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정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정역은 2013년 4월 26일 용인 경전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역이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과거 1930년부터 1972년까지 수원시와 여주시를 잇던 수려선에 같은 이름의 역이 존재했으나, 수려선 폐선과 함께 폐역되었다. 역 주변에는 어정초등학교, 어정중학교, 이마트 동백점, 동백CGV, 용인 동백 호수공원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인 경전철의 역 - 기흥역
기흥역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구갈동에 위치한 수인분당선과 용인 경전철의 환승역으로, 용인 경전철 환승 시 추가 요금이 부과되지 않으며 AK&기흥점, 백남준아트센터 등 주변 시설과 연계되어 있다. - 용인 경전철의 역 - 시청·용인대역
시청·용인대역은 용인경량전철의 역으로, 용인시청과 용인대학교 인근에 위치한 2면 2선의 고가역이며, 2013년 개통하여 삼가역과 명지대역 사이에 있다. - 용인시의 전철역 - 기흥역
기흥역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구갈동에 위치한 수인분당선과 용인 경전철의 환승역으로, 용인 경전철 환승 시 추가 요금이 부과되지 않으며 AK&기흥점, 백남준아트센터 등 주변 시설과 연계되어 있다. - 용인시의 전철역 - 상현역
상현역은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에 위치한 신분당선의 지하철역으로, 2016년 1월 30일 개통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주변에 광교호수공원, 상현중학교 등의 시설이 있다. - 기흥구 - 한국민속촌
한국민속촌은 한국 전통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조선시대 마을을 재현한 한국 최초의 야외 박물관으로, 전통 공연과 체험 프로그램, 놀이시설, 식당 등을 제공하며 드라마 촬영지로도 활용된다. - 기흥구 - 영덕동
영덕동은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한 동으로, 영통리와 덕동 일부가 합쳐져 신설되었고, 광교신도시 조성으로 수원시 영통구 하동으로 일부 편입되기도 했으며, 용인서울고속도로 흥덕 나들목이 위치한 교통 요충지이자 흥덕지구를 중심으로 주거 시설이 잘 갖춰진 곳이다.
어정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주소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중동 |
운영사 | 용인경전철 주식회사 네오트랜스 |
노선 | 용인 경전철 |
승강장 | 2 |
선로 | 2 |
개업일 | 2013년 4월 26일 |
사건 | 용인 경전철 개통 |
한국어 역명 | |
한글 | 어정역 |
한자 | 御 |
로마자 표기 | Eojeong-yeok |
일본어 역명 | |
역명 | 御停駅 |
요미가나 | おじょん |
로마자 | Eojeong |
역 정보 (한국어) | |
![]() | |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어정로 128 (상하동) |
관리 | 용인경량전철 (건설/관리 및 차량 운행 업무) 네오트랜스 (역무 관리 및 선로 유지보수운영 업무) |
개업일 | 2013년 4월 26일 |
역 종류 | 보통역 |
승강장 | 2면 2선 |
노선 | 용인 경전철 |
영업 거리 | 기흥 기점 3.0 km |
이전 역 | 지석 (Y112) |
이전 역 간 거리 | 0.9 km |
다음 역 | 동백 (Y114) |
다음 역 간 거리 | 1.2 km |
2. 역사
2. 1. 수려선 어정역
1930년부터 1972년까지 수원시와 여주시를 잇던 협궤철도인 수려선에 어정역이 존재했다.[1][2] 하지만 수려선이 폐선되면서 함께 폐역되었다. 당시 수려선의 역이었던 이 어정역은 현재 용인 경전철의 어정역과 한국어 발음은 같지만, 두 역의 위치는 조금 다르다.[1][2]3. 역 구조
3. 1.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갖춘 고가역이다.3. 1. 1. 운행 방향
wikitext- 승강장 번호는 존재하지 않는다.
4. 역 주변
5. 인접한 역
(기흥 방면)
(전대·에버랜드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