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엘리파스 레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엘리파스 레비는 19세기 프랑스의 오컬티스트이자 작가로, 사회주의, 낭만주의, 그리고 마법에 대한 독특한 사상을 펼쳤다. 그는 젊은 시절 신학교에서 공부했으나 사제의 길을 포기하고 사회주의 운동에 참여했으며, 소낭만주의 문학 서클에서 활동하며 작가들과 교류했다. 이후 엘리파스 레비라는 필명으로 활동하며 마법과 관련된 저서를 출판했는데, 특히 '고등 마술의 교리와 의식'은 서양 오컬티즘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사상은 별빛, 의지, 상상력을 핵심으로 하며, 타로 카드를 마법 시스템에 통합하는 등 후대 오컬티스트들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푸리에주의자 - 샤를 푸리에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초기 사회주의 사상가인 샤를 푸리에는 상업의 폐해와 사회 모순을 비판하며 정념 인력 개념을 제시하고 팔랑주라는 공동체 사회를 구상했으며, 그의 사상은 공상적 사회주의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쳐 현대 사회 사상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 푸리에주의자 - 브룩팜
    브룩팜은 1841년 조지 리플리와 투자자들이 매사추세츠주에 설립한 초월주의적 유토피아 공동체로, 노동 공유를 통해 구성원들이 학문 연구에 참여할 시간을 확보하고 평등을 추구했으나 재정난과 화재로 1846년 해산되었으며, 너새니얼 호손의 소설 배경이 되기도 했다.
  • 프랑스의 비술사 - 빅토르 위고
    빅토르 위고는 19세기 프랑스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이자 시인으로, 낭만주의 운동을 이끌고 《레 미제라블》 등의 작품을 남겼으며, 정치에도 참여하여 국민적 시인으로 존경받았다.
  • 프랑스의 비술사 - 샤를 리셰
    샤를 리셰는 프랑스의 생리학자이자 심령 연구가로, 아나필락시스 쇼크 연구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으며, 생리학 분야에서 다양한 업적을 남겼고, 심령 현상 연구에도 관심을 가졌으나 우생학 옹호와 인종차별적 견해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 오컬티스트 - 존 디
    존 디는 엘리자베스 1세의 과학 고문 겸 황실 점성술사로 활동한 영국의 수학자, 천문학자, 점성술사, 지리학자이자 고문헌 연구가로, 대영제국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고 항해술 발전에 기여했으며, 연금술과 헤르메스주의에 심취하여 천사와의 교감을 시도했다.
  • 오컬티스트 - 호소키 카즈코
    호소키 카즈코는 사업가로 활동하다 독자적인 점술법으로 점술가로 데뷔하여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었고, 방송 활동을 통해 인기를 얻었으나 논란도 있었다.
엘리파스 레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본명알퐁스 루이 콩스탕
출생1810년 2월 8일
출생지파리, 제1 프랑스 제국
사망1875년 5월 31일
사망지파리, 프랑스 제3공화국
배우자마리-노에미 카디오 (1846년 결혼, 1865년 이혼)
자녀4명 이상
묘지이브리 묘지, 이브리-쉬르-센 (후에 공동 묘지로 이장)
직업
직업프랑스의 오컬트 작가, 시인

2. 생애

엘리파스 레비는 파리에서 가난한 구두 수선공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어릴 때 몸은 약했지만 총명하고 착한 아이였다. 15세에 사제가 되기 위해 생 니콜라 뒤 샤르도네 신학교에 입학하여 히브리어와 철학을 공부했다. 신학교 교장 프레르 콜론나는 요아킴적 종말 사상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레비에게도 영향을 주었다.[1] 이후 생 쉴피스 신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면서 생 쉴피스회 창립자 올리에의 저작에 큰 영향을 받았다.[1]

25세에 부제로 임명되어 생 쉴피스 교회의 전도사가 되었으나, 이듬해 한 소녀와 사랑에 빠져 신학교를 떠났다.[1] 생디칼리슴과 여성 운동가 플로라 트리스타를 만나 사회주의 사상을 접했고, 사회주의자이자 시인인 알퐁스 에스키로스의 소개로 소(小) 낭만파 문학 서클에 드나들었다.[1]

