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카퇴르주 (1966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카퇴르주는 1966년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 큐베트 센트랄, 무아양-콩고, 우방기 주를 통합하여 재설립된 주로, 2015년에 5개 주로 분할되었다. 이 주는 음반다카, 그바돌리테, 종고 시와 여러 구역으로 구성되었으며, 음반다카 대학교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카퇴르주 (1966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에카퇴르 주 |
| 현지 이름 | Province de l'Équateur (프랑스어) |
| 유형 | 콩고 민주 공화국의 이전 주 |
| 수도 | 므반다카 |
| 가장 큰 도시 | 므반다카 |
| 공식 언어 | 프랑스어 |
| 국가 언어 | 링갈라어 |
| 통계 | |
| 면적 | 403,292 km² |
| 인구 (2010년 추정치) | 7,501,902명 |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 인구 통계 | 에카퇴르 주민 |
| 행정 | |
| 주지사 | 호세 마킬라 수만다 |
| 역사 | |
| 시작 연도 | 1966년 |
| 시작 날짜 | 7월 1일 |
| 종료 연도 | 2015년 |
| 종료 날짜 | 1월 9일 |
| 기타 정보 | |
| 웹사이트 | 에카퇴르 주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1888년 8월 1일, 콩고 자유국의 레오폴드 2세 국왕이 내린 칙령에 따라 에카퇴르 지역(District de l'Équateur)이 처음 설정되었다. 이후 1908년 벨기에 정부가 콩고 자유국을 벨기에령 콩고로 합병하면서 벨기에의 식민 통치 하에 놓이게 되었다. 식민지 시기 동안 에카퇴르 지역은 1917년 주로 승격되었고, 1933년에는 코키아빌 주(Province de Coquilhatville)로, 1937년에는 다시 에카퇴르 주(Province de l'Équateur)로 이름이 바뀌는 등 여러 행정 구역 개편을 겪었다.
1960년 6월 30일, 콩고 공화국이 독립하면서 에카퇴르 주는 신생 독립국의 자치주가 되었다. 그러나 독립 직후 정치적 혼란 속에서 1962년과 1963년에 걸쳐 큐베트 센트랄, 우방기주, 무아양-콩고 등으로 분할되었다.
1966년 4월 25일, 모부투 세세 세코 정권이 들어서면서 분할되었던 주들은 다시 에카퇴르 주로 통합되었다. 이렇게 통합된 에카퇴르 주는 수십 년간 유지되었으나, 2005년 제정된 새로운 2006년 헌법에 따라 행정 구역 개편이 결정되었다. 마침내 2015년 1월 9일, 에카퇴르 주는 노르-우방기주, 몽갈라주, 수드-우방기주, 에카퇴르주, 추아파주의 5개 주로 최종 분할되었다.[2]
2. 1. 벨기에 식민지 시대 (1888년 ~ 1960년)
1888년 8월 1일, 레오폴드 2세의 칙령에 따라 콩고 자유국 내 11개 지역 중 하나로 에카퇴르 지역(District de l'Équateur)이 처음 설정되었다. 최초의 지구 위원은 같은 해 10월 27일에 임명되었다. 초기에는 에카퇴르 지역을 직접 담당하는 위원이 없었으나, 1889년 6월 25일 카미유 코킬라의 후임으로 반 케르코벤(Van Kerckhoven)이 누벨-앙베르(Nouvelle-Anvers, 구 방갈라 역)에 본부를 둔 우방기 및 우엘레 지역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에카퇴르 지역의 실질적인 첫 수장은 1890년 12월에 임명된 샤를-프랑수아-알렉상드르 르메르(Charles-François-Alexandre Lemaire, 1863-1925)였으며, 그는 지역 수도를 새로 이름 붙여진 코킬라빌(Coquilhatville, 현재의 음반다카)로 이전했다.1908년, 벨기에 정부는 콩고 자유국을 벨기에령 콩고로 공식 합병하였다. 1912년 당시 벨기에령 콩고에는 이미 에카퇴르 지역(Équateur District)이 존재하고 있었다.[4][5] 1917년, 에카퇴르 지구는 에카퇴르 주(Province de l'Équateur)로 승격되었고, 조르주 물라르(Georges Mortehan, 1875-1958)가 1917년 8월 20일 초대 부총독으로 임명되었다.
