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밀 아돌프 폰 베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밀 아돌프 폰 베링은 독일의 세균학자로, 디프테리아 혈청 요법을 개발하여 1901년 제1회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로베르트 코흐 연구소에서 연구하며 기타자토 시바사부로와 함께 파상풍 및 디프테리아 항독소를 개발했고, 결핵 예방 백신 연구에도 기여했다. 베링은 혈청 요법의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그의 업적은 면역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면역학자 - 파울 에를리히
파울 에를리히는 조직 염색, 혈액학, 면역학, 화학요법 분야의 선구자였으며, 1908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고, 혈액-뇌 장벽 발견, 면역 반응 측쇄설 제창, 매독 치료제 개발 등의 업적을 남겼다. - 독일의 면역학자 - 게오르게스 J. F. 쾰러
게오르게스 J. F. 쾰러는 단일 클론 항체 생산에 기여한 하이브리도마 기술 개발로 세사르 밀스타인과 함께 1984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독일의 생물학자이다. - 파상풍 - DPT 백신
DPT 백신은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를 예방하기 위한 혼합 백신으로, 전세포 백일해 백신(DTP)이 처음 허가된 후 백일해 발병률이 감소하였고, 부작용을 줄인 무세포 백일해 백신(DTaP)이 도입되었으나, 국가별 접종 일정과 권장 사항이 다르며 백일해 유행 증가로 고위험군에 대한 Tdap 백신 접종이 권장되고 드물게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백신 종류에 따라 금기 사항이 존재한다. - 파상풍 - 노출후 예방요법
노출후 예방요법(PEP)은 광견병, 파상풍, HIV 등 특정 병원체에 노출된 후 감염 위험을 줄이기 위해 백신 접종, 면역글로불린 투여, 항생제 복용 등의 예방적 조치를 즉시 취하는 것을 의미하며, HIV의 경우 72시간 이내 항레트로바이러스 약물 복용이 중요하고 A형 간염, B형 간염, C형 간염, 탄저병, 라임병, 코로나19, 폭스바이러스 등 다양한 감염병에 대한 예방 요법이 존재한다. - 독일의 군의관 - 요제프 멩겔레
요제프 멩겔레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아우슈비츠 강제수용소에서 '죽음의 천사'로 불리며 쌍둥이 등을 대상으로 비윤리적인 인체 실험을 자행한 나치 독일 친위대 의사로, 전후 남미로 도피 생활을 하다 브라질에서 사망했다. - 독일의 군의관 - 에두아르트 부흐너
에두아르트 부흐너는 무세포 효모 추출물 연구로 발효에 효모 세포가 필수적이지 않음을 밝혀 생기론에 타격을 주고 1907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독일의 화학자이자 생화학자이며, 부흐너 반응을 발견했고 제1차 세계 대전 중 전사했다.
에밀 아돌프 폰 베링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아돌프 에밀 베링 |
출생 | 1854년 3월 15일 |
출생지 | 한스도르프, 로젠베르크군, 프로이센 주, 프로이센 왕국, 독일 연방 (현재 폴란드) |
사망 | 1917년 3월 31일 |
사망지 | 마르부르크, 헤센나사우, 프로이센 왕국, 독일 제국 |
국적 | 독일 |
학문 분야 | |
분야 | 생리학, 면역학, 안과학 |
주요 제자 | 한스 슐로스베르거 |
알려진 업적 | 디프테리아 항독소/혈청 |
수상 | 에든버러 대학교 캐머런 치료상 노벨 생리학·의학상 (1901) |
2. 생애
에밀 아돌프 폰 베링은 어린 시절 가난한 환경에서 성장하여 의학을 공부하고 군의관으로 복무하며 연구자의 길을 걸었다. 초기에는 요오드포름의 살균 효과와 시신경 절단술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했으며, 이후 로베르트 코흐의 연구소에서 전염병 연구에 매진하였다.
베링은 기타자토 시바사부로와 함께 디프테리아와 파상풍에 대한 항독소를 개발하여 혈청 요법의 시대를 열었으며, 이 공로로 1901년 최초의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마르부르크 대학교 위생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연구와 교육에 힘썼으며, 결핵 예방 백신 개발에도 노력을 기울였다.
