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여자 400m 달리기 세계 기록 추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자 400m 달리기 세계 기록 추이는 1957년부터 시작되어, 1974년까지 수 차례 갱신되었다. 1957년 말린 매튜스, 머리스 체임벌린, 낸시 보일, 폴리나 라자레바가 기록을 세웠고, 마리야 이트키나는 1957년 54초 0, 1959년과 1962년에 53초 4로 자신의 기록을 경신했다. 1962년 신금단은 아시아 선수 최초로 세계 기록을 세웠으며, 이후 니콜 뒤클로, 콜레트 베송, 마릴린 노빌, 모니카 체르트가 기록을 갱신했다. 1974년 이레나 슈비에진스카는 49초 9를 기록하며 50초 벽을 깼다. 1975년부터는 전자 자동 기록이 도입되었으며, 리타 살린의 50초 14가 당시 최고 기록이었다. 이후 크리스티나 브레이머, 이레나 슈비인스카, 마리타 코흐, 야르밀라 크라토흐빌로바가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00미터 달리기 - 남자 400m 달리기 세계 기록 추이
    남자 400m 달리기 세계 기록은 1900년 맥시 롱이 47초 8y로 최초 기록을 세운 이후, 리 에번스, 부치 레이놀즈, 마이클 존슨을 거쳐 2016년 웨이드 판 니케르크가 43초 03으로 현재까지 보유하고 있다.
  • 육상 경기 세계 기록 추이 - 여자 100m 달리기 세계 기록 추이
    여자 100m 달리기 세계 기록 추이는 국제 육상 경기 연맹이 공식적으로 인정한 여자 육상 100m 달리기 세계 기록의 변천사를 다루며, 1988년 플로렌스 그리피스 조이너가 세운 기록은 도핑 문제와 기록의 진정성에 대한 논란을 야기했다.
  • 육상 경기 세계 기록 추이 - 남자 100m 달리기 세계 기록 추이
    남자 100m 달리기 세계 기록은 1912년 국제 육상 경기 연맹이 10초 6을 최초 공인한 이후 여러 선수들에 의해 경신되었으며, 2009년 우사인 볼트가 9초 58의 기록으로 현재까지 세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스포츠에 관한 - 카이트서핑
    카이트서핑은 연과 보드를 사용하여 바람의 힘으로 물 위를 활강하는 수상 스포츠로, 다양한 스타일이 있으며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세계적인 스포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스포츠에 관한 - 양궁
    양궁은 활과 화살로 표적을 맞히는 스포츠로, 선사 시대부터 무기로 사용되다가 1538년 영국에서 스포츠로 발전하여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1950년대 말부터 시작되어 국제 대회에서 경기가 열린다.
여자 400m 달리기 세계 기록 추이
여자 400m 달리기 세계 기록 추이
여자 400m 세계 기록 진행 상황 그래프
여자 400m 세계 기록 진행 상황 그래프
주요 정보
종목육상
세부 종목400m 달리기
성별여자
기록
현재 기록47.60초
기록 보유자마리타 코흐
날짜1985년 10월 6일
장소오스트레일리아, 캔버라

2. 1957년 ~ 1974년 기록

1957년 1월 6일 말린 매튜스(오스트레일리아)가 57초 0(440야드)을 기록한 것을 시작으로,[2][1] 같은 해 2월 16일 머리스 체임벌린(뉴질랜드)이 57초 0(440야드)으로 동률을 이루었다.[2][1] 8일 뒤, 낸시 보일(오스트레일리아)은 56초 3(440야드)로 기록을 단축했다.[2][1] 이후 폴리나 라자레바(소련)가 55초 2를 기록하며 400m 달리기의 첫 세계 기록을 세웠다.[2][1]

마리야 이트키나(소련)는 1957년 54초 0을 기록한 이후, 1959년과 1962년에 각각 53초 4로 자신의 기록을 두 차례 경신했다.[2][1] 1962년에는 신금단(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51초 9를 기록하며 아시아 선수 최초로 세계 기록을 세웠다.[2][1]

1969년 니콜 뒤클로(프랑스)와 콜레트 베송(프랑스)이 51초 7로 공동 세계 기록을 세웠고,[2][1] 1970년 마릴린 노빌(자메이카)과 1972년 모니카 체르트(동독)가 각각 51초 0을 기록했다.[2][1] 1974년 이레나 슈비에진스카(폴란드)는 49초 9를 기록하며 50초 벽을 깼다.[2][1]

