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피알테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피알테스는 고대 그리스의 인물로,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당시 페르시아 군에게 테르모필레 협곡의 비밀 통로를 알려주어 그리스 군을 배신했다. 그는 스파르타의 레오니다스 1세와 300명의 스파르타 군, 테스피아이 군, 테베 군에게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했으며, 살라미스 해전에서 페르시아가 패배한 후 테살리아로 도주했다. 에피알테스는 테르모필레 전투의 배신자로 묘사되며, 영화 "300 스파르탄"과 만화 "300" 등 대중문화 작품에서 다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앙그리스주 출신 - 플루타르코스
    플루타르코스는 46년에 태어난 고대 그리스의 작가이자 전기 작가로, 『플루타르코스 영웅전』과 『모랄리아』 등의 저서를 통해 서양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중앙그리스주 출신 - 요르요스 콘딜리스
    요르요스 콘딜리스는 그리스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군 경력과 정치 활동을 거쳐 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하고 군주제 복고를 추진했으며 섭정으로 공화국을 폐지하고 요르요스 2세의 왕정 복고를 이끌었다.
  • 고대 그리스 사람 - 헤로필로스
    고대 그리스의 의사이자 해부학자인 헤로필로스는 알렉산드리아 의학교를 설립하고 인체 해부를 통해 해부학, 생리학, 신경과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뇌, 신경계, 혈액, 눈 등 인체 기관 연구를 통해 의학 발전에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 고대 그리스 사람 - 아보노테이코스의 알렉산드로스
    아보노테이코스의 알렉산드로스는 2세기경 뱀 신 글리콘 숭배 컬트를 만들어 명성을 얻고 신탁을 통해 예언과 치료를 주장한 인물이지만, 당대와 현대에 사이비 예언자 또는 사기꾼으로 평가받는다.
  • 테르모필레 전투 - 300 (영화)
    2007년 개봉한 자크 스나이더 감독의 영화 《300》은 프랭크 밀러의 그래픽 노블을 원작으로, 테르모필레 전투에서 300명의 스파르타 용사들이 페르시아 대군에 맞서는 이야기를 스타일리쉬한 액션과 시각 효과로 묘사하여 흥행에 성공했지만, 역사적 정확성 논란과 페르시아 묘사에 대한 반발을 일으켰다.
  • 테르모필레 전투 - 불사부대
    불사부대는 고대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제국의 정예 보병 부대로, 1만 명을 유지하며 사망자를 즉시 보충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고,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에서 활약했으며, 영화 등 대중문화에도 등장한다.
에피알테스
인물 정보
에피알테스가 페르시아 군에게 길을 안내하는 모습
에피알테스가 페르시아 군에게 길을 안내하는 모습
기본 정보
이름에피알테스
로마자 표기Epialtes
출신지트라키스
활동 시기기원전 480년
직업배신자
관련 전투테르모필레 전투
생애
배신 동기헤로도토스에 따르면, 보상을 기대하고 배신했다고 함.
이후 행적
아버지에우리데모스
다른 이름아테나데스
평가
역사적 평가그리스 역사에서 배신자의 대명사로 여겨짐.
헤로도토스의 평가헤로도토스는 그를 묘사하며 그의 이름을 영원히 불명예스럽게 만들었다고 기록함.

2.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에서의 역할

에피알테스는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에서 페르시아 군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그리스 군에 큰 타격을 입힌 인물로 알려져 있다.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그리스 연합군은 테르모필레 협곡에서 페르시아 군의 진격을 막으려 했다. 테르모필레는 좁은 길목이었지만, 남쪽 산을 넘어 그리스 군 후방으로 우회할 수 있는 비밀 통로가 있었다. 에피알테스는 이 비밀 통로를 페르시아 군에게 알려주었고, 페르시아 군은 이 길을 통해 그리스 군을 포위할 수 있었다.[10][11]

레오니다스는 대부분의 그리스 군을 후퇴시켰지만, 자신은 소수의 병력과 함께 남아 페르시아 군과 맞서 싸웠다. 에피알테스는 페르시아 군에게 보상을 기대했지만, 살라미스 해전에서 페르시아 군이 패배하면서 아무것도 얻지 못했다.[12]

