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습은 기술 습득, 운동 능력 향상, 예술 공연 준비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수행되는 행위이다. 연습의 효과는 빈도와 피드백에 따라 달라지며, 의도적인 연습은 특정 분야의 숙련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의도적 연습은 기술을 세분화하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으며, 더 어려운 연습을 지속하는 것을 포함한다. 심리학자 안데르스 에릭손은 전문가와 일반인의 차이가 장기간의 의도적 연습의 결과라고 주장하며, 앤젤라 더크워스는 그릿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하지만 의도적 연습만으로는 높은 성과를 설명하기 어렵다는 비판도 존재하며, 재능과 동기 부여의 역할도 중요하게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재주 - 능력
능력은 일 수행에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기술적 기능뿐 아니라 의사소통, 문제 해결 등의 다양한 역량을 포함하며, 개인의 성장과 사회 발전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 재주 - 분석
분석은 대상의 내용을 구성 요소로 나누어 속성, 관계 등을 밝히는 방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사회과학에서는 사실 해명적 분석과 규범적 분석으로 나뉜다. - 학습 방법 - 과외
과외는 학업 능력 향상이나 특정 기술 습득을 위해 학교 교육 외에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 활동으로,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과 긍정적 자아 개념 형성에 기여하며 대한민국에서는 대학 입시를 위한 사교육 형태로 널리 행해지고 있고 과외 관리 시스템을 통해 효율적으로 관리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 학습 방법 - 잠재학습
잠재학습은 명확한 보상이나 처벌 없이 환경 정보를 습득하는 학습으로, 즉각적인 결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인지적 요인이 중요하고, 쥐의 미로 실험과 유아의 모방 행동 연구를 통해 특성이 밝혀졌으며 특정 물질과 뇌 신경 물질의 영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연습 | |
---|---|
개요 | |
유형 | 학습 방법 |
목적 | 기술 또는 행동의 개선 |
관련 용어 | 반복 훈련 시뮬레이션 역할극 암기 |
상세 내용 | |
설명 | 연습은 기술이나 행동을 개선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행위이다. |
방법 | 연습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특정 기술이나 행동을 완벽하게 습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효과 | 연습은 기술이나 행동을 더욱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다. |
예시 | |
악기 연주 | 악기 연주는 연습을 통해 기술을 향상시키는 대표적인 예시이다. |
스포츠 | 스포츠 또한 기술 연마를 위해 꾸준한 연습이 필요하다. |
외국어 학습 | 외국어 학습은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어휘력과 문법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심리학적 관점 | |
숙달 | 연습은 심리학적으로 숙달을 위한 중요한 요소로 간주된다. |
신경 가소성 | 반복적인 연습은 뇌의 신경 연결을 변화시켜 학습 효과를 높인다. |
교육학적 관점 | |
능동적 학습 | 연습은 능동적 학습의 중요한 요소로, 학습자가 직접 참여하여 지식을 습득하도록 돕는다. |
피드백 | 연습 과정에서 피드백은 학습자가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개선하도록 돕는다. |
2. 연습의 일반적인 유형
연습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일반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악기 연주 (연주 기술)
- 운동, 팀 성과 개선
- 공연 예술
- 읽기, 쓰기, 대인 커뮤니케이션, 타이핑, 문법, 철자법
- 새로운 기술, 기술 유지
- 무술 (형, 스파링)
- 직업 관련 업무 (예: POS 시스템을 사용하는 계산원)
연습 효과는 빈도와 피드백에 따라 달라진다.[23] 적절한 피드백이 없으면 연습은 비효율적이거나 학습에 해로울 수 있다. 충분히 연습하지 않으면 내용을 잊게 되므로, 계획을 세워 충분히 연습해야 한다. 필요한 훈련량은 활동과 개인에 따라 다르다. 지시가 있는 연습은 간단한 정보는 1번, 개념은 3번 반복하면 효과적이지만, 춤 동작은 여러 번 훈련해야 할 수 있다.[23]
플로리다 주립 대학교 심리학 교수 안데르스 에릭손은 의도적 연습 연구의 선구자이다. 그는 전문가와 일반인의 차이는 장기간의 의도적 연습에 있다고 주장한다.[24] 전문가는 기술을 세분화하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으며 훈련 중 기술 향상에 집중한다. 또한, 더 어려운 연습을 계속하는 것이 중요하다.[25] 조프 콜빈, 대니얼 코일, 앤젤라 더크워스, 말콤 글래드웰 등도 의도적 연습을 다룬다.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의 두 논문은 의도된 연습을 비판하며, 높은 성과에는 재능도 중요하다고 주장한다.[31][32] 한 메타분석에서 의도된 연습과 성과 간 상관계수는 0.40으로, 다른 예측변수보다 크다.[33] 말콤 글래드웰은 안데르스 에릭손과 달리 연습, 재능, 지원 시스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2. 1. 악기 연주

악기 연주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습에는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방법이 있다.
