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티엔 프랑수아 조프루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티엔 프랑수아 조프루아는 18세기 프랑스의 화학자이다. 파리에서 태어나 몽펠리에 대학교에서 공부했으며, 런던 주재 프랑스 대사관에서 근무한 후 파리 식물원 화학 교수, 콜레주 드 프랑스 의학 및 약학 교수를 역임했다. 그는 1718년과 1720년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에 제출한 '친화도 표'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이는 물질 간의 결합 강도를 나타낸 표로, 화학적 친화력에 대한 연구의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철이 식물 물질의 연소로 형성될 수 있다고 믿는 등 연금술과 화학의 경계에 있는 연구를 수행했으며, 사후에 출판된 저서 'Tractatus de materia medico'는 널리 알려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72년 출생 - 표트르 1세
    표트르 1세는 로마노프 왕조의 차르이자 러시아 제국의 초대 황제로, 서구화 정책과 부국강병책을 통해 러시아를 근대화하고 강대국으로 만들었으며, 대북방 전쟁 승리 후 상트페테르부르크를 건설했으나, 급진적인 개혁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1672년 출생 - 마쓰다이라 지카사다 (마쓰다이라 향 마쓰다이라가)
    마쓰다이라 지카사다는 마쓰다이라 향 마쓰다이라 가문 출신으로, 마쓰다이라 노부카즈의 양자가 되어 가문을 상속받아 마쓰다이라 종가의 수장이 되었으며, 1713년 사망 후 아들 마쓰다이라 노부토시가 뒤를 이었다.
  • 1731년 사망 - 브룩 테일러
    브룩 테일러는 1685년 런던에서 태어난 영국의 수학자이며, 유한차분 미적분법을 개척하고 테일러 정리를 포함한 다양한 수학적 업적을 남겼으며, 그의 이름을 딴 달의 크레이터가 존재한다.
  • 1731년 사망 - 예브도키야 로푸히나
    예브도키야 로푸히나는 표트르 1세의 첫 번째 황후로, 나탈리야 나리시키나에 의해 선택되어 차리차가 되었으나, 남편의 냉대와 보수적인 성향으로 수도원에 유폐되는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
  • 프랑스의 화학자 - 피에르 퀴리
    프랑스 물리학자 피에르 퀴리는 압전 효과 발견, 자기장 연구, 아내 마리 퀴리와 함께 방사능 연구를 통해 폴로늄과 라듐을 발견하여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으며, 그의 업적은 핵물리학 및 화학 발전에 기여했고 사후에도 그의 이름이 기려지고 있다.
  • 프랑스의 화학자 - 앙투안 라부아지에
    앙투안 라부아지에는 질량 보존의 법칙을 발견하고 산소를 명명하는 등 현대 화학의 기초를 세웠으나 프랑스 혁명 중 처형당했으며, 그의 저서 『화학 원론』은 근대 화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쳐 '근대 화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에티엔 프랑수아 조프루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에티엔 프랑수아 조프루아
이름에티엔 프랑수아 조프루아
원어 이름Étienne François Geoffroy
출생일1672년 2월 13일
사망일1731년 1월 6일
국적프랑스
분야화학, 의학
거주지프랑스
학력 및 경력
모교파리 식물원
직업물리학자, 화학자
수상
종교
기타

2. 생애

조프루아는 파리에서 태어났다. 몽펠리에 대학교에서 공부한 후, 1698년 탈라르 공작을 따라 런던 주재 프랑스 대사관에서 근무하였다. 그 후 네덜란드이탈리아를 여행한 뒤 파리 식물원의 화학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말년에는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 의학약학 교수를 겸임하였다.[3]

그는 원소의 "친화성"을 정리한 "tables des rapports"라는 표를 만들어 역사에 이름을 남겼다. 이것은 물질을 조합할 때의 결합 강도를 일람으로 나타낸 것이다. 1718년과 1720년에 프랑스 학술원에서 발표했다.

자석을 사용하여 철을 회수하여 무게를 측정하는 실험에서, 식물을 태웠을 때 그 재에서 연소 중에 철이 발생하여 양이 증가했다고 믿었던 일화가 남아 있다. 비자성 철의 산화물이 자성을 가진 산화물로 변화하는 것을 간과한 것으로 보인다.

2. 1. 가계

에티엔 프랑수아 조프루아는 파리에서 태어났다. 그의 형제인 클로드 조제프 조프루아는 조프루아 2세로 알려졌으며, 화학자였다.

