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울마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울마자는 4월과 5월 사이 수온이 20°C로 오르는 시기에 산란하며, 약 0.6mm 크기의 알을 낳는다. 배란된 알은 수정 후 15분 만에 크기가 팽창하고, 30분 후 배엽이 형성된다. 22시간 후 뼈가 형성되고, 31시간 후 심장이 형성되며, 부화까지 72시간이 걸린다. 부화한 여울마자는 몸이 휘어져 있다가 24시간 후 펴지고, 부화 후 3일까지 난황에서 영양분을 얻은 후 먹이 활동을 시작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9년 기재된 물고기 - 인도네시아실러캔스
인도네시아실러캔스는 1997년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섬에서 발견된 *Latimeria menadoensis*라는 학명의 실러캔스 종으로, 코모로실러캔스와 유사하지만 갈색을 띠며 최대 1.4m까지 성장하고 심해에 서식하며 난태생으로 번식하는 것으로 추정되나 개체 수와 서식지 제한으로 취약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모래주사속 - 배가사리
- 모래주사속 - 돌마자
돌마자는 맑은 물에 서식하는 물고기로, 몸길이 5~10cm의 원통형 몸에 등쪽은 갈색 또는 청갈색, 배쪽은 하얀색을 띠며, 5~6월 산란기에 주황색으로 변하고 낙동강, 영산강, 남강 유역에 분포한다. - 한국의 물고기 - 멸치
멸치는 청어목 멸치과의 바닷물고기로, 10~20cm 정도 크기에 푸른 회색 등과 은백색 배를 가지며,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고 칼슘이 풍부하며 어획량이 많아 낚시 미끼나 비료로도 사용된다. - 한국의 물고기 - 뱀장어
뱀장어는 뱀장어목 뱀장어과에 속하는 민물고기로, 원통형 몸에 미끈한 피부를 가지며, 배지느러미가 없고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가 연결된 형태를 가지며, 산란 후 죽고,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되었으며, 동아시아에서 식용으로 양식된다.
여울마자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학명 | Microphysogobio rapidus |
명명자 | Chae & Yang, 1999 |
이명 | 해당사항 없음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기어류강 |
목 | 잉어목 |
과 | 잉어과 |
아과 | 모래무지아과 |
속 | 모래주사속 |
종 | 여울마자 |
보존 상태 | |
IUCN | 위급 (CR) |
대한민국 환경부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
추가 정보 | |
FishBase | http://www.fishbase.org/summary/Microphysogobio-rapidus.html |
참고 문헌 | http://fishkorea.or.kr/bbs/board.php?bo_table=3_2_1_1&wr_id=1286&sca=2015&page=2&sca=2015 |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 http://species.nibr.go.kr/home/mainHome.do?cont_link=showSpeciesDetail&spuid=120000057589 |
2. 생태
여울마자는 4월과 5월 중 수온이 20°C로 오르는 시기에 산란한다. 알은 물을 흡수하여 수정 15분 후 1.1mm~1.2mm 크기로 팽창하며, 부화까지는 72시간이 걸린다.[5] 부화 후 3일이 지나면 난황이 흡수되고 입과 항문이 열려 먹이활동을 시작한다.[5]
2. 1. 산란
여울마자는 4월과 5월 사이 수온이 20°C에 도달하면 산란을 시작한다. 부화 후 24시간이 지나면 몸이 일자로 펴지고 몸길이가 약 3.6mm에 이르게 된다. 부화 후 3일까지는 난황에서 영양분을 얻다가 이후에는 난황이 흡수되고 입과 항문이 열려 먹이활동을 시작한다.[5]2. 1. 1. 산란 과정
배란된 알은 물을 흡수하여 수정 15분 후 1.1 ~ 1.2mm 크기로 팽창한다. 수정된 알은 약 0.6mm이다.[5] 수정 후 30분 정도 되었을 때에는 배엽이 형성되고, 1시간 20분 이후부터는 15분마다 세포가 2배씩 분열한다. 수정 후 22시간이 지나면 뼈 형성이 모두 완료되고 알의 난황과 꼬리가 분리되어 알 안에서 헤엄치게 된다. 31시간 뒤에는 심장이 형성되며 부화까지는 72시간이 걸린다.[5]2. 2. 부화
여울마자는 4월과 5월 중 수온이 20°C로 오르는 시기에 약 0.6mm의 알을 낳는다. 배란된 알은 물을 흡수하여 수정 15분 후 1.1~1.2mm 크기로 팽창한다. 30분 정도 되었을 때에는 배엽이 형성되고, 1시간 20분 후부터는 15분마다 세포가 2배씩 분열한다. 수정 후 22시간이 지나면 뼈 형성이 완료되고 알의 난황과 꼬리가 분리되어 알 안에서 헤엄치게 된다. 31시간 뒤에는 심장이 형성되며, 수정 후 약 72시간이 지나면 부화한다.[5]2. 2. 1. 부화 후 성장
부화한 여울마자는 몸이 휘어져 있는데, 부화 후 24시간이 지나면 몸이 일자로 펴지고 몸길이가 약 3.6mm에 이르게 된다.[5] 부화 후 3일까지는 난황에서 영양분을 얻다가, 3일 이후에는 난황이 흡수되고 입과 항문이 열려 먹이 활동을 시작한다.[5]참조
[1]
간행물
"''Microphysogobio rapidus''"
[2]
FishBase
[3]
간행물
"''Microphysogobio rapidus''"
[4]
문서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5]
논문
멸종위기어류 여울마자 Microphysogobio rapidus (Cyprinidae)의 난 발생 및 초기생활사
http://fishkorea.or.[...]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