1933년 10월 1일, 행정 구역 개편으로 북서부 4개 지역이 통합되어 주 위원(Commissaire de province)이 관리하는 코키아빌 주(Province de Coquilhatville)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첫 번째 위원은 J. 조리센(J. Jorrissen)이었다. 이후 1937년에 코킬라빌 주는 다시 (구) 에카퇴르 주(Province de l'Équateur)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47년 5월 27일에는 에카퇴르/에베나르(Équateur/Evenaar)라는 이름을 잠시 사용하기도 했다.
1960년 6월 30일, 콩고 공화국이 벨기에로부터 독립하면서 에카퇴르 주는 신생 독립국의 자치주가 되었다.
2. 2. 콩고 독립 이후 (1960년 ~ 현재)
1960년 6월 30일, 벨기에로부터 독립한 콩고 공화국의 자치주가 되었다. 독립 이후 행정 구역 개편 과정에서 에카퇴르주는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1962년 8월 14일에는 큐베트 센트랄과 우방기주로 분할되었고, 1963년 2월 5일에는 중앙 행정 구역이 무아양-콩고가 되었다.그러나 1966년 4월 25일, 모부투 세세 세코 정권 하에서 큐베트 센트랄, 무아양-콩고, 우방기 주는 다시 에카퇴르 주로 통합되었다. (같은 해 7월 1일 공식 발족)
수십 년간 유지되던 에카퇴르주는 2005년 제정된 새로운 2006년 헌법에 따라 행정 구역 개편이 결정되었다. 2015년 1월 9일, 신 행정 구역안이 가결됨에 따라 (구) 에카퇴르주는 5개의 새로운 주로 분할되었다.[2]
다음은 2015년에 분할된 5개의 새로운 주이다.
콩고 민주 공화국 (1966년) 하에서 에카퇴르 주는 음반다카, 그바돌리테, 종고 시와 에카퇴르, 노르-우방기, 수드-우방기, 몽갈라, 추아파 구로 구성되었다.
3. 행정 구역
3. 1. 1966년 ~ 2015년 (구) 에카퇴르 주
1962년 분할되었던 큐베트 센트랄, 무아양-콩고, 우방기 주는 1966년 4월 25일 다시 통합되어 에카퇴르 주가 되었다. 이는 모부투 세세 세코 정권 하에서 이루어진 조치였다. 이 통합된 (구) 에카퇴르 주는 2015년 행정 구역 개편 전까지 유지되었다.
통합 이후 콩고 민주 공화국(1966년 당시 명칭) 하의 에카퇴르 주는 음반다카, 그바돌리테, 종고의 3개 시와 에카퇴르 구, 노르-우방기 구, 수드-우방기 구, 몽갈라 구, 추아파 구의 5개 구로 구성되었다.