1896년에는 24세 연하의 엘스 스피놀라와 결혼했다. 1917년 3월 31일 마르부르크에서 생을 마감했으며, 그의 업적은 오늘날까지 이어져 의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에밀 아돌프 폰 베링은 1854년 프로이센의 한스도르프(현재 폴란드 영토)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교사였으며, 가족은 13명의 자녀를 두었다. 베링은 1874년부터 1878년까지 베를린의 육군의학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했는데, 이는 가족의 형편상 대학교 진학이 어려웠기 때문이다.[3]군의관으로 복무하면서 그는 요오드포름의 작용을 연구했다. 시신경절단술(Neurotomia opticociliaris 또는 optociliary neurotomy)에 대한 그의 연구 덕분에, 베링은 연구소에서 의사가 되었고 나중에 마르부르크 지역에서 면허를 받고 일할 수 있는 시험을 통과할 수 있었다. 1878년, 그는 폴란드로 파견되어 패혈증 질환에 집중했다. 그의 잠재력은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지게 되었고, 이는 그가 로베르트 코흐와 함께 연구하기 위해 프로이센으로 돌아오라는 명령으로 이어졌다.[5]
그는 프로이센 군대로부터 연구비와 자금을 지원받아 군에서 일했다. 학업 기간 한 학기당 군의관으로 1년의 복무를 해야 했고, 1881년부터 1883년까지 제2 기갑연대에서 2년간 복무했다.[4] 그의 연구 중 덜 알려진 부분은 안과학 분야의 연구와 그가 눈과 눈 질환에 대한 이해를 더욱 발전시킨 부분이다. 그는 1881년부터 1883년까지 포즈난의 비케르키에비츠 병원에서 근무하는 동안 눈 종양 환자 사례에 대한 논문을 썼는데, 이 환자는 결국 백혈병으로 사망했지만, 눈 치료 및 수술의 최적 경로에 대한 필요한 연구를 가능하게 했다. 그는 카를 에른스트 슈바이거와 빌헬름 우토프와 같은 저명한 안과의들 아래서 배우며 안과 분야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를 주제로 박사 논문을 썼다.[4]
1890년, 그는 기타자토 시바사부로와 함께 디프테리아와 파상풍에 대한 "항독소"를 개발했다는 내용의 논문을 발표했다. 그들은 기니피그, 염소, 말에 디프테리아와 파상풍 독소를 주입했고, 이 동물들이 면역력을 갖게 되자 그들의 혈청에서 항독소(현재 항체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를 추출했다. 그는 이 과정을 당시 혈청 요법이라고 불렀으며, 이를 영구적인 면역을 유도하거나 "신체의 내부 소독을 자극하는" 방법으로 묘사했다.[6]
2. 2. 연구 활동
1890년 로베르트 코흐 연구소에 들어가 그의 지도하에 전염병을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군 의무대 시절의 항독성 면역기술을 디프테리아 예방에 응용하여, 전염병의 혈청 요법에 관한 최초의 실제적 시도를 하였다. 동물에 디프테리아 독소를 주입한 후 생성된 항체를 이용하여 항독소 혈청을 개발했다. 이 발견은 많은 소아 질환의 치료에 획기적인 역할을 했다.[27]일본의 기타자토 시바사부로와 함께 디프테리아, 파상풍의 항독소를 만들어 1890년에 훌륭한 평판을 받았다. 소가 결핵에 걸리지 않도록 예방하는 백신도 개발했다. 회흐스트 주식회사의 루시우스와 브뤼닝으로부터 재정적인 도움을 받았고, 결핵을 포함한 여러 연구에 필요한 실험기구를 염료 산업체들로부터 제공받았다.[27]
1894년 할레 대학교와 1895년 마르부르크 대학교에서 가르쳤다. 1901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받았다. 1902년 예술과 과학 분야에서 미국 아카데미의 외국인 명예 회원이 되었다. 1905년 국제 결핵 의회에서는 결핵 바이러스에서 계속 나아가는 물질을 발견했다고 발표하였다. 그가 TC라고 명명한 이 물질은 소의 결핵을 예방하는 베링 교수의 백신의 활동을 작용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사람에 대해서도 치료 약품을 얻으려고 노력했으며 현대의 전염병에 관한 면역학의 주요한 대다수의 견해를 세운 현대 혈청 요법의 선구자이다.[27]
1890년, 기타자토 시바사부로와 함께 디프테리아와 파상풍에 대한 "항독소"를 개발했다는 내용의 논문을 발표했다. 그들은 기니피그, 염소, 말에 디프테리아와 파상풍 독소를 주입했고, 이 동물들이 면역력을 갖게 되자 그들의 혈청에서 항독소(현재 항체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를 추출했다. 그는 이 과정을 당시 혈청 요법이라고 불렀으며, 이를 영구적인 면역을 유도하거나 "신체의 내부 소독을 자극하는" 방법으로 묘사했다.[6] 이 항독소는 비면역 동물에서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었다. 1892년 그는 디프테리아 항독소의 최초 인체 임상 시험을 시작했지만 실패했다. 항독소의 생산과 정량화가 최적화된 1894년에 성공적인 치료가 시작되었다.[7] 1894년 베링은 에든버러 대학교 카메론 치료학상을 수상했다.
