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이조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이조쿠는 대한민국의 힙합 뮤지션이자 비주얼 아티스트이다. 플루트 연주자에서 힙합에 심취하여 1990년대 후반부터 활동을 시작했으며, 2000년 개화산 크루를 조직했다. A.C.T. 팀 결성, Rama 앨범 참여, 팔로알토, GLV 등에게 비트 제공, 개화산 컴필레이션 프로듀싱 등 음악 활동을 이어갔다. 이후 Hi-Lite Records에서 음악 및 아트워크 작업을 하였으며, 뮤직비디오 감독으로도 활동했다. 2008년 JA와 함께 앨범 "Double Feature"를 발매했으며, 대표곡으로 〈스트릿 태권V 에피소드 1〉, ''L.W.T.''가 있다. 그는 여러 예명을 사용하며, 슬램 시인으로도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힙합 프로듀서 - 양동근
    양동근은 1987년 아역 배우로 데뷔하여 드라마와 영화에서 활동하며 YDG aka Madman이라는 예명으로 힙합 가수로도 데뷔하여 독특한 스타일과 개성 있는 음악으로 입지를 다진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힙합 래퍼이다.
  • 대한민국의 힙합 프로듀서 - 이승협
    이승협은 밴드 엔플라잉의 리더, 메인래퍼, 리드보컬, 기타, 피아노를 맡고 있는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로, 2015년 엔플라잉으로 데뷔, 2021년 J.Don으로 솔로 데뷔 후 싱글 발매 및 드라마 OST 참여와 더불어 드라마 《별똥별》, 《선재 업고 튀어》 등에 출연하며 연기 활동도 하고 있다.
  • 1983년 출생 - 김석우
    김석우는 대한민국의 직업/분야이며,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하며 대한민국의 진보적 가치 실현을 위해 노력한다.
  • 1983년 출생 - 이세돌
    대한민국의 프로 바둑 기사 이세돌은 12세에 입단하여 2000년대 세계 바둑계를 이끌었고, 알파고와의 대국으로 주목받았으며, 공격적인 기풍으로 '비금도 소년', '쎈돌' 등으로 불렸고, 은퇴 후에는 텍사스 홀덤 플레이어 및 보드게임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 살아있는 사람 - 릴 테르셀리우스
    릴 테르셀리우스는 위키백과 문서에서 관련 문서와 추가 자료를 제시하는 데 사용되는 구성 요소이다.
  • 살아있는 사람 - 마그달레나 툴
    폴란드의 가수 마그달레나 툴은 2007년 데뷔 앨범 발매 후 2011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폴란드 대표로 참가했으며, 이후에도 앨범 발매와 유로비전 관련 활동, 방송 출연 등 다양한 음악 활동을 하고 있다.
에이조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로마자 표기Aeizoku
출생일1983년 1월 30일
출생지대한민국
직업힙합 프로듀서
소속무소속
경력Blind Alley, Hi-Lite Records

2. 바이오그래피

에이조쿠는 중학교 2학년 때까지 플루트를 연주했으나, 이후 언타이틀, 듀스 등의 음악을 들으며 힙합에 빠져들었다. 고등학교 1학년 때 데뷔, 다음 힙합 카페 "힙합모지리"에서 활동하며 2000년에 개화산 크루를 조직했다. 개화산 앨범 계획은 무산되었고, 대신 B-Shop, Esco와 '''A.C.T.''' 팀을 결성해 활동했다.[2]

Rama의 "전형적인" 앨범 참여를 시작으로, 개화산 멤버들에게 비트를 제공하고, 컴필레이션 "정당한 선택" 및 "전형적인" 리믹스 앨범 '''전격적인'''을 프로듀싱하며 STG와 계약했다. "스트릿 태권V 에피소드 1"을 발표하기도 했다. STG가 사라지면서 NodoBlind Alley Records로 옮겨 랩에도 참여했고, 2008년 JA와 "Double Feature" 앨범을 내고 SALON 01에 합류했다.

2009년 1월 《개화기이후》 앨범을 작업 중이라고 밝혔으나[3] 소식이 없었다. Hi-Lite Records로 이적 후 음악 및 아트워크 작업을 했고, Paloalto와 프로젝트 앨범을 작업 중임을 알렸다.[4] B-Free의 뮤직비디오 등을 제작하며 바쁜 나날을 보냈다.[5] 2011년 12월, Huckleberry P의 ''Man in Black'' 뮤직비디오 제작 후 당분간 음악과 아트워크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6] 2013년 Vasco의 뮤직비디오 감독으로 복귀했고, 양갱 싱글 참여 시 "전 하이라이트 소속 프로듀서"로 소개되어 결별을 알렸다.[7]

'''대표곡'''으로는 〈스트릿 태권V 에피소드 1〉, ''L.W.T.''가 있다.

2. 1. 초기 활동 (1990년대 후반 ~ 2000년대 초반)

에이조쿠는 중학교 2학년 때까지 플루트 연주자로 활동하였다. 이후 언타이틀, 듀스 등의 음악을 들으면서 힙합에 입문하였다. 고등학교 1학년 때 데뷔하였고, 다음 힙합 카페 "힙합모지리"의 멤버이자 운영진으로 활동하였다. 2000년에는 사람들을 모아 힙합 크루 개화산을 조직하였다. 개화산의 앨범 계획은 무산되었고, 대신 B-Shop, Esco와 함께 '''A.C.T.'''를 결성하여 활동하였다.[2]

2. 2. 본격적인 활동 및 주목 (2000년대 중반 ~ 2000년대 후반)

Rama의 "전형적인" 앨범에 참여하면서 다시 이름을 알렸다.[2] 개화산 멤버인 Paloalto, GLV 등에게 비트를 제공하고, 개화산 컴필레이션 "정당한 선택"과 "전형적인"의 리믹스 앨범인 '''전격적인''' 전곡을 프로듀싱했다. 이때 그는 Rama의 레이블 STG와 계약을 맺었다. 또한 "스트릿 태권V 에피소드 1"이라는 독특한 구성의 곡을 발표하여 주목받았다.

