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토니아의 국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스토니아의 국가는 "나의 조국, 나의 행복과 기쁨"으로, 1869년 에스토니아 대규모 노래 축제에서 처음 공개되어 에스토니아 민족 각성의 상징이 되었다. 1920년 에스토니아 독립 전쟁 이후 공식 국가로 채택되었으나, 소련 점령 기간 동안 연주가 금지되었다. 1991년 독립 회복 이후 다시 국가로 지정되었으며, 가사는 에스토니아어로 되어 있고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스토니아의 노래 - Valged ööd
코이트 토오메와 함께 부른 3분 50초 길이의 노래 Valged ööd는 디지털 다운로드 싱글로 발매되어 2021년 에스토니아 팟캐스트 차트 1위를 기록했으며, 여러 국가에서 디지털 다운로드 형식으로 발매되었다. - 에스토니아의 노래 -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는 1940년 소련 강제 병합 후 사용된 국가로, 소련의 영향을 받아 정치적, 사회적 상황을 반영했으며, 1956년 가사가 수정되었으나, 1990년 에스토니아 독립 회복 후 "나의 조국, 나의 행복과 기쁨"으로 복원되어 민족 정체성의 상징이 되었다. - 에스토니아의 상징 - 에스토니아의 국장
에스토니아의 국장은 금색 방패 안의 세 마리 푸른 사자 문양으로, 역사와 독립을 상징하며 독립 공화국의 국장으로 확정, 소련 점령기 사용 금지 후 독립 회복 후 재채택되어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에스토니아의 상징 - 에스토니아의 국기
에스토니아의 국기는 파란색, 검은색, 흰색의 가로 줄무늬로 이루어져 있으며, 에스토니아 민족주의의 상징으로 1918년 독립 선언과 함께 국기로 지정되었다가 소련 점령 기간에 사용이 금지된 후 1990년 독립 회복을 앞두고 다시 국기로 선포되었다. - 내림나장조 작품 - 올림픽 찬가
올림픽 찬가는 1896년 하계 올림픽에서 처음 연주되었고, 스피리돈 사마라스가 작곡하고 코스티스 팔라마스가 작사했으며, 1958년 IOC 총회에서 공식 올림픽 찬가로 지정되어 올림픽 행사에서 연주된다. - 내림나장조 작품 - 교향곡 1번 (슈만)
로베르트 슈만이 1841년에 작곡한 교향곡 1번 내림 나장조 Op. 38은 '봄 교향곡'이라는 부제로도 알려져 있으며 펠릭스 멘델스존의 지휘로 초연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고, 플루트, 오보에, 클라리넷, 바순, 호른, 트럼펫, 트롬본, 팀파니, 트라이앵글, 현악기로 편성되어 슈만은 이 곡에서 팀파니의 활용을 혁신적으로 확장했다.
에스토니아의 국가 | |
---|---|
기본 정보 | |
제목 (에스토니아어) | Mu isamaa, mu õnn ja rõõm |
로마자 표기 | Mu isamaa, mu õnn ja rõõm |
번역 | 나의 조국, 나의 행복과 기쁨 |
![]() | |
상세 정보 | |
종류 | 국가 |
국가 | 에스토니아 |
작곡가 | 프레드리크 파시우스 |
작곡 연도 | 1848년 |
작사가 | 요한 볼데마르 얀센 |
작사 연도 | 1869년 |
채택 연도 | 1920년 |
채택 종료 | 1940년 6월 |
재채택 연도 | 1990년 5월 |
이전 국가 |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
2. 역사
이 노래는 1869년 에스토니아 대규모 노래 축제에서 합창곡으로 처음 대중에게 공개되었으며, 곧 에스토니아 민족 각성의 상징이 되었다.[3]
"나의 조국, 나의 행복과 기쁨"은 에스토니아 독립 전쟁 이후 1920년에 에스토니아의 국가로 공식 채택되었다.[4]
1944년, 소련이 에스토니아를 점령했고, "나의 조국, 나의 행복과 기쁨"은 이후 소련 정부에 의해 금지되었다.[5]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자체적인 공식 국가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에스토니아인들은 종종 이전 국가를 들을 수 있었는데, 핀란드의 국영 방송사 YLE 이스라디오(Yleisradio)가 라디오와 텔레비전 방송을 에스토니아 북부에서 수신할 수 있었고, 매일 밤 방송 마지막에 이 노래와 동일한 (핀란드 버전에는 마지막 절이 한 번 더 반복되는 것을 제외하고) 핀란드 국가의 기악 버전을 연주했기 때문이다.[6][7]
2. 1. 제정 러시아 시기 (19세기 후반 ~ 20세기 초)
1869년 에스토니아 대규모 노래 축제에서 요한 볼데마르 얀센이 작사하고 프레드리크 파시우스가 작곡한 "나의 조국, 나의 행복과 기쁨"이 합창곡으로 처음 공개되면서 에스토니아 민족 각성의 상징이 되었다.[3] 이 노래는 에스토니아 독립 전쟁이 끝난 1920년에 에스토니아의 국가로 공식 채택되었다.[4]2. 2. 독립 시기 (1918~1940)
"나의 조국, 나의 행복과 기쁨"은 에스토니아 독립 전쟁 이후 1920년에 에스토니아의 국가로 공식 채택되었다.[4] 이 노래는 1869년 에스토니아 대규모 노래 축제에서 합창곡으로 처음 대중에게 공개되었으며, 곧 에스토니아 민족 각성의 상징이 되었다.[3]2. 3. 소련 점령 시기 (1940~1991)