1839년 기독교 신앙으로 돌아가려 해, 솔렘의 베네딕토회 수도원에 머물렀다. 여기서 마리아 숭배의 전설집 《오월의 장미 나무》를 출판하여 이것이 처녀작이 되었다. 그러나 수도원 입원 자격을 인정받지 못해 듀이 마을 학교의 학생 감시원이 되었다. 여기서 성경에서 사회주의적인 사상을 논하는 《자유의 성경》을 출판했지만, "성경의 가르침을 불법으로 잘못 전했다"는 이유로 8개월 금고형과 300FRF 벌금형을 선고받고, 저작 전부를 압수당해 생트-펠라지 교도소에 수감되었다.[1]

1841년에는 여성 숭배 사상을 전개하는 《여성의 승천 혹은 사랑의 서》를 출판했다. 1844년에 출판한 《신의 어머니, 종교적 인도주의적 서사시》는 성모 마리아와 사회주의, 최후의 심판과 혁명론, 묵시록 이후의 세계로서의 유토피아 등을 말한 내용으로 가톨릭계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아, 교회에서 퇴거당했다.[1]

이후 개인 교수를 하면서 집필을 계속하여, 1845년 시집 《세 가지 조화》의 「코레스퐁당스」는 보들레르의 「만물 조응(Correspondances)」에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 1846년에는 자신이 가르치던 17세 여학생 마리 노에미 카디오와 결혼했다.[1]

1848년 2월 혁명을 기점으로 엘리파스 레비는 사회주의적 사상에 기반한 문학 작품 활동을 중단했다. 1853년 '''엘리파스 레비'''로 이름을 바꾸고 유제프 마리아 호에네-우론스키의 의붓 동생 몽펠리에와 함께 숨은 학문 잡지 『진보적 평론』을 간행했다.

1854년 영국에서 소설가 에드워드 불워 리턴을 만나 장미 십자 협회에 가입하고 큰 영향을 받았다. 귀국 후 프랑스 장미 십자회를 재건했으며, 1856년 『고등 마술의 교리와 의식』을 출판했다. 1860년부터는 『비교 철학 전집』 전 6권을 간행하기 시작했다. 이후에도 숨은 학문에 관한 저서를 다수 집필했으며, 1875년 파리에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사제 지망

파리 시내에 있는 레비의 생가


엘리파스 레비는 파리에서 가난한 구두 수선공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어릴 때는 몸이 약했지만, 총명하고 착한 아이였다. 15세에 사제가 되기 위해 생 니콜라 뒤 샤르도네 신학교에 입학하여 히브리어와 철학을 공부했다. 신학교 교장 프레르 콜론나는 요아킴적 종말 사상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레비에게도 영향을 주었다.[1] 이후 생 쉴피스 신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면서 생 쉴피스회 창립자 올리에의 저작에 큰 영향을 받았다.[1]

1835년, 25세에 부제로 임명되어 생 쉴피스 교회의 전도사가 되었다. 그러나 이듬해 한 소녀와 사랑에 빠져 신학교를 떠났고, 이 때문에 그의 어머니가 자살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1] 레비는 생디칼리슴과 여성 운동가 플로라 트리스타를 만나 사회주의 사상을 접했고, 사회주의자이자 시인인 알퐁스 에스키로스의 소개로 소(小) 낭만파 문학 서클에 드나들었다. 여기서 여성 숭배 종교를 이끌던 조각가 마파 간노를 만나 발자크에게 소개하기도 했다.[1]