2. 1. 주요 선수 및 기록

1957년 1월 6일 말린 매튜스(오스트레일리아)가 57초 0(440야드)을 기록한 것을 시작으로,[2][1] 같은 해 2월 16일 마리스 챔벌레인(뉴질랜드)이 57초 0(440야드)으로 동률을 이루었다.[2][1] 8일 뒤, 낸시 보일(오스트레일리아)은 56초 3(440야드)로 기록을 단축했다.[2][1] 이후 폴리나 라자레바(소련)가 55초 2를 기록하며 400m 달리기의 첫 세계 기록을 세웠다.[2][1]

마리야 이트키나(소련)는 1957년 54초 0을 기록한 이후, 1959년과 1962년에 각각 53초 4로 자신의 기록을 두 차례 경신했다.[2][1] 1962년에는 신금단(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51초 9를 기록하며 아시아 선수 최초로 세계 기록을 세웠다.[2][1]

1969년 니콜 뒤클로(프랑스)와 콜레트 베송(프랑스)이 51초 7로 공동 세계 기록을 세웠고,[2][1] 1970년 마릴린 노빌(자메이카)과 1972년 모니카 체르트(동독)가 각각 51초 0을 기록했다.[2][1] 1974년 이레나 슈비인스카(폴란드)는 49초 9를 기록하며 50초 벽을 깼다.[2][1]

3. 1975년 이후 기록

국제 육상 경기 연맹(IAAF)은 1975년부터 400m 이하의 경기에 대해 별도의 전자 자동 기록을 인정했다. 1977년 1월 1일부터는 1/100초까지 측정이 가능한 전자동 타이밍을 요구했다.[2]

당시 최고 기록은 리타 살린이 1974년에 세운 50초 14였다.

기록선수나라날짜개최지기타
50초 14리타 살린1974년 9월 4일 로마[2]
49초 77크리스티나 브레이머1976년 5월 9일 드레스덴[2]
49초 75이레나 슈비인스카1976년 6월 22일 비드고슈치[2]
49초 29이레나 슈비인스카1976년 7월 29일 몬트리올1976년 하계 올림픽 육상 [2]
49초 19마리타 코흐1978년 7월 2일 라이프치히[2]
49초 03마리타 코흐1978년 8월 19일 포츠담[2]
48초 94마리타 코흐1978년 8월 31일 프라하1978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2]
48초 89마리타 코흐1979년 7월 29일 포츠담[2]
48초 60마리타 코흐1979년 8월 4일 토리노[2]
48초 16마리타 코흐1982년 9월 8일 아테네[2]
47초 99야르밀라 크라토흐빌로바1983년 8월 10일 헬싱키[2]
47초 60마리타 코흐1985년 10월 6일 캔버라[2]


3. 1. 전자 계시 도입

국제 육상 경기 연맹은 1975년부터 400m 달리기 종목에서 자동 전자 계시를 시행했고, 1977년 1월 1일부터는 1/100초까지 전자동 계시를 요구했다.[1] 당시 최고 기록은 리타 살린이 1974년에 세운 50초 14였다.[1]

3. 2. 주요 선수 및 기록

국제 육상 경기 연맹은 1975년부터 400m 달리기의 전자 자동 기록을 별도로 인정했고, 1977년 1월 1일부터는 1/100초까지 측정 가능한 전자동 타이밍을 요구했다.[1] 당시 최고 기록은 리타 살린이 1974년에 세운 50초 14였다.[1]

크리스티나 브레머(동독)는 1976년 5월 9일 드레스덴에서 49초 77을 기록했다.[2] 이레나 슈비인스카(폴란드)는 1976년 6월 22일 비드고슈치에서 49초 75를 기록했고,[2] 같은 해 7월 29일 1976년 하계 올림픽 육상에서 49초 29로 자신의 기록을 경신했다.[2]

마리타 코흐(동독)는 1978년 7월 2일 라이프치히에서 49초 19를 기록한 이후,[2] 같은 해 8월 19일 포츠담에서 49초 03,[2] 8월 31일 1978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48초 94,[2] 1979년 7월 29일 포츠담에서 48초 89,[2] 8월 4일 토리노에서 48초 60,[2] 1982년 9월 8일 아테네에서 48초 16,[2] 1985년 10월 6일 캔버라에서 47초 60을 기록하며 세계 기록을 연이어 경신했다.[2]

야르밀라 크라토흐빌로바(체코슬로바키아)는 1983년 8월 10일 헬싱키에서 47초 99를 기록했다.[2]

4. 한국 육상에 미친 영향

5. 참고 사항

참조

[1] 웹사이트 12th IAAF World Championships In Athletics: IAAF Statistics Handbook. Berlin 2009. http://www.iaaf.org/[...] IAAF Media & Public Relations Department 2009-08-02
[2] 웹인용 12th IAAF World Championships In Athletics: IAAF Statistics Handbook. Berlin 2009. http://www.iaaf.org/[...] IAAF Media & Public Relations Department 2009-0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