1895년 마르부르크 대학교 의학부 위생학 교수가 되었고, 생애의 남은 기간 동안 그 직책을 유지했다. 그와 약리학자 한스 호르스트 마이어는 같은 건물에 실험실을 두었고, 베링은 마이어의 파상풍 독소 작용 방식에 대한 관심을 자극했다.[8]
베링은 디프테리아에 대한 혈청 요법 개발로 1901년 최초의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1890년 베링과 함께 이 치료법의 기반을 마련한 그의 연구 동료 기타자토 시바사부로도 후보로 추천되었지만 노벨상을 수상하지는 못했다.[9]
1904년 그는 마르부르크에 항독소와 백신을 생산하는 회사인 베링베르케를 설립했다.
1905년 국제 결핵 학회에서 그는 "결핵 바이러스에서 유래한 물질"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그가 "T C"라고 명명한 이 물질은 그의 "소 백신"의 면역 작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 백신은 소 결핵을 예방한다. 그는 인간을 위한 예방 및 치료제를 얻으려고 시도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11]
2. 3. 학문적 경력 및 말년
1890년 로베르트 코흐의 연구소에 들어가 전염병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군 의무대 시절의 항독성 면역기술을 디프테리아 예방에 응용하여, 전염병의 혈청 요법에 관한 최초의 실제적 시도를 하였다.[27] 동물에 디프테리아 독소를 주입한 후 생성된 항체를 이용하여 항독소 혈청을 개발했는데, 이는 많은 소아 질환 치료에 획기적인 역할을 했다.1890년 기타자토 시바사부로와 함께 디프테리아, 파상풍의 항독소를 만들어 훌륭한 평판을 받았다. 회흐스트 주식회사의 루시우스와 브뤼닝으로부터 재정적인 도움을 받았고, 결핵을 포함한 여러 연구에 필요한 실험기구를 염료 산업체들로부터 제공받았다.[27]
1894년 할레 대학교와 1895년 마르부르크 대학교에서 가르쳤다.[27] 1901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받았다.[27] 1902년 예술과 과학 분야에서 미국 아카데미의 외국인 명예 회원이 되었다.[10]
1905년 국제 결핵 의회에서는 결핵 바이러스에서 계속 나아가는 물질을 발견했다고 발표하였다. 그가 TC라고 명명한 이 물질은 소의 결핵을 예방하는 베링 교수의 백신의 활동을 작용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사람에 대해서도 치료 약품을 얻으려고 노력했으며, 현대의 전염병에 관한 면역학의 주요한 대다수의 견해를 세운 현대 혈청 요법의 선구자이다.[27]
1917년 3월 31일에 마르부르크에서 사망했다. 그의 이름은 진단학의 발전에 기여하는 세계적으로 큰 회사인 데이드 베링에 남아 있다. 그의 노벨상 메달은 제네바의 국제 적십자 적신월 운동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27]
저서로는 《혈청치료의 실제적인 목표》(1982년), 《파상풍의 원인과 원인적 치료》(1904년) 등이 있다.[27]
3. 주요 연구 업적
에밀 아돌프 폰 베링은 디프테리아와 파상풍에 대한 항독소 개발과 혈청 요법 연구에 크게 기여했으며, 소 결핵 예방 백신도 개발했다.[27] 1905년 국제 결핵 의회에서 결핵 바이러스에서 추출한 'TC'라는 물질을 발표했는데, 이는 소 결핵 예방 백신의 면역 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베링은 사람을 위한 치료 약품 개발에도 힘썼으며, 현대 혈청 요법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27]
3. 1. 디프테리아 항독소 개발
