엣지우드 생화학 센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DEVCOM 화학 생물학 센터는 미국 국방부 산하의 화학 및 생물학적 방어 연구 기관이다. 1917년 에지우드 조병창으로 시작하여 생물학적 물질 연구를 포함하도록 임무를 확장해왔다. 센터는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대한민국과의 관계에서 주한미군 제23화학대대의 재배치 및 JUPITR 프로그램 운영, 탄저균 표본 반입 등이 있었다.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국은 생물무기금지협약 가입국이나, 상호 생물학 무기 보유에 대한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릴랜드주의 군사 - 특별명령 191호
특별명령 191호는 로버트 E. 리 장군이 남부 연합군 전략을 담아 작성한 작전 명령으로, 분실된 사본이 연방군에 발견되어 앤티텀 전투의 배경이 되었으며, 군대 분할, 이동 경로, 목표 지점 등 상세한 작전 계획을 포함하고 있다. - 생물전 시설 - 포트 데트릭
포트 데트릭은 메릴랜드주 프레더릭에 위치한 미국 육군 시설로, 생물 무기 연구 중심지였다가 현재는 생물학적 위협 방어 연구를 수행하며 과거 731부대 자료 반입, 세균 유출 사고 등 논란이 있었다. - 생물전 시설 - 미국 육군 전염병연구소
미국 육군 전염병연구소는 메릴랜드주 포트 데트릭에 위치한 미국의 연구 기관으로, 자연 발생 질병 및 생물학 무기로 사용될 수 있는 위협에 대한 지식, 기술, 제품을 개발하며 생물학적 위협에 대한 방어 연구를 수행한다.
엣지우드 생화학 센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명칭 | DEVCOM 화학생물학센터 |
원어 명칭 | DEVCOM Chemical Biological Center |
약칭 | DEVCOM CBC |
표어 | 기술 주도. 전투원 중심. |
원어 표어 | Technology Driven. Warfighter focused. |
조직 | |
국가 | 미국 |
소속 군 | 미국 육군 |
종류 | 연구 개발 |
사령 체계 | 미국 육군 전투 능력 개발 사령부, 미래사령부 |
주둔지 | 메릴랜드주 애버딘 시험장 |
주요 담당 | |
담당 업무 | 화학 무기 및 생물 무기 대응책 연구 |
지휘관 | |
현 국장 | 마이클 베일리 |
연혁 | |
창설일 | 알 수 없음 - 현재 |
하위 부서 | |
하위 조직 | 응용 연구 시험 공학 장비 표준화 환경 준수 탐지/감시 샘플링 및 분석 오염 제거 파이로테크닉스 집단 보호 안전 및 보안 의사 결정 분석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DEVCOM 화학생물학센터 공식 웹사이트 |
Scientist.com 웹사이트 | Edgewood Chemical Biological Center (ECBC - US Army) - Scientist.com |
2. 역사
DEVCOM CBC는 에지우드 조병창의 후신으로, 1917년 우드로 윌슨 대통령이 이 부지를 미국 최초의 화학탄 쉘 충전 공장으로 지정하면서 1세기 이상 역사를 거슬러 올라간다.[1] 그 이후, 이 센터는 생물학적 물질을 포함하도록 임무를 확장했으며, 오늘날 화학 및 생물학적 방어에 대한 국가 최고의 권위로 부상했다.[1]
2. 1. 명칭 변경
DEVCOM CBC는 에지우드 조병창의 후신으로, 1917년 우드로 윌슨 대통령에 의해 미국 최초의 화학탄 쉘 충전 공장으로 지정된 이후 여러 차례 명칭이 변경되었다.[1]
2. 1. 1. 1918년 ~ 1977년
에지우드 조병창은 1918년 전쟁부에 의해 에지우드 조병창으로 지정되었다.[1] 1942년에는 에지우드 조병창의 화학전 센터로 명칭이 변경되었고,[1] 1963년에는 사령부 및 시설 모두 에지우드 조병창으로 명칭이 복귀되었다.[1]연도 | 명칭 변화 |
---|---|
1918년 | 전쟁부에 의해 에지우드 조병창으로 지정[1] |
1942년 | 에지우드 조병창의 화학전 센터로 명칭 변경[1] |
1963년 | 에지우드 조병창으로 명칭 복귀 (사령부 및 시설 모두)[1] |
2. 1. 2. 1977년 이후
DEVCOM CBC의 이름은 지난 세기 동안 여러 번 바뀌었다. 그 이름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연도 | 명칭 |
---|---|
1977년 | 에지우드 조병창(사령부) 폐지, 군비 연구 개발 사령부(ARRADCOM) 산하 화학 시스템 연구소(CSL) 설립 |
1983년 | 군비, 화학 및 탄약 사령부(AMCCOM) 산하 화학 연구 개발 센터(CRDC)로 재지정 |
1986년 | CRDC를 화학 연구, 개발 및 엔지니어링 센터(CRDEC)로 재지정 |
1992년 | CRDEC를 개편하여 화학 및 생물학적 방어국(CBDA) 산하 에지우드 연구, 개발 및 엔지니어링 센터(ERDEC) 설립 |
1998년 | ERDEC를 병사 및 생물학적 화학 사령부(SBCCOM) 산하 에지우드 화학 생물학 센터(ECBC)로 재지정 |
2019년 | 전투 능력 개발 사령부 화학 생물학 센터 |
2021년 | DEVCOM 화학 생물학 센터 |