- 악기 연주법을 배우기 위해 (연주 기술)
연습을 통해 얼마나 향상되는지는 연습 빈도와 개선을 위해 사용 가능한 피드백 유형과 같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피드백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강사 또는 정보 소스에 대한 자기 참조로부터) 연습은 비효율적이거나 학습에 해로울 수도 있다. 학생이 충분히 자주 연습하지 않으면 강화가 약해지고 배운 내용을 잊어버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훈련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충분한 연습을 수행하도록 연습 일정을 자주 잡는다. 얼마나 많은 연습이 필요한지는 활동의 성격과 개인에 따라 다릅니다. 어떤 사람들은 특정 활동에서 다른 사람들보다 더 빨리 향상된다. 교육 환경에서의 연습은 1번(일부 간단한 언어 정보의 경우) 또는 3번(개념의 경우)만 반복하면 효과적이거나 평가 전에 여러 번 연습할 수 있다(댄스 동작).[23]
플로리다 주립 대학교(Florida State University) 심리학 교수인 안데르스 에릭손은 의도적 연습 연구의 선구자이다. 에릭슨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People believe that because expert performance is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normal performance the expert performer must be endowed with characteristics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those of normal adults. ... We agree that expert performance is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normal performance and even that expert performers have characteristics and abilities that are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or at least outside the range of those of normal adults. However, we deny that these differences are immutable, that is, due to innate talent. Only a few exceptions, most notably height, are genetically prescribed. Instead, we argue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expert performers and normal adults reflect a life-long period of deliberate effort to improve performance in a specific domain.|사람들은 전문가의 수행능력이 일반인의 수행능력보다 질적으로 다르며, 전문 수행자는 일반 성인과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 우리는 전문가의 수행능력이 일반인과는 질적으로 다르며 전문가는 일반 성인과 질적으로 다르거나 성인들을 넘어서는 성격과 능력이 있다는 것에 동의한다. 그러나 우리는 이런 차이가 불변하다는 것 다시 말해 천부적 재능(innate talent) 때문이라는 것은 부정한다. 일부 예외, 특히 키(height)와 같은 것만이 유전된다. 대신 우리는 전문가와 일반인의 차이는 특정 영역에서의 성과 향상에 필요한 의도적 연습을 장기간 한 것에 있다고 말한다.영어[24]
에릭슨의 핵심 주장은 어느 한 기술(skill)에 대해 얼마나 전문적인지는 단지 많이 기술을 연마하는 것보다는 어떻게 연습하는지에 관련이 더 높다는 것이다. 전문가는 전문가가 되는데 필요한 기술들을 분해하고, 가끔씩 즉각적인 코칭 피드백을 병행하면서도 훈련이나 일상 활동 중에 이러한 기술들을 향상시키는데 집중한다. 의도적 연습의 또 다른 중요성은 통달하겠다는 의지를 가지고 더 난도 높은 연습을 계속 수행하는 것이다.[25] 조프 콜빈(Geoff Colvin)의 책 ''Talent is Overrated''에는 의도적 연습에 대해 언급되어 있다.