STG 레이블이 사라지면서, 그는 STG 산하 레이블이었던 NodoBlind Alley Records로 이적했다. 여기서 Aeizok으로 이름을 바꾸고 Nodo의 앨범에 랩으로 참여하기도 했다. 2008년에는 JA와 함께 합동 앨범 "Double Feature"를 발표했다. 이를 계기로 JA 등과 함께 힙합 크루 SALON 01에 가입하였다.

2. 3. 하이라이트 레코드 시절 및 이후 활동 (2000년대 후반 ~ 현재)

Blind Alley Records에서 Hi-Lite Records로 이적 후, 음악 작업과 함께 아트워크 작업을 맡았다.[5] 2010년 6월에는 Paloalto와 프로젝트 앨범을 작업 중임을 알렸다.[4] 이 프로젝트 앨범은 Aeizoku의 여러 일정으로 인해 제대로 진행되지 못했으나, 2011년 상반기에 발매될 예정이었고 B-Free가 합류할 수도 있다고 언급되었다. 실제로 Aeizoku는 음악 작업과 아트워크 외에도 B-Free의 ''I'm Free'' 등 여러 뮤직비디오를 작업하며 음악 프로듀서보다는 영상 및 아트워크 관련 작업으로 바쁜 시간을 보냈다.[5]

2011년 12월, Aeizoku는 Huckleberry P의 ''Man in Black'' 뮤직비디오를 제작, 발표하였으며 이를 마지막으로 당분간 뮤직비디오 감독 활동을 중단하고 음악과 아트워크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6] 이후 Okasian 앨범에 참여한 것 외에는 그의 새로운 음악을 듣기 어려웠으나, 2013년 7월 Vasco의 ''GREY'' 뮤직비디오 감독으로 복귀했다. 같은 해 8월, 양갱의 싱글에 참여했는데, 싱글 보도자료에서 "전 하이라이트 소속 프로듀서"로 소개되어 Hi-Lite Records와의 결별을 간접적으로 알렸다.[7]

3. 디스코그래피

에이조쿠는 JA와 함께 2008년 1월 29일에 《Double Feature》를, 2008년 8월 15일에 《Double Feature: Director's Cut》을 발매했다.[1]

3. 1. 정규 앨범

발매일앨범명비고
2008년 1월 29일Double FeatureJA와 합작
2008년 8월 15일Double Feature: Director's CutJA와 합작


4. 다른 이름

힙합 뮤지션들은 보통 한두 개의 다른 이름을 가지고 활동하지만, 에이조쿠는 수십 개의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대부분은 공개되지 않았다. 그중에는 '''adlib''', '''a.k.a. 철이''', '''왼쪽눈''', '''경량''', '''Dom Dom Expo''' 등의 이름이 있다. 왼쪽눈이라는 이름은 GLV 싱글에 표기되었고, 나머지는 모두 온라인 상에서만 공개되었다. 2006년 12월에는 NODO의 앨범에 랩으로 참여하면서 잠시 u를 뺀 Aeizok이라는 이름을 사용하기도 했다.

5. 랩 활동

그는 슬램 시인으로도 활동하였다. 그의 가사는 수준이 높으며, Paloalto도 인터넷 라디오 방송에서 개인적으로 배울 것이 많다고 밝힌 바 있다. 그의 가사 중 "단 한 번의 기회를 위해", "성냥을 부딪혀"는 개화산 공식 홈페이지에 공개된 적이 있었다. 또한, Nodo의 앨범 ''Spotlight is Mine''의 수록곡 ''Blind Alley''에 랩 피처링으로 참여하였다.

참조

[1] 뉴스 P&Q Radio 2006년 3월 8일 방송, 2부 게스트 에이조쿠 http://hpradio.com/v[...] 2006-03-08
[2] 뉴스 B-SHOP의 1st single 우주를 넘어서/기회의 땅 발매 (2006 8.7) http://www.hiphoppla[...] 힙합플레이야 뉴스 2006-08-07
[3] 뉴스 SALON 01 의 Aeizoku 개화기이후 발매소식 http://www.hiphoppla[...] 힙합플레이야 2009-01-06
[4] 인터뷰 팔로알토 인터뷰 http://blog.rhythmer[...] Rhythmer.net 2010-05-28
[5] 인터뷰 'Daily Routine' 두 번째 정규 앨범, 팔로알토(Paloalto) 인터뷰 http://hiphopplaya.c[...] 힙합플레이야 인터뷰 2010-11-18
[6] 웹사이트 Music Video - Huckleberry P - Man in Black (Directed by Aeizoku aka Dom Dom Expo) http://hilite-music.[...] Hi-Lite Records 공식 홈페이지 2011-12-07
[7] 뉴스 양갱, 싱글 'BURRRR (Feat. YDG & BIZZY)' 발매 http://www.hiphoppla[...] 힙합플레이야 뉴스 2013-08-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