1890년 로베르트 코흐의 지도로 전염병을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군 의무대 시절의 항독성 면역기술을 디프테리아 예방에 응용하여, 전염병의 혈청 요법에 관한 최초의 실제적 시도를 하였다. 동물에 디프테리아 독소를 주입한 후 생성된 항체를 이용하여 항독소 혈청을 개발했다.[27] 이 발견은 많은 소아 질환의 치료에 획기적인 역할을 했다.같은 해, 기타자토 시바사부로와 함께 디프테리아와 파상풍에 대한 "항독소"를 개발했다는 내용의 논문을 발표했다. 그들은 기니피그, 염소, 말에 디프테리아와 파상풍 독소를 주입했고, 이 동물들이 면역력을 갖게 되자 그들의 혈청에서 항독소(현재 항체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를 추출했다. 그는 이 과정을 당시 혈청 요법이라고 불렀으며, 이를 영구적인 면역을 유도하거나 "신체의 내부 소독을 자극하는" 방법으로 묘사했다.[6] 이 항독소는 비면역 동물에서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었다. 1892년 그는 디프테리아 항독소의 최초 인체 임상 시험을 시작했지만 실패했다. 항독소의 생산과 정량화가 최적화된 1894년에 성공적인 치료가 시작되었다.[7]
3. 2. 파상풍 항독소 개발
1890년, 에밀 아돌프 폰 베링은 로베르트 코흐의 지도로 전염병을 연구하기 위해 코흐 연구소에 들어갔다. 그는 군 복무 시절 익힌 항독성 면역 기술을 디프테리아 예방에 적용하여, 전염병 혈청 요법의 실질적인 첫 시도를 하였다. 베링은 동물에게 디프테리아 독소를 주입하여 생성된 항체를 이용한 항독소 혈청을 개발하였고, 이는 소아 질환 치료에 큰 영향을 주었다.[27]기타자토 시바사부로와 함께 파상풍에 걸린 다른 동물의 혈청을 주입함으로써 수동 면역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으며, 1890년에는 기타자토와 함께 디프테리아와 파상풍의 항독소를 만들어 명성을 얻었다.[27]
3. 3. 혈청 요법의 발전
1890년 로베르트 코흐의 지도로 전염병을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군 의무대 시절의 항독성 면역기술을 디프테리아 예방에 응용하여, 전염병의 혈청 요법에 관한 최초의 실제적 시도를 하였는데, 동물에 디프테리아 독소를 주입한 후 생성된 항체를 이용하여 항독소 혈청을 개발했다.[27] 이 발견은 많은 소아 질환의 치료에 획기적인 역할을 했다.1890년 기타자토 시바사부로와 함께 디프테리아와 파상풍에 대한 "항독소"를 개발했다는 내용의 논문을 발표했다. 그들은 기니피그, 염소, 말에 디프테리아와 파상풍 독소를 주입했고, 이 동물들이 면역력을 갖게 되자 그들의 혈청에서 항독소(현재 항체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를 추출했다. 그는 이 과정을 당시 혈청 요법이라고 불렀으며, 이를 영구적인 면역을 유도하거나 "신체의 내부 소독을 자극하는" 방법으로 묘사했다.[6] 이 항독소는 비면역 동물에서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었다. 1892년 그는 디프테리아 항독소의 최초 인체 임상 시험을 시작했지만 실패했다. 항독소의 생산과 정량화가 최적화된 1894년에 성공적인 치료가 시작되었다.[7]
4. 노벨상 수상 및 논란
에밀 아돌프 폰 베링은 1901년 디프테리아 혈청 요법 개발로 최초의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27] 그러나 이 과정에서 공동 연구자인 파울 에를리히의 공로를 제대로 인정하지 않고 재정적 보상도 가로챘다는 논란이 있다.[12]
베링과 에를리히는 말을 이용해 디프테리아 혈청을 개발했고, 이 혈청은 독일에서 유행하던 디프테리아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되었다. 한 화학 회사가 디프테리아 혈청의 상업적 생산 및 마케팅을 위해 두 사람 모두에게 계약을 제안했지만, 베링은 상당한 재정적 보상을 독차지했다.[12] 게다가 베링만이 노벨상을 수상하면서 논란은 더욱 커졌다. 파울 에를리히는 1908년 면역학에 대한 공헌으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13]
4. 1.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 (1901)
1901년 디프테리아에 대한 혈청 요법 연구로 제1회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27] 기타자토 시바사부로는 1890년 베링과 함께 이 치료법의 기반을 마련하여 공동 연구자로 노벨상 후보에 추천되었지만, 베링만 수상하였다.[9] 베링은 수상 당시 자신의 공적뿐만 아니라 기타자토의 연구 결과도 중요했음을 언급했다고 한다.[15]기타자토가 노벨상을 받지 못한 이유는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
- 디프테리아 관련 데이터가 베링 단독 명의의 논문으로 발표되었다.