다음 표는 2010년 기준 (구) 에카퇴르 주의 주요 도시와 인구 및 좌표를 나타낸다.[3]
| 이름 | 구 | 테리토리 | 2010년 인구[3] | 좌표[3] |
|---|---|---|---|---|
| 바상쿠수 | 에카퇴르 구 | 바상쿠수 테리토리 | 27,492 | 1.23° N 19.80° E |
| 베팔레 | 추아파 구 | 베팔레 테리토리 | 3,723 | 0.47° N 20.97° E |
| 비코로 | 에카퇴르 구 | 비코로 테리토리 | 7,128 | 0.75° S 18.12° E |
| 빙가 | 몽갈라 구 | 빙가 테리토리 | 64,639 | 2.40° N 20.42° E |
| 보엔데 | 추아파 구 | 보엔데 테리토리 | 33,765 | 0.22° S 20.86° E |
| 보쿵구 | 추아파 구 | 보쿵구 테리토리 | 7,829 | 0.68° S 22.32° E |
| 볼롬바 | 에카퇴르 구 | 볼롬바 테리토리 | 4,252 | 0.48° N 19.20° E |
| 보몽고 | 에카퇴르 구 | 보몽고 테리토리 | 4,784 | 1.37° N 18.35° E |
| 봉간다가가 | 몽갈라 구 | 봉간다가가 테리토리 | 3,648 | 1.51° N 21.05° E |
| 보소볼로 | 노르-우방기 구 | 보소볼로 테리토리 | 12,932 | 4.19° N 19.88° E |
| 부자알라 | 수드-우방기 구 | 부자알라 테리토리 | 21,259 | 2.65° N 19.70° E |
| 붐바 | 몽갈라 구 | 붐바 테리토리 | 103,328 | 2.19° N 22.46° E |
| 부싱가 | 노르-우방기 구 | 부싱가 테리토리 | 32,590 | 3.34° N 20.87° E |
| 그바돌리테 | (시) | (시) | 48,083 | 4.29° N 21.02° E |
| 제메나 | 수드-우방기 구 | 제메나 테리토리 | 132,971 | 3.26° N 19.77° E |
| 이켈라 | 추아파 구 | 이켈라 테리토리 | 15,214 | 1.18° S 23.27° E |
| 잉겐데 | 에카퇴르 구 | 잉겐데 테리토리 | 3,951 | 0.25° S 18.95° E |
| 쿵구 | 수드-우방기 구 | 쿵구 테리토리 | 7,738 | 2.78° N 19.20° E |
| 리벵게 | 수드-우방기 구 | 리벵게 테리토리 | 23,962 | 3.66° N 18.62° E |
| 리살라 | 몽갈라 구 | 리살라 테리토리 | 79,235 | 2.14° N 21.51° E |
| 루코렐라 | 에카퇴르 구 | 루코렐라 테리토리 | 15,230 | 1.05° S 17.20° E |
| 음반다카 | (시) | (시) | 324,236 | 0.04° N 18.26° E |
| 모바예-음봉고 | 노르-우방기 구 | 모바예-음봉고 테리토리 | 5,413 | 4.30° N 21.18° E |
| 몽코토 | 추아파 구 | 몽코토 테리토리 | 8,640 | 1.63° S 20.65° E |
| 야코마 | 노르-우방기 구 | 야코마 테리토리 | 11,720 | 4.10° N 22.43° E |
| 종고 | (시) | (시) | 32,516 | 4.35° N 18.60° E |
2005년 신헌법 제정에 따라 행정 구역 개편이 결정되었고, 2015년 1월 9일 신 행정 구역안이 가결되면서 (구) 에카퇴르 주는 5개의 새로운 주로 분할되었다.[2] 분할된 주는 다음과 같다.
- 노르-우방기주: 면적 56644km2, 수도 그바돌리테
- 몽갈라주: 면적 58141km2, 수도 리살라
- 수드-우방기주: 면적 51648km2, 수도 제메나
- 에카퇴르주: 면적 103902km2, 수도 음반다카
- 추아파주: 면적 132957km2, 수도 보엔데
3. 2. 2015년 이후
2005년 신헌법에 따라 행정 구역 개편이 결정되었으며, 2015년 1월 9일 새로운 행정 구역안이 가결되었다. 이에 따라 (구) 에카퇴르주는 5개의 새로운 주로 분할되었다.[2] 분할된 주의 정보는 아래와 같다.
4. 교육
- 음반다카 대학교
참조
[1]
웹사이트
Découpage administratif de la 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
https://web.archive.[...]
PNUD-SIG
2008-10
[2]
웹사이트
Provinces of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Congo Kinshasa)
http://www.statoids.[...]
Statoids
2018-05-18
[3]
웹사이트
Équateur: largest cities and towns and statistics of their population
http://world-gazette[...]
World Gazetteer
[4]
문서
Chapter III : Human Geography Part 3 : Administrative and Judicial Organization.
http://www.zum.de/wh[...]
[5]
문서
当時の地図
http://www.zum.de/w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