2. 2. 사회주의와 낭만주의 문학

1839년 기독교 신앙으로 돌아가려 해, 솔렘의 베네딕토회 수도원에 머물렀다. 여기서 페넬롱과 기용 부인의 조용주의와 크뤼데네르 부인의 경건주의 저작을 접하고, 마리아 숭배의 전설집 《오월의 장미 나무》를 출판하여 이것이 처녀작이 되었다. 그러나 수도원 입원 자격을 인정받지 못했기 때문에 듀이 마을 학교의 학생 감시원이 되었다. 여기서 성경에서 사회주의적인 사상을 논하는 《자유의 성경》을 출판했지만, "성경의 가르침을 불법으로 잘못 전했다"는 이유로 8개월의 금고형과 300FRF의 벌금형을 받고, 저작 전부를 압수당해 생트-펠라지 교도소에 수감되었다. 옥중에서 에스키로스를 재회하고, 사회주의자인 펠리시테 드 라메네와도 알게 되었으며, 또한 스베덴보리와 다양한 비밀학 저작에도 접하게 된다.[1] 출소 후, 에브뢰의 교회에서 종교화와 소설 삽화의 일을 하면서, 1841년에는 여성 숭배 사상을 전개하는 《여성의 승천 혹은 사랑의 서》를 출판했다. 1844년에 정통적인 가톨릭 신앙을 나타내는 것으로 출판한 《신의 어머니, 종교적 인도주의적 서사시》는 성모 마리아와 사회주의, 최후의 심판과 혁명론, 묵시록 이후의 세계로서의 유토피아 등을 말한 내용으로 가톨릭계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아, 교회에서 퇴거당했다.[1]

이후 개인 교수를 하면서 집필을 계속하여, 1845년의 시집 《세 가지 조화》의 「코레스퐁당스」는 보들레르의 「만물 조응(Correspondances)」에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 1846년에 자신이 가르치던 17세 여학생 마리 노에미 카디오와 결혼했다.[1]

2. 3. 오컬티스트로서의 활동

1848년 2월 혁명을 기점으로 엘리파스 레비는 사회주의적 사상에 기반한 문학 작품 활동을 중단했다. 1853년 '''엘리파스 레비'''로 이름을 바꾸고 유제프 마리아 호에네-우론스키의 의붓 동생 몽펠리에와 함께 숨은 학문 잡지 『진보적 평론』을 간행했다.

1854년 영국에서 소설가 에드워드 불워 리턴을 만나 장미 십자 협회에 가입하고 큰 영향을 받았다. 귀국 후 프랑스 장미 십자회를 재건했으며, 1856년 『고등 마술의 교리와 의식』을 출판했다. 1860년부터는 『비교 철학 전집』 전 6권을 간행하기 시작했다. 이후에도 숨은 학문에 관한 저서를 다수 집필했으며, 1875년 파리에서 사망했다.

3. 사상

레비는 사회주의와 오컬티즘을 결합한 독특한 사상을 전개했다. 그는 마법의 주요 원리로 별빛, 의지, 상상력을 제시했는데, 이는 그가 처음 제시한 개념은 아니었다.[1]

루이 클로드 드 생마르탱은 "별빛"이라는 용어를 "심령력"을 의미하는 데 사용했다.[1] 레비는 "별빛"을 "심령력"의 동의어로 사용했을 뿐만 아니라, 고대와 중세의 점성술 관행을 믿었다. 그는 "자연에는 무관심한 것은 아무것도 없으며, 길 위에 있는 작은 조약돌 하나가 가장 위대한 사람들과 심지어 가장 위대한 제국의 운명을 파멸시키거나 깊이 바꿀 수 있으며, 하물며 특정 별의 위치가 태어나는 아이의 운명과 무관심할 수 없으며, 그 아이는 출생이라는 사실로 별자리 [점성술] 세계의 보편적인 조화에 들어간다."라고 썼다.[1]

"별빛"은 프란츠 메스머의 '동물 자기력' 이론에 영향을 받았다. 메스머는 이것이 우주에 스며드는 유동체이며, 인간의 신경 조직에서 가장 활발하게 작용하여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강력한 영향을 행사할 수 있게 한다고 주장했다.[1]

레비는 파라켈수스의 주장을 계승하여, 강한 의지와 상상력을 통해 마법적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고 보았다. 파라켈수스는 "믿음은 상상력을 강화하고 완성하며, 모든 의심이 그 완벽함을 망치기 때문이다. 믿음이 의지를 확립한다."라고 말했다.[1] 레비는 마법 수련에 위험이 따르며, "최고, 절대적, 무오류적인 이성에 기초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광기"를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1]