- 노벨 위원회와 카롤린스카 연구소는 혈청 요법 아이디어를 베링이 창안했고, 기타자토는 실험 결과만 제공했다고 판단했다.
- 노벨상 제정 초기여서 공동 수상 개념이 아직 없었다.
일각에서는 기타자토가 동양인이라 인종차별을 받았다고 주장하지만, 노벨상 선정 위원회는 이를 부인한다.[16]
4. 2. 기타사토 시바사부로와의 공동 연구 논란
1901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디프테리아에 대한 혈청 요법 연구」로 제1회 수상했다. 수상할 때, 자신의 공적뿐만 아니라 공동 연구자인 기타사토 시바사부로의 연구 결과도 포함되어 있음을 언급했다.[15] 기타사토가 수상하지 못한 이유는 다음과 같이 거론된다.5. 개인사
1896년 12월 29일, 베링은 당시 20세였던 엘제 스피놀라(1876~1936)와 결혼했다. 그녀는 베를린 샤리테 병원 원장이었던 베르나르트 스피놀라(Bernhard Spinola)의 딸이었고, 어머니 엘리제 스피놀라(결혼 전 성은 벤딕스)는 유대인 출신이었으나 결혼 후 기독교로 개종했다.[14] 베링 부부는 슬하에 아들 여섯 명을 두었다. 1897년, 이들은 카프리 섬에 있는 베링의 별장 "베링"에서 신혼여행을 보냈는데, 베링은 이곳에 별장을 소유하고 있었다. 1909년부터 1911년까지 러시아 작가 막심 고리키가 이 별장에 거주했다.
6. 유산 및 영향
에밀 아돌프 폰 베링은 1901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으며, 그의 노벨상 메달은 현재 제네바에 있는 국제 적십자·적신월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11] 1902년에는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인 명예 회원이 되었다.[10]
그의 이름은 진단학 발전에 기여한 세계적인 회사인 데이드 베링(현재 지멘스 헬스이니어스의 일부)에 남아 있다.[19]
6. 1. 베링 관련 상 및 기관
에밀 아돌프 폰 베링 사후, 면역학에 공헌한 사람에게 수여되는 "에밀 아돌프 폰 베링 상"이 제정되었다. 일본에서도 그의 이름을 딴 면역학상인 "베링・기타사토 상"이 1980년부터 1997년까지 격년으로 총 9회 수여되었다.[17]마르부르크에는 베링베르케 산업단지가 있으며, 바이오테크놀로지 관련 16개 기업이 운영되고 있다.[18] 베링의 이름을 딴 기업으로는 데이드 베링(영어판)[19], CSL 베링(영어판), 노바티스 베링(현: 노바티스 계열)이 설립되었다.
6. 2. 한국 과학계에 미친 영향
에밀 아돌프 폰 베링은 한국 과학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그러나 그의 연구 업적은 전 세계 의학과 과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간접적으로 한국에도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혈청 요법: 베링은 디프테리아와 파상풍에 대한 항독소 혈청을 개발하여 혈청 요법의 기초를 마련했다. 이는 전염병 치료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했으며, 한국에서도 이러한 치료법이 도입되어 많은 생명을 구하는 데 기여했을 것이다.
- 면역학 연구: 베링은 면역학 연구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그의 연구는 현대 면역학의 발전에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이는 한국의 면역학 연구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예상된다.