1940년 소련이 에스토니아를 강제 병합하고, 1944년 재점령하면서 "나의 조국, 나의 행복과 기쁨"의 연주가 금지되었다.[5]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수립되었고, 자체적인 국가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핀란드의 국영 방송사 YLE 이스라디오(Yleisradio)의 라디오 방송이 에스토니아 북부에서 수신되었고, 방송 마지막에 핀란드 국가의 기악 버전이 연주되면서 "나의 조국, 나의 행복과 기쁨"의 멜로디가 에스토니아에 전해졌다.[6][7] 이 멜로디는 에스토니아인들에게 저항의 상징으로 여겨졌다.2. 4. 독립 회복 이후 (1991~현재)
1991년 에스토니아는 소련으로부터 독립을 회복하면서 "나의 조국, 나의 행복과 기쁨"을 다시 국가로 지정했다.[3][4] 에스토니아는 독립 이후 민주주의와 시장 경제 체제를 확립하고, 유럽 연합(EU)과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가입하며 국제 사회의 일원으로 자리매김했다.3. 가사
'''1절'''
나의 조국, 나의 즐거움이자 기쁨이여!
그대는 참으로 아름답구나!
이 넓은 세상 어디에 가도
내가 찾아내지 못할 것이 있으니,
바로 그대보다 사랑스러운 것이라,
나의 사랑하는 조국이여!
'''2절'''
그대는 나를 태어나게 하였고
또 나를 일으켰다네.
나는 이에 감사를 느끼고
죽는 날까지 충성을 다하리니,
내가 가장 사랑하는 것은 그대라,
나의 귀중한 조국이여!
'''3절'''
하늘의 주께서 너를 지켜주시길,
나의 귀중한 조국이여!
주께서 그대를 수호하리니,
주가 풍족한 은총을 내리어
그대의 모든 일이 창성하리라,
나의 귀중한 조국이여!
3. 1. 에스토니아어 가사, 한글 독음, IPA 표기
로마자 | 한글 | 국제 음성 기호 |
---|---|---|
3. 2. 한국어 번역
여러 번역본이 존재하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은 의미를 담고 있다.[8][9][1][10]에스토니아어 원문 | IPA 표기 | 시적인 영어 번역 | 직역 영어 번역 |
---|---|---|---|
{{llang|et|나의 조국, 나의 기쁨과 행복이여,\\그대는 얼마나 아름다운가!\\나는 결코 찾을 수 없으리\\이 광대하고 넓은 세상에서\\나에게 이토록 사랑스러운 곳을,\\그대, 나의 조국처럼!\\ |
'''1절'''
나의 조국, 나의 즐거움이자 기쁨이여!
그대는 참으로 아름답구나!
이 넓은 세상 어디에 가도
내가 찾아내지 못할 것이 있으니,
바로 그대보다 사랑스러운 것이라,
나의 사랑하는 조국이여!
'''2절'''
그대는 나를 태어나게 하였고
또 나를 일으켰다네.
나는 이에 감사를 느끼고
죽는 날까지 충성을 다하리니,
내가 가장 사랑하는 것은 그대라,
나의 귀중한 조국이여!
'''3절'''
하늘의 주께서 너를 지켜주시길,
나의 귀중한 조국이여!
주께서 그대를 수호하리니,
주가 풍족한 은총을 내리어
그대의 모든 일이 창성하리라,
나의 귀중한 조국이여!
4. 음악
4. 1. 초기 음반
5.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National anthem of the Republic of Estonia
https://www.eesti.ee[...]
Republic of Estonia
2017-09-04
[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Estoni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5-05-21
[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Estoni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5-05-21
[4]
서적
The World Factbook
https://books.google[...]
Masterlab
2015-01-01
[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Estoni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5-05-21
[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Estoni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5-05-21
[7]
웹사이트
United in diversity: Anthems and Flags of the European Union
https://institutdelo[...]
2022-01-17
[8]
웹사이트
Riiklikud sümbolid
https://web.archive.[...]
2009-04-13
[9]
웹사이트
The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Estonia: National Symbols
https://web.archive.[...]
2006-01-14
[10]
웹사이트
Estonia – nationalanthems.info
https://nationalanth[...]
2022-12-22
[11]
웹사이트
Why Finland and Estonia have the same anthem – Nordic Estonia
https://www.nordices[...]
2022-10-02
[12]
웹사이트
Estonia – NationalAnthems.me
http://nationalanthe[...]
[13]
웹사이트
Riiklikud sümbolid
https://web.archive.[...]
2009-04-13
[14]
웹사이트
The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Estonia: National Symbols
https://web.archive.[...]
2006-0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