[26] 대니얼 코일(Daniel Coyle)의 ''The Talent Code'',[27] 앤젤라 더크워스(Angela Duckworth)의 ''Grit: The Power of Passion and Perseverance,''[28] 말콤 글래드웰(Malcolm Gladwell)의 ''Outliers: The Story of Success,''도 이에 해당한다.[29]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에서의 두 글은 의도된 연습(deliberate practice)을 비판하고, 높은 성과를 보여야 할 때에도 연습으로는 불충분하고 재능(talent)도 중요한 요소라고 주장하였다.[31][32] 최근 한 메타분석에서는 의도된 연습과 성과 간의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가 0.40인데, 이는 다른 예측변수(predictor variable) (예 : 비만, 과음, 흡연, 지능, 약물중독)에 비해 큰 것이다.[33] 또한 말콤 글래드웰(Malcolm Gladwell)의 의도된 연습에 대한 관점은 안데르스 에릭손과는 다르다. ''The New Yorker'' 잡지 작가이자 뉴욕 타임즈 베스트셀러 리스트(The New York Times Best Seller list)에 다섯 권을 올린 작가로, 대표작 ''Outliers: The Story of Success''이 있다. 그는 2016년 5월 프레이코노믹스(Freakonomics) 팟캐스트 인터뷰에서 "그(에릭슨)는 강한 연습쟁이(hard practice guy)이고, 나는 부드러운 연습쟁이(soft practice guy)이다"고 말했다. 글래드웰은 연습에 전념하는 것과 함께 재능이 중요하며, 지지해 주는 시스템이 있는 것은 탁월한 결과물을 낳는데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그의 주장은 에릭슨의 주장만큼 체계적인 노력(methodical effort)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2. 2. 스포츠 및 운동
운동이나 팀의 기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습이 활용된다.[23] 연습을 통해 얼마나 향상되는지는 연습 빈도와 피드백 유형과 같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강사나 정보 소스를 통한 자기 참조로부터 피드백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 연습은 비효율적이거나 학습에 해로울 수 있다. 학생이 충분히 자주 연습하지 않으면 학습 내용이 약화되고 잊어버릴 수 있다. 따라서 훈련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충분한 연습을 수행하도록 연습 일정을 자주 잡아야 한다. 얼마나 많은 연습이 필요한지는 활동의 성격과 개인에 따라 다르며, 어떤 사람들은 특정 활동에서 다른 사람들보다 더 빨리 향상되기도 한다.2. 3. 공연 예술
공연 예술 분야에서 무대 공연을 준비하기 위해 연습을 한다.[23] 연습은 공연의 완성도를 높이고, 무대에서의 실수를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4. 학업 능력 향상
악기 연주, 읽기, 쓰기, 대인 커뮤니케이션, 타이핑, 문법, 철자법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습이 필요하다.[23]연습 효과는 빈도와 피드백에 따라 달라진다.[23] 외부 지시나 자기 참조 자료로부터 적절한 피드백이 없으면 연습은 비효율적이거나 학습에 해로울 수 있다. 충분히 연습하지 않으면 내용을 잊게 되므로, 계획을 세워 충분히 연습해야 한다. 필요한 훈련량은 활동과 개인에 따라 다르다. 지시가 있는 연습은 간단한 정보는 1번, 개념은 3번 반복하면 효과적이지만, 춤 동작은 여러 번 훈련해야 할 수 있다.[23]
플로리다 주립 대학교 심리학 교수 안데르스 에릭손은 의도적 연습 연구의 선구자이다. 그는 전문가와 일반인의 차이는 장기간의 의도적 연습에 있다고 주장한다.[24] 즉, 전문성은 연습 방법에 더 관련이 높다. 전문가는 기술을 세분화하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으며 훈련 중 기술 향상에 집중한다. 또한, 더 어려운 연습을 계속하는 것이 중요하다.[25] 조프 콜빈의 ''Talent is Overrated''[26], 대니얼 코일의 ''The Talent Code''[27], 앤젤라 더크워스의 ''Grit: The Power of Passion and Perseverance''[28], 말콤 글래드웰의 ''Outliers: The Story of Success''[29] 등에서도 의도적 연습을 다룬다.