2. 1. 그리스 군 배신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그리스 연합군은 테르모필레 협곡에서 페르시아 군의 진격을 막으려 했다. 테르모필레는 트라키아 절벽과 말리 만 사이의 좁은 길목으로, 마차 한 대가 겨우 지나갈 정도였다.[10] 그러나 테르모필레 남쪽 산을 넘어 그리스 군 후방으로 우회할 수 있는 비밀 통로가 있었다. 헤로도토스는 이 산길이 이 지방 사람들에게는 잘 알려져 있었고, 과거 이웃 포키스인들을 약탈할 때 사용했던 길이라고 기록하고 있다.[11]

에피알테스는 이 비밀 통로를 페르시아 군에게 알려주었다. 페르시아군은 이 길을 통해 그리스 군을 포위할 수 있었다. 스파르타의 왕 레오니다스는 대부분의 그리스군을 후퇴시켰지만, 자신은 300명의 스파르타 군, 700명의 테스피아이 군, 그리고 400명의 테베 군과 함께 후위 부대로 남아 페르시아 군과 맞서 싸웠다.

에피알테스는 페르시아 군에게 보상을 기대했지만, 살라미스 해전에서 페르시아 군이 패배하면서 아무것도 얻지 못했다. 그는 테살리아로 도주했고, 필라이의 린보동맹은 그의 목에 현상금을 걸었다.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기원전 470년경 그는 트라키스의 아테나데스(Ἀθηνάδηςgre)에 의해 살해당했는데, 스파르타는 아테나데스에게도 보상금을 지급했다.[12]

2. 1. 1. 공범

헤로도토스는 페르시아 군에게 길을 알려준 혐의로 카리스토스 출신 파나고라스의 아들 오네타스와 안티키라 출신 코리달루스, 두 명의 다른 인물이 있었다고 언급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라고라인 그리스 대표들이 오네타스와 코리달루스에게 현상금을 걸지 않고 에피알테스에게만 현상금을 걸었기 때문에, 에피알테스가 이 길을 알려준 인물이라고 헤로도토스는 주장한다.[6]

3. 배신 이후

에피알테스는 페르시아 군의 승리에 대한 보상을 기대했지만, 살라미스 해전에서 페르시아가 패배하면서 그의 기대는 무산되었다. 그는 테살리아로 도주했고, 암픽티오니아 동맹은 그의 목에 현상금을 걸었다.[12]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에피알테스는 기원전 470년경 트라키스의 아테나데스(Αθηνάδης|아테나데스gre)에게 겉보기에는 무관한 이유로 살해당했지만, 스파르타는 아테나데스에게 보상금을 지급했다.[12]

4. 대중문화 속 묘사

1962년 영화 ''300 스파르탄''에서 에피알테스는 키어런 무어가 연기했으며, 테르모필레 근처 염소 농장에서 일하는 수상한 농부로 묘사된다. 그는 스파르타 처녀 엘라스에게 거절당하자, 나중에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 부를 내세워 그녀를 얻으려다 스파르타를 배신한다.

프랭크 밀러의 1998년 만화 미니시리즈 ''300''과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2006년 동명의 영화, 2014년 속편에서는 에피알테스(앤드루 티어난이 연기)를 심하게 기형인 스파르타 망명자로 묘사하는데, 그의 부모는 기형으로 태어나 영아 살해를 당했을 그를 보호하기 위해 스파르타를 떠났다.

참조

[1] 뉴스 The History of Herodotus http://etext.library[...] The University of Adelaide 2007-03-28
[2] 서적 Histories
[3] 서적 Histories
[4] 서적 Histories
[5] 서적 Histories
[6] 서적 Histories
[7] 간행물 The Ancestors of Alvar Nuñez Cabeza be Vaca 1988-06
[8] 뉴스 The History of Herodotus http://etext.library[...] 애들레이드 대학교 2007-03-28
[9] 서적 Persian Wars
[10] 서적 Histories
[11] 서적 Histories
[12] 서적 Histori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