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운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엄운규는 1940년대 청도관 창설자 이원국에게 태권도를 배우기 시작하여, 이승만 대통령 앞에서 태권도 시범을 보였으며, '손날치기의 장인'으로 불릴 만큼 뛰어난 실력을 갖춘 인물이다. 그는 이단 옆차기, 뒤돌려차기, 뒤돌아 옆차기를 창안했고, 대한태권도협회 상근부회장 및 사무총장, 서울특별시태권도협회 회장, 세계태권도연맹 부총재, 국기원 이사장 및 원장 등을 역임했다. 2017년 별세 후 국기원은 그의 태권도 발전에 대한 공헌을 기리기 위해 추서 10단을 수여했다. 체육훈장 기린장, 백마장, 청룡장을 받았으며, 태권도원에 현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남자 무술가 - 지한재
합기도를 정립하고 신무합기도를 창시한 대한민국의 무술가 지한재는 최용술에게 합기도를, 도사 이에게 삼랑도 텍기를 전수받았으며 영화 출연과 청와대 경호 무술 지도 후 미국으로 이주하여 국제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남자 무술가 - 김윤상 (무술가)
김윤상은 1960년대 초 합기도를 시작해 대한합기도협회 5단, 합기도 창시자 최용술 사사, 용술관 설립 및 관장, 합기유술 9단 수여, 해외 합기유술 전파, 최용술 기념사업 등의 활동을 한 대한민국의 무술가이다. - 체육훈장 기린장 수훈자 - 지현옥
지현옥은 서원대학교에서 미술교육학 학위를 받고 1988년 매킨리 등정에 성공했으며, KBS 《11시에 만납시다》에 출연했고, 체육훈장 기린장과 백마장을 수여받았다. - 체육훈장 기린장 수훈자 - 유상주
- 체육훈장 백마장 수훈자 - 방열 (농구인)
방열은 대한민국 농구인으로 선수, 지도자, 행정가로 활동했으며, 1962년 자카르타 아시안 게임과 1964년 도쿄 올림픽에 국가대표로 출전하고, 조흥은행 여자농구단, 쿠웨이트 농구 국가대표팀, 현대 남자 농구단 등을 지도했으며, 남자실업농구연맹 부회장, 대한농구협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 체육훈장 백마장 수훈자 - 박찬희 (권투 선수)
1976년 올림픽 국가대표이자 WBC 플라이급 세계 챔피언이었던 박찬희는 5차 방어에 성공한 후 1982년 은퇴한 대한민국의 권투 선수이다.
엄운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엄운규 |
성별 | 남자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일 | 1929년 12월 23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경기도 경성부 |
사망일 | 2017년 6월 12일 |
무술 정보 | |
사용 무술 | 태권도 |
계급 | 태권도 10단 |
스승 | 이원국 |
웹사이트 | 네이버 인물 정보 |
2. 생애
엄운규는 이승만 대통령이 참석한 태권도 시범에서 뛰어난 실력을 보였다.[1] 몸이 매우 날렵하여 '손날치기의 장인'이라 불렸으며,[1] 발기술은 최고로 인정받았다.[2] 2017년 6월 12일 노환으로 별세했고, 장례는 국기원에서 태권도장으로 거행되었다.[3]
2. 1. 초기 생애 및 태권도 입문
엄운규는 1940년대 청도관 창설자인 이원국에게 태권도를 배웠다.[1]이원국에게서 옆차기와 돌려차기를 배운 후 한국전쟁 이전에 자신만의 기술을 개발, ‘이단 옆차기’, ‘뒤돌려차기’, ‘뒤돌아 옆차기’를 창안했다. 당시 '손날치기의 장인'으로 불릴 정도로 뛰어난 실력을 갖췄으며, 특히 발기술은 독보적이었다고 전해진다.[2]
2. 2. 이승만 대통령 앞 태권도 시범
이승만이 참석한 태권도 시범 기념식에서 9개 관 대표들이 겨루기 시범을 보였다. 청도관 최고 실력자였던 엄운규는 군 복무 중 특별 휴가를 받고 대표로 참가하여, 창무관 이종우와의 대결에서 압도적인 모습을 보였다.[1]2. 3. 별세 및 장례
2017년 6월 12일, 노환으로 별세했다.[3]장례는 국기원, 세계태권도연맹, 대한태권도협회, 태권도진흥재단 등의 태권도 단체들이 함께 ‘태권도장'으로 13일 오전 8시 국기원에서 거행되었으며, 빈소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에 있는 서울성모장례식장에 마련되었다.[3]
장례위원장은 세계태권도연맹 조정원 총재, 국기원 홍성천 이사장, 대한태권도협회 최창신 회장, 태권도진흥재단 김성태 이사장 등 4명이 공동으로 맡았으며, 국기원은 그의 국기원 원장의 태권도 발전을 위한 공헌을 기리기 위해 추서 10단을 수여했다.[3]
3. 주요 경력
대한태권도협회 상근부회장 및 사무총장(1961년~1978년),[3] 서울특별시태권도협회 회장(1981년~1997년),[3] 대한태권도협회 상근부회장(1981년~1997년),[3] 세계태권도연맹 부총재(1989년~2000년),[3] 재단법인 국기원 부원장(1989년~2001년),[3] 국기원 이사장 및 원장(2004년~2009년),[3] 국기원 원로위원회 위원(2010년~현재)[3]을 역임했다.
3. 1. 기타 경력
기간 | 내용 |
---|---|
1973년 ~ 1974년 |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경영연구) |
1975년 ~ 1996년 | 서울특별시 체육회 이사 |
1978년 ~ 1989년 | 세계태권도연맹 집행위원 |
1986년 2월 | 제10회 아시아경기대회 태권도경기 사무총장 |
1987년 3월 | 제24회 서울올림픽 조직위원회 태권도경기 운영위 부위원장 |
1993년 ~ 2000년 | 재단법인 대한체육회 이사 |
1997년 5월 | 제2회 부산 동아시아 경기대회 한국선수단 부단장 |
1975년 4월 | 태권도 9단 승단 |
1999년 8월 | 러시아 꼼사몰스키나아무레 국립교육대학 명예 교육학 박사 |
4. 수상
5. 관련 서적
국기원에서 출판하고 손천택, 서정원이 저술한 이원국 관련 서적이 있다.
참조
[1]
뉴스
"[무카스뒷담화]엄운규 원장의 ‘맞짱’ 실력"
https://n.news.naver[...]
무스카스
2009-04-01
[2]
뉴스
"[역사] 엄운규 원로 “이단 옆차기, 뒤돌아 옆차기 내가 창안”"
http://www.tkdbox.co[...]
TKDBOX
2016-08-30
[3]
뉴스
태권도 현대사 산증인… 엄운규 전 국기원장 타계
https://mookas.com/n[...]
무스카스
2017-06-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