더크워스는 의도적 연습이 교육, 동기,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언급하며, 어려움 속에서도 인내하고 성공하게 하는 그릿의 중요성을 강조한다.[28][30] 그릿을 학업에 적용하면 노력이 증가하고, 학업 성취에 노력이 재능만큼 중요하다고 말한다. National Spelling Bee 연구에서 그릿을 사용한 학생들이 결승에 진출했다.[30]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의 두 논문은 의도된 연습을 비판하며, 높은 성과에는 재능도 중요하다고 주장한다.[31][32] 한 메타분석에서 의도된 연습과 성과 간 상관계수는 0.40으로, 다른 예측변수보다 크다.[33] 말콤 글래드웰은 안데르스 에릭손과 달리 연습, 재능, 지원 시스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2. 5. 직무 기술 숙달
직업 관련 업무 숙달을 위한 연습의 예시로는 POS 시스템을 사용하는 계산원이 능숙하게 시스템을 다루기 위해 반복 연습하는 것이 있다.[23]
연습 효과는 연습 빈도, 피드백 유형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강사나 정보 소스를 통한 자기 참조로부터 적절한 피드백이 없으면 연습은 비효율적이거나 학습에 해로울 수 있다. 충분히 연습하지 않으면 학습 내용이 약화되어 잊어버릴 수 있으므로, 훈련 목표 달성을 위해 충분한 연습을 하도록 연습 일정을 자주 잡는 것이 중요하다.[23]
필요한 연습량은 활동 성격과 개인에 따라 다르다. 어떤 사람들은 특정 활동에서 다른 사람들보다 빠르게 향상된다. 교육 환경에서 연습은 간단한 언어 정보의 경우 한 번, 개념의 경우 세 번 반복하면 효과적일 수 있으며, 댄스 동작과 같이 평가 전에 여러 번 연습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23]
2. 6. 무술 수련
무술 수련에는 형과 스파링과 같은 일반적인 형태가 있다.[23] 연습을 통해 기량이 얼마나 향상되는지는 연습 빈도와 개선을 위해 사용 가능한 피드백 유형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23]
3. 의도적 연습 (Deliberate Practice)
플로리다 주립 대학교 심리학 교수 안데르스 에릭손은 의도적 연습 연구의 선구자이다. 에릭손은 전문가의 수행 능력이 일반인의 수행 능력과 질적으로 다르지만, 이것이 타고난 재능 때문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대신 전문가와 일반인의 차이는 특정 분야에서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기간의 의도적인 노력의 결과라고 보았다.[24]
에릭슨은 기술 숙련도가 단순히 많은 횟수로 기술을 수행하는 것보다 어떻게 연습하느냐에 더 큰 관련이 있다고 강조한다. 전문가는 전문가가 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을 세분화하고, 연습이나 일상 활동 중에 이러한 기술을 개선하는 데 집중하며, 종종 즉각적인 코칭 피드백을 받는다. 의도적인 연습의 또 다른 중요한 특징은 숙달을 목표로 더 도전적인 수준에서 지속적으로 기술을 연습하는 것이다.[25]
의도적 연습에는 다음이 포함될 수 있다.