3. 1. 사회주의적 배경

레비는 초기부터 사회주의 사상에 깊이 공감했으며, 이는 그의 오컬티즘 연구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는 무지한 대중의 자력 해방 능력에 회의적이었으며, 조제프 드 메스트르의 신정주의적 사상에 영향을 받아 사제 엘리트 계급이 이끄는 '영적 권위'의 확립을 주장했다. 그는 마법을 통해 사회를 변혁하고 새로운 위계 질서를 확립할 수 있다고 믿었다.[1]

줄리안 스트루베에 따르면, 레비는 사회주의적이고 성직자 사후적인 그의 사상의 직접적인 결과로 신비주의를 발전시켰을 뿐만 아니라, 그의 전 생애에 걸쳐 사회주의 실현을 계속해서 전파했다.[1]

스트루베는 레비가 "마법"을 새로운 위계 질서가 명확해질 이데올로기(잠재적으로 정치적으로 유용한 미신)로 보았다고 주장한다. 레비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따라서 우리는 우리의 마법이 고에티아적이고 강령술적인 종류에 반대된다고 믿고 분명히 밝혀왔다. 그것은 모든 의견과 모든 형태의 예배를 파괴하고 흡수해서는 안 되지만, 시작의 원을 재구성함으로써 그것들을 재생성하고 인도하며, 따라서 맹목적인 대중에게 현명하고 명철한 지도자를 제공해야 하는 절대적인 과학이자 종교이다."[1]

3. 2. 오컬트 이론

레비는 마법의 핵심 원리로 별빛(Astral Light), 의지(Will), 상상력(Imagination)을 제시했다.[1]

  • 별빛 (Astral Light): 레비는 별빛을 우주에 편재하는 유동체로 보았다. 그는 이것이 프란츠 메스머가 이야기한 '동물 자기력'과 유사하며, 인간의 신경 조직에서 가장 활발하게 작용한다고 생각했다. 숙련된 마법사는 이 별빛을 조작하여 마법적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고 믿었다. 레비는 "별빛"이라는 용어를 루이 클로드 드 생마르탱과 같은 18세기 프랑스 신비주의자들에게서 빌려왔다.

  • 의지 (Will)와 상상력 (Imagination): 레비는 파라켈수스의 주장을 계승하여, 강한 의지와 상상력을 통해 마법적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고 보았다. 파라켈수스는 "믿음은 상상력을 강화하고 완성하며, 모든 의심이 그 완벽함을 망치기 때문이다. 믿음이 의지를 확립한다."라고 말했다. 레비는 이러한 마법 수련에 위험이 따르며, "최고, 절대적, 무오류적인 이성에 기초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광기"를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레비는 자신의 마법 체계에 타로 카드를 통합하여, 타로가 서양 마법의 중요한 도구가 되는 데 기여했다. 그는 마법의 9가지 주요 원리를 제시하며, 마법이 "진정한 과학을 부여"한다고 주장했다.

4. 저작

엘리파스 레비는 신학교 시절 오리에의 저작을 통해 성모 숭배와 여성 숭배에 대한 강한 영향을 받았다. 《5월의 장미》는 신비주의적인 저작이며, 《여인의 승천 혹은 사랑의 서》는 여성을 그리스도와 동일시하는 여성 숭배 사상을 담고 있다. 《눈물의 서 혹은 위안자 그리스도》는 그리스도가 근대에 나타나 사회주의 사상을 실현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이탈리아의 신비주의자 실비오 페리코와 스베덴보리 등의 영향을 받았다.[3]

《고등 마술의 교리와 의식》은 오컬트의 원리인 유추를 상징주의와 결합하여 빅토르 위고, 샤를 보들레르, 릴라당, 말라르메, 예이츠, 자리 등 상징파 시인들에게 깊은 영향을 주었다.[3] 또한 제임스 조이스, 앙드레 브르통 등 현대 작가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비교 철학 전집》은 오컬트에 관한 방대한 저작이며, 이 중 《마술의 역사》는 아르튀르 랭보가 즐겨 읽었고, 헨리 밀러의 《나의 독서》에서도 자주 인용된다.[3]