3. 업적

조프루아는 아이작 뉴턴의 만유인력에 매료되어 화합물의 결합에도 비슷한 개념을 도입하고자 하였으며, 1718년 《친화력표》를 발표하였다. 이 표는 약한 산 시약에 다른 산을 넣어 화학반응을 일으킬 때 물질마다 반응하는 양에 일정한 경향성이 있음을 보인 것이었다. 이러한 발표는 클로드 루이 베르톨레가 밝힌 일정 성분비의 법칙을 예견한 것이라는 평가를 받는다.[4][5][7] 그러나 조프루아는 현자의 돌 제조 방법을 언급하는 등 연금술화학의 경계에 있는 인물이기도 하였다.[6] 그는 이 식물 물질의 연소로 인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고 믿었으며, 자석을 사용한 철 회수 및 무게 측정 실험에서 식물을 태웠을 때 그 재에서 연소 중에 철이 발생하여 양이 증가했다고 믿었다. 하지만, 이는 비자성 철의 산화물이 자성을 가진 산화물로 변화하는 것을 간과한 것이었다.

3. 1. 친화력 표

아이작 뉴턴의 만유인력에 매료되었던 조프루아는 화합물의 결합에도 이와 비슷한 개념을 도입하고자 하였다.[4] 1718년 조프루아는 아래의 그림과 같은 《친화력표》를 발표하였는데, 이 표는 하나의 약한 산 시약에 다른 산을 넣어 화학반응을 일으킬 때 각각의 물질마다 반응하는 양에 일정한 경향성이 있음을 보인 것이었다. 조프루아의 이러한 발표는 18세기 화학자인 클로드 루이 베르톨레가 밝힌 일정 성분비의 법칙을 예견한 것이라는 평가를 받는다.[5]

600px


그의 이름은 1718년과 1720년에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에 제출한 "친화도 표"(tables des rapports)와 관련하여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이 표는 물질들이 서로 작용하는 것에 대한 관찰을 대조하여 준비된 목록으로, 유사한 물질들이 다른 시약에 대해 나타내는 다양한 친화도의 정도를 보여주었으며, 클로드 루이 베르톨레가 도입한 더 심오한 개념에 의해 대체될 때까지 그 세기를 통틀어 유행했다.[1]

3. 2. 기타 연구

그의 이름은 1718년과 1720년에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에 제출한 "친화도 표"(tables des rapports)와 관련하여 가장 잘 알려져 있다.[1]

이것들은 물질들이 서로 작용하는 것에 대한 관찰을 대조하여 준비된 목록으로, 유사한 물질들이 다른 시약에 대해 나타내는 다양한 친화도의 정도를 보여주었으며, CL 베르톨레가 도입한 더 심오한 개념에 의해 대체될 때까지 그 세기를 통틀어 유행했다.[1]

그의 또 다른 논문은 현자의 돌에 대한 망상에 대해 다루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이 식물 물질의 연소로 인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고 믿었다.[1] 자석을 사용하여 철을 회수하여 무게를 측정하는 실험에서, 식물을 태웠을 때 그 재에서 연소 중에 철이 발생하여 양이 증가했다고 믿었던 일화가 남아 있다. 비자성 철의 산화물이 자성을 가진 산화물로 변화하는 것을 간과한 것으로 보인다.

4. 저서

그의 이름은 1718년과 1720년에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에 제출한 "친화도 표"(tables des rapports)와 관련하여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이것들은 물질들이 서로 작용하는 것에 대한 관찰을 대조하여 준비된 목록으로, 유사한 물질들이 다른 시약에 대해 나타내는 다양한 친화도의 정도를 보여주었으며, CL 베르톨레가 도입한 더 심오한 개념에 의해 대체될 때까지 그 세기를 통틀어 유행했다.[1]

그의 또 다른 논문은 현자의 돌에 대한 망상에 대해 다루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이 식물 물질의 연소로 인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고 믿었다. 그의 사후인 1741년에 출판된 ''Tractatus de materia medico''는 오랫동안 널리 알려졌다.[1]

참조

[1] EB1911
[2] 웨이백 뉴턴과 고전역학 http://mulli2.kps.or[...] 2004-06-15
[3] 서적 Geoffroy, Etienne Francois, Vol. XI, pg 618. Encyclopædia Britannica 1911
[4] 간행물 혁명의 예견과 준비:라부아지에 화학혁명의 이념과 전망 서울대학교 불어문화권연구소 2014
[5] 논문 THE ROLE OF THEORIES IN EARLY STUDIES OF CHEMICAL EQUILIBRIA http://www.scs.illin[...] 2006
[6] 웹사이트 Étienne François Geoffroy http://picus.unica.i[...]
[7] 서적 Affinity, That Elusive Dream: A Genealogy of the Chemical Revolution https://archive.org/[...] MIT Press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