- 악기 연주
- 운동, 팀 성과 개선
- 예술 공연 준비
- 읽기, 쓰기, 대인 소통, 타이핑, 문법, 철자법 개선
- 새로 획득한 스킬 및 스킬 유지
- 무술 학습
- 직업 관련 업무 숙달
연습으로 얼마나 향상될지는 빈도와 피드백에 달려있다. 외부 지시자나 스스로 자료를 찾는 자기 참조로부터 적절한 피드백을 받지 못하면, 연습은 비효율적이거나 학습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충분히 연습하지 않으면 보강한 것은 사라지고 배운 것을 잊게 된다.[23]
앤젤라 더크워스는 의도적 연습이 교육, 동기 부여,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언급한다.[28] 2014년 미국 교육 연구 학술회(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Conference)에서 더크워스는 학생들이 노력하는 데 사용하는 도구에 집중하는 그릿의 중요성에 대해 말했다. 더크워스는 그릿이 학생이 고난을 겪는 상황에서 인내하고 성공하게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학업 성취에 있어 노력이 재능만큼 중요하다고 말한다.[30]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의 두 논문은 의도된 연습을 비판하며, 높은 성과를 보여야 할 때에도 연습으로는 불충분하고 재능도 중요한 요소라고 주장하였다.[31][32] 최근 메타분석에서는 의도된 연습과 성과 간 상관계수가 0.40으로, 다른 예측 변수에 비해 크다.[33] 말콤 글래드웰의 의도된 연습에 대한 관점은 안데르스 에릭손과 다르다.
행동주의 이론에서는 의도적 연습이 전문가 피드백을 쉽게 받아 성공적인 목표 수행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전문가 피드백은 시행착오에서 유래하는 오류와 좌절을 최소화한다. 인지 이론에서는 탁월한 수행 능력이 오류를 발생시키는 복잡한 과제를 수행하는 것에서 가능하다고 보며, 이러한 오류는 학습자에게 미래 수행의 발판을 제시하는 풍부한 피드백을 제공한다.[34]
3. 1. 의도적 연습의 특징
의도적 연습은 특정 영역에서 전문가 수준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장기간에 걸쳐 수행하는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연습을 의미한다. 안데르스 에릭손 플로리다 주립 대학교 심리학 교수는 의도적 연습 연구의 선구자로, 전문가와 일반인의 차이는 타고난 재능보다는 의도적 연습의 결과라고 주장한다.[24]
에릭슨에 따르면, 의도적인 연습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14]
- 명확한 목표: 과제는 명확한 목표를 가지고 잘 정의되어야 하며, 학습자가 완전히 이해해야 한다.
- 자기 주도적 학습: 학습자는 스스로 과제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 즉각적인 피드백: 학습자는 자신의 수행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어야 하며, 이를 통해 개선에 필요한 변경을 할 수 있어야 한다.
- 반복 훈련: 학습자는 과제 또는 유사한 과제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 교사의 지시: 과제는 교사에 의해 설계되어야 하며, 교사의 명확한 지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연습 세션이 "의도적인" 연습이며, 마지막 기준을 제외한 모든 기준을 따른다면 "목표가 있는 연습"이라고 부른다.
의도적 연습은 다음과 같은 활동을 포함할 수 있다.
- 악기 연주 방법 학습
- 운동, 팀 성과 개선
- 예술 공연 준비
- 읽기, 쓰기, 대인 소통, 타이핑, 문법, 철자법 개선
- 새로 획득한 스킬 개선
- 스킬 유지
- 무술 학습
- 직업 관련 업무 숙달
연습의 효과는 빈도와 피드백에 따라 달라진다. 외부 지시자나 스스로 자료를 찾는 자기 참조를 통해 적절한 피드백을 받지 못하면 연습은 비효율적이거나 학습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충분히 연습하지 않으면 학습한 내용을 잊게 되므로, 연습은 계획을 세워 충분히 수행해야 한다. 필요한 훈련량은 활동 내용과 개인에 따라 다르다.[23]
조프 콜빈의 책 ''Talent is Overrated'',[26] 대니얼 코일의 ''The Talent Code'',[27] 앤젤라 더크워스의 ''Grit: The Power of Passion and Perseverance,''[28] 말콤 글래드웰의 ''Outliers: The Story of Success,''[29] 등에서도 의도적 연습에 대해 다루고 있다.