4. 1. 주요 저작 목록

출판 연도제목
1839년5월의 장미 또는 마리아의 화환(le Rosier de mai ou la Guirlande de Marie) [3]
1841년자유의 성서(La Bible de la liberté) [3]
1841년여인의 승천 또는 사랑의 서(lAssomption de la femme ou le Livre de lamour) [3]
1844년신의 어머니, 종교적 인본주의적 서사시(la Mère de Dieu, épopée religieuse et humanitaire) [3]
1845년성체 축일 또는 종교적 평화의 승리(la Fête-Dieu ou le Triomphe de la paix religieuse)
1845년눈물의 서 또는 위안자 그리스도(le Livre des larmes ou le Christ consolateur) [3]
1845년세 개의 조화(les Trois Harmonies) (시집) [3]
1846년마지막 화신, 19세기의 복음주의적 전설(la Dernière Incarnation) [3]
1851년기독교 문학 사전(Dictionnaire de la littérature chrétienne) [3]
1856년고등 마법의 교리와 의례(Dogme et rituel de la haute magie) [3]
1859년마법의 역사(Histoire de la magie) (비전 철학 전집) [3]
1859년에녹, 아브라함,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 솔로몬에 따른 위대한 신비의 열쇠(la Clef des grands mystères suivant Hénoch, Abraham, Hermès Trismégiste et Salomon) (비전 철학 전집) [3]
1861년뫼동의 마법사(Le Sorcier de Meudon) (비전 철학 전집) [3]
1863년폴란드인이 프랑스에 보내는 폴란드의 호소(Appel de la Pologne à la France par un Polonais) (비전 철학 전집) [3]
1863년비밀 철학. 제1 시리즈: 우화와 상징(Philosophie occulte. Première série : Fables et Symboles) (비전 철학 전집) [3]
1865년비밀 철학. 제2 시리즈: 영의 과학(Philosophie occulte. Seconde série : la Science des esprits) (비전 철학 전집) [3]


4. 2. 한국어 번역

제목역자출판사출판 연도
고등 마술의 교리와 제의 제의 편이쿠타 코사쿠인문서원1982년
고등 마술의 교리와 제의 교리 편이쿠타 코사쿠인문서원1992년
마술의 역사 - 부록 · 그 방법과 의식과 비오의 명쾌하고 간결한 설명스즈키 케이지인문서원1998년
위대한 신비의 열쇠스즈키 케이지인문서원2011년


5. 영향

엘리파스 레비의 사상은 후대 서양 오컬티즘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그의 저서 '고등 마술의 교리와 의식'은 오컬트의 원리인 유추를 상징주의와 결합하여, 빅토르 위고, 샤를 보들레르, 스테판 말라르메상징파 시인들에게 깊은 영향을 주었다.[3] 또한, 제임스 조이스, 앙드레 브르통과 같은 현대 작가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2]

레비는 '비교철학 전집'이라는 방대한 오컬트 저작을 남겼는데, 그중 '마술의 역사'는 아르튀르 랭보가 탐독했으며, 헨리 밀러의 '우리 독서'에서도 자주 인용된다.

레비는 마법의 주요 원리로 별빛, 의지, 상상력을 제시했다. 그는 별빛을 카를 라히헨바흐의 오딜력과 동일시했으며, 루이 클로드 드 생마르탱과 18세기 프랑스 신비주의자들로부터 이 개념을 차용했다.[1] 또한, 프란츠 메스머의 동물 자기 이론의 영향을 받아, 별빛이 우주에 스며드는 유동체이며 인간의 신경 조직에서 가장 활발하게 작용한다고 보았다. 레비는 별빛을 "심령력"의 동의어로 사용했을 뿐만 아니라, 고대와 중세의 점성술 관행을 믿었다.

레비는 의지와 상상력이 마법의 중요한 요소라고 보았는데, 이는 파라켈수스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파라켈수스는 믿음이 상상력을 강화하고 의지를 확립하며, 이를 통해 기적을 일으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레비는 마법의 작용에는 위험이 따르며, 최고, 절대적, 무오류적인 이성에 기초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광기를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마법에서 자신의 열정을 충족시킬 수단을 찾는 자들은 죽음이나 광기에 이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참조

[1] 서적 Oxford Illustrated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프랑스 기상 소설의 계보 河出書房新社
[3] 서적 프랑스 기상 소설의 계보 카와이데 쇼보 신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