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도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도분은 작은 돌과 거석으로 건설된 고대 무덤의 한 유형이다. 통로를 통해 해가 방 안으로 비추도록 정렬되거나 언덕이나 산 꼭대기에 건설되기도 했다. 내부 구조는 매장 수와 형태에 따라 다양하며, 십자형 통로 무덤과 같은 레이아웃이 존재한다. 연도분은 브르타뉴 지방에서 시작되어 아일랜드 등 유럽 대서양 연안 지역으로 퍼져나갔으며, 아일랜드와 영국에서는 대규모 군집을 이루는 경우가 많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거석기념물 - 모아이
    모아이는 이스터 섬의 폴리네시아인들이 1250년에서 1500년 사이에 제작한 거대한 석상으로, 고인 조상 숭배를 나타내며 아후에 세워졌을 때 강력한 생존자나 족장, 혈통 지위의 상징으로 여겨졌을 가능성이 있다.
  • 거석기념물 - 사슴돌
    사슴돌은 유라시아 지역, 특히 몽골에서 발견되는 기원전 10~6세기의 기념물로, 동물, 무기, 도구 등의 문양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카라숙 문화의 영향을 받아 종교적 또는 샤머니즘적 의식과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연도분
정의
정의갱도식 돌방무덤을 의미하며, 주로 신석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에 만들어짐.
특징통로가 있는 무덤으로, 덮개돌이 있는 하나 이상의 방으로 구성됨.
동의어통로 무덤, 갤러리 무덤, 상자 무덤, 돌 상자 무덤 등으로 불림.
명칭
영어Passage grave (패시지 그레이브)
일본어羨道墳 (센도훈)
한국어연도분 (羨道墳)
유형
형태단순한 형태: 짧은 통로와 하나의 방으로 구성
복잡한 형태: 여러 개의 방과 긴 통로로 구성
지역별 유형브르타뉴: 팔이 달린 무덤(무덤의 통로가 측면에서 이어짐)
아일랜드: 십자형 방이 있는 무덤 (예: 뉴그레인지)
기타 유형언덕이 있는 무덤
언덕이 없는 무덤
구조
덮개돌큰 돌판으로 무덤의 방을 덮음.
통로무덤의 입구에서 방으로 이어지는 통로.
시신이나 유물을 안치하는 공간. 하나 또는 여러 개로 구성될 수 있음.
분포 지역
유럽서유럽과 북유럽에 널리 분포함.
주요 지역아일랜드
영국
프랑스
스칸디나비아
이베리아 반도
기타 지역한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도 발견됨.
연대
시기신석기 시대 후기 ~ 청동기 시대
특징기원전 4천년기부터 건설되기 시작함.
용도
장례시신 매장 및 조상 숭배 의식.
기타사회적, 종교적 기능 수행.
예시
브루 너 보너 (아일랜드)뉴그레인지
나우스
다우스
카르나크 열석 (프랑스)다양한 형태의 연도분이 존재함.
기타전 세계 다양한 지역에서 발견되는 유사한 형태의 무덤들.
참고 문헌
서적Daniel, Glyn (1950). *The Prehistoric Chamber Tombs of England and Wal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Renfrew, Colin (1979). *Before Civilisation*. Jonathan Cape.
관련 용어
관련 용어고인돌
돌무지 무덤
석관묘

2. 건설 및 설계

통로 무덤은 일반적으로 작은 돌과 거석을 함께 사용하여 건설되었다. 초기 통로 무덤은 작은 돌멘 형태를 띠었으나, 모든 돌멘이 통로 무덤은 아니다. 후대의 많은 통로 무덤은 언덕이나 산 꼭대기에 건설되었는데, 이는 건설자들이 멀리서도 무덤을 볼 수 있도록 의도했음을 나타낸다.

2. 1. 정렬

통로 자체는 일 년 중 중요한 시점, 종종 동지의 일출이나 춘분의 일몰에 해가 통로를 통과하여 방 안으로 비추도록 정렬되어 있다.

2. 2. 내부 구조

통로 무덤의 내부는 매장 수, 형태 등 여러 면에서 다양하다. 여러 개의 방이 있는 경우, 주 매장실에서 갈라져 나오는 하위 방들이 있을 수 있다. 일부 유적에서는 돌에 새겨진 선사 시대 미술이 확인되었다.[1] 모든 통로 "무덤"에서 매장 용도로 사용되었다는 증거가 발견된 것은 아닌데, 메스호가 그러한 예시 중 하나이다.[1]

2. 2. 1. 십자형 통로무덤

통로 무덤의 내부는 매장 수, 형태 등 여러 면에서 다양하다. 여러 개의 방이 있는 경우, 주 매장실에서 갈라져 나오는 여러 개의 하위 방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인 내부 레이아웃 중 하나인 십자형 통로 무덤은 십자형 구조를 띠지만, 기원전 시대 이전의 것이므로 기독교와는 관련이 없다.[1] 일부 통로 무덤은 돌무더기로 덮여 있는데, 이 유형은 종종 단순한 판석 대신 정교한 내쌓기 아치 지붕을 가지고 있다.[1]

2. 3. 지붕 및 장식

일부 통로무덤은 돌무더기로 덮여 있으며, 돌무더기 유형의 통로 무덤은 종종 단순한 판석 대신 정교한 내쌓기 아치 지붕을 가진 경우도 있다. 일부 유적에서는 돌에 새겨진 선사 시대 미술이 발견되기도 한다.[1]

3. 기원 및 분포

통로무덤의 전통은 프랑스 브르타뉴 지방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브르타뉴 출신 식민지인들에 의해 아일랜드 등 다른 지역으로 전파되었다.[2]

1961년 아일랜드의 거석 묘 조사에서 아일랜드 학자 숀 오 누알라(Seán Ó Nualláin)와 루아드리 데 발레라(Rúaidhrí de Valera)는 거석 묘를 코트 케언, 포털 돌멘, 쐐기형 갤러리 묘, 그리고 통로무덤의 네 가지 범주로 설명했다.[3] 이는 이 용어가 처음 사용된 사례 중 하나로 보인다. 이 용어는 스페인어 'tumbas de corredor'(corridor tombs, "복도 묘")에서 차용한 것으로 보이는데, 칸타브리아, 갈리시아, 바스크 지방의 무덤에 사용된다. 아일랜드의 거석 묘 중에서 통로무덤만이 유럽 전역에 널리 분포하는 것으로 보인다.

3. 1. 유럽 전역의 분포

통로 묘는 유럽 대서양 연안 지역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 아일랜드, 영국, 스칸디나비아, 북부 독일네덜란드의 드렌테 지역에서 발견된다. 또한 이베리아 반도, 지중해의 일부 지역, 아프리카 북부 해안에서도 발견된다. 아일랜드와 영국에서는 통로 묘가 종종 대규모 군집을 이루며 발견되어 통로 묘 묘지라는 용어가 생겨났다.[3]

3. 2. 아일랜드와 영국의 통로무덤

브르타뉴에서 시작된 것으로 여겨지는 통로 묘의 전통은 브르타뉴에서 온 식민지인들에 의해 아일랜드와 같은 다른 지역으로 전파되었다.[2] 아일랜드영국에서는 통로 묘가 종종 대규모 군집을 이루며 발견되어 '통로무덤 묘지'라는 용어가 생겨났다.

참조

[1] 문서 More technically called a tumulus, and also referred to as a barrow.
[2] 간행물 Megaliths and Megalomania: An account and interpretation of the development of passage tombs in Ireland.
[3] 서적 Survey of the Megalithic Tombs of Ireland Ordnance Survey (Irelan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