에서 그러한 묘사가 많이 나타난다.

참조

[1] 웹사이트 Ninja History: Frequently Asked Questions from Japan https://nickgray.net[...] 2020-07-11
[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apan: Early modern Jap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Vintage Ninja http://vintageninja.[...] Vintage Ninja 2014-02-19
[4] 웹사이트 Oniwabanshu (comic book team) http://www.comicvine[...] Comicvine.com 2014-02-19
[5] 웹사이트 the oracle :: Oniwabandana http://www.soul-hunt[...] Soul-hunter.com 2014-02-19
[6] 간행물 江戸幕府御側御用取次の基礎的研究 国史学 第120号 1983-05
[7] 논문 徳川将軍の情報収集活動 https://doi.org/10.1[...] 科学技術振興機構 199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