- 결핵 백신 개발 노력: 베링은 소의 결핵 예방 백신을 개발하고, 사람을 위한 결핵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했다. 비록 그의 생전에 결핵 치료제 개발은 성공하지 못했지만, 이러한 노력은 결핵 백신 및 치료제 개발 연구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결핵 퇴치에 힘쓰던 한국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베링의 연구는 직접적으로 한국 과학계에 영향을 주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그의 의학적 발견과 면역학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한국의 의학 발전에도 간접적으로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7. 저서
연도 | 저서 |
---|---|
1892 | Die Blutserumtherapie|혈청요법de |
1893 | Die Geschichte der Diphtherie|디프테리아의 역사de |
1894 | Bekämpfung der Infektionskrankheiten|전염병 퇴치de |
1906 | Beiträge zur experimentellen Therapie|실험적 치료에 대한 기여de |
1915 | E. v. Behring's Gesammelte Abhandlungen|E. 폰 베링의 저작집de 뒤셀도르프 대학 및 주립 도서관의 디지털 에디션 [http://nbn-resolving.de/urn:nbn:de:hbz:061:2-20063] |
참조
[1]
웹사이트
The Immune System: In Defence of our Lives
[2]
논문
DEREK S. LINTON. Emil von Behring: Infectious Disease, Immunology, Serum Therapy. (Memoirs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number 255.) Philadelphia: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2005. Pp. xi, 580. $65.00
2007-04-01
[3]
웹사이트
Emil von Behring - Biographical
https://www.nobelpri[...]
2018-07-23
[4]
논문
Little known ophthalmic interests of Emil von Behring, the first Nobel Prize Laureate in Medicine or Physiology
2012-02-15
[5]
논문
Sondermarken zur Ehrlich-Behring-Feier: Paul Ehrlich; Emil von Behring
http://dx.doi.org/10[...]
2010-04-23
[6]
논문
The Nobel Chronicles
http://dx.doi.org/10[...]
1998-07-04
[7]
논문
Remembering Emil von Behring: from Tetanus Treatment to Antibody Cooperation with Phagocytes
2017-03-08
[8]
서적
125 Jahre Pharmakologisches Institut der Philipps-Universität Marburg
N. G. Elwert Verlag
[9]
웹사이트
Nomination Archive - Nomination for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https://www.nobelpri[...]
2024-09-29
[10]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B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1-05-30
[11]
웹사이트
Serum Therapy in Therapeutics and Medical Science
https://www.nobelpri[...]
[12]
서적
Happy Accidents: Serendipity in Modern Medical Breakthroughs
https://archive.org/[...]
Arcade Publishing
[13]
Nobelprize
[14]
서적
Emil von Behring: Infectious Disease, Immunology, Serum Therapy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5]
서적
ノーベル賞の100年
中央公論新社
[16]
웹사이트
効果に注目、「抗体医薬」
https://aspara.asahi[...]
[17]
웹사이트
医学書院/週刊医学界新聞 【Medical Information(学会・研究会情報)】 (第2223号
http://www.igaku-sho[...]
2015-06-20
[18]
웹사이트
Behringwerke Industrial Park [ベーリングウェルケ工業団地]
http://www.behringwe[...]
2017-11-05
[19]
문서
現日本法人社名はシーメンスメディカルソリューションズ・ダイアグノスティクス
[20]
논문
第1回ベーリング・北里賞を受賞して
https://www.ousda.jp[...]
[21]
웹사이트
サイエンティスト・ライブラリー
http://brh.co.jp/s_l[...]
JT生命誌研究館
2017-11-05
[22]
웹사이트
日沼頼夫 ひぬまよりお
https://kotobank.jp/[...]
朝日新聞社; VOYAGE GROUP
2017-11-05
[23]
웹사이트
【追悼】小児科医・川崎富作さん―全身の血管に炎症「川崎病」を発見
https://www.jmedj.co[...]
2021-07-04
[24]
웹사이트
サイエンティスト・ライブラリー
http://brh.co.jp/s_l[...]
JT生命誌研究館
2017-11-05
[25]
웹사이트
谷口維紹 たにぐちただつぐ
https://kotobank.jp/[...]
朝日新聞社; VOYAGE GROUP
2017-11-05
[26]
논문
校長式辞
http://yamanishi.web[...]
2017-11-05
[27]
웹사이트
http://100.daum.ne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