2004년 노무현 정부 당시 주한미군의 '10대 임무'를 한국군에 전환하는 계획에 따라, 후방지역 화생방 제독(오염처리) 임무를 한국군에 이양하면서 대구에 주둔하던 주한미군 제23화학대대를 미국으로 철수했다.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3년 4월, 의정부 캠프 스탠리에 제23화학대대를 재배치했다.[3]
3. 대한민국과의 관계
2013년부터 미국 육군 소속의 엣지우드 화학생물학 센터는 JUPITR 프로그램을 주한 미군에 정착시키며 생화학전 대응 강화를 준비하고 있다.[3] 주한미군은 2013년 6월부터 서울 용산, 경기 오산, 평택 등 3곳에 연구소와 병원 등 관련 시설을 설치했다.[4]
2015년 4월 29일, 미국 메릴랜드주 엣지우드화생연구소에서 발송된 탄저균 표본(1 ml)과 페스트균 표본(1 ml)이 오산공군기지에 반입되어 실험에 사용되었다.[5]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국은 모두 생물무기금지협약(BWC) 가입국이다. 그러나 각국은 서로 상대방이 생물학 무기를 보유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자국은 생물학 무기를 보유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3][4][5]
3. 1. 주한미군 제23화학대대
2004년 노무현 정부 당시, 주한미군의 '10대 임무'를 한국군에 전환하는 계획에 따라, 후방지역 화생방 제독(오염처리) 임무를 한국군에 이양하면서, 대구에 주둔하고 있던 주한미군 제23화학대대를 미국으로 철수했다.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3년 4월, 의정부 캠프 스탠리에 제23화학대대를 재배치했다.[3]
3. 2. JUPITR 프로그램
미국 육군 소속의 엣지우드 화학생물학 센터는 2013년부터 JUPITR 프로그램을 주한 미군에 정착시키며 생화학전 대응 강화를 준비하고 있다.[3] 주한미군은 2013년 6월부터 이 프로그램을 위해 서울 용산, 경기 오산, 평택 등 3곳에 연구소와 병원 등 관련 시설을 설치했다.[4]
3. 3. 탄저균 표본 반입 논란
2015년 4월 29일, 미국 메릴랜드주 엣지우드화생연구소에서 발송된 탄저균 표본(1 ml)과 페스트균 표본(1 ml)이 오산공군기지에 반입되어 실험에 사용되었다.[5]
이 사건은 대한민국 내에서 생물학 무기 실험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켰다. 더불어민주당은 이 사건을 통해 정부의 생물학 무기 감시 체계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며, 국민 안전을 위한 철저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한국, 북한, 미국은 모두 생물무기금지협약 가입국이지만, 상대방이 생물학 무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자국은 생물학 무기를 보유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3. 4. 생물무기금지협약 관련 입장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국은 모두 생물무기금지협약(BWC) 가입국이다. 그러나 각국은 서로 상대방이 생물학 무기를 보유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자국은 생물학 무기를 보유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3][4][5]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북한의 생물학 무기 개발 의혹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하며,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통해 북한의 비핵화 및 생물학 무기 폐기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참조
[1]
웹사이트
Chemical Biological Center
https://web.archive.[...]
2020-02-20
[2]
웹사이트
Edgewood Chemical Biological Center (ECBC - US Army) - Scientist.com
https://app.scientis[...]
2020-02-20
[3]
뉴스
"[단독] 미군, 생물학전 물질 관련 답변 회피…국방부 ‘깜깜이’"
http://www.hani.co.k[...]
한겨레
2015-06-04
[4]
뉴스
"'탄저균 배달사고'…재발방지 핵심 'SOFA 개정'에 쏠리는 시선"
http://www.asiatoday[...]
아시아투데이
2015-06-01
[5]
뉴스
주한미군 탄저균, 용산기지에도 반입됐다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15-12-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