앤젤라 더크워스는 의도적 연습이 교육, 동기,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언급하며, 학생들이 노력하는 데 사용하는 도구에 집중하는 그릿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학생이 그릿을 학업에 적용하면 노력이 늘고, 이는 학업 성취에 있어 재능만큼 중요하다고 말한다. 워싱턴 D.C.에서 수행된 National Spelling Bee 연구에서 그릿을 사용한 학생들이 결승에 진출하는 경향을 보였다.[30]
한편,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에 게재된 두 편의 글은 의도된 연습만으로는 높은 성과를 보장할 수 없으며, 재능도 중요한 요소라고 주장한다.[31][32] 최근 메타분석에서는 의도된 연습과 성과 간의 상관계수가 0.40으로, 다른 예측 변수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33]
말콤 글래드웰은 안데르스 에릭손과 달리 연습에 전념하는 것과 함께 재능, 지지 시스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체계적인 노력만큼 엄격하게 의도적 연습을 정의하지는 않는다.
3. 2. 1만 시간의 법칙 비판
안데르스 에릭손의 연구에 기반한 말콤 글래드웰의 '1만 시간의 법칙'은 특정 분야에서 전문가가 되려면 1만 시간의 연습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에릭손은 연습의 양보다 질, 즉 '의도성'이 중요하다고 반박한다. 그는 "음악 연주, 체스, 축구와 같은 활동에 단순히 참여하거나 전문적인 직무 활동에 참여하는 시간은 의도적인 연습보다 성과 향상에 훨씬 낮은 이점을 갖는다는 것이 이제 매우 명확해졌다"라고 말한다.[15] 즉, 단순히 시간을 채우는 것이 아니라, 개선점을 찾고 집중적으로 연습하는 '의도적 연습'이 핵심이라는 것이다.''심리학 연구의 현재 방향''에 게재된 두 논문[31][32] 역시 의도적 연습만으로는 높은 성과를 보장할 수 없으며, 재능도 중요한 요소라고 주장한다. 한 메타분석[33]에서는 의도적 연습과 성과의 상관관계가 0.40으로, 다른 예측 변수(비만, 과음, 흡연, 지능, 약물 중독 등)에 비해 높지만, 절대적인 것은 아님을 보여준다.
글래드웰 자신도 에릭손과의 인터뷰에서[29] 자신은 "부드러운 연습"을 지지하며, 재능과 지원 시스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고 밝혔다. 이는 에릭슨이 주장하는 체계적인 노력과는 다소 차이가 있는 관점이다.
3. 3. 행동주의 이론과 인지 이론
행동주의 이론에서는 의도적 연습이 전문가의 피드백을 통해 성공적인 수행을 돕는다고 본다. 전문가의 피드백은 시행착오에서 오는 오류와 좌절을 줄여준다. 행동주의 이론은 정확한 수행에 대한 보상이 꼭 필요하지는 않다고 본다. 정확한 수행과 전문가의 피드백이 결합되면 새로운 수행 과제를 만들고 유지할 수 있게 된다.인지 이론에서는 뛰어난 수행 능력이 복잡한 과제를 수행하며 발생하는 오류로부터 가능하다고 본다. 이러한 오류는 학습자에게 앞으로의 수행에 도움이 되는 풍부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인지 이론은 학습자가 어떻게 전문가, 즉 한 분야의 마스터가 될 수 있는지 설명한다.[34]
3. 4. 동기 부여 (Motivation)
사회문화적 이론에 따르면, 연습 동기는 개인 내부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문화적 맥락과 상호작용한다. 연습하려는 동기는 개인의 특성뿐만 아니라, 개인이 참여하는 활동과 그 맥락에도 영향을 받는다.[16]심리학자 K. 앤더스 에릭슨은 연습 동기 부족 문제를 다루는 이론적 틀을 제시했다. 그는 의도적인 연습이 본질적으로 동기를 부여하지 않으며, 수행 능력 향상에 기여한다고 해도 그 자체로는 보상이나 즐거움을 주지 않기 때문에 자발적으로 시작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3]
에릭슨은 부모가 아이들에게 재미있는 방식으로 활동을 소개하여 흥미를 유발하고, 이를 통해 의도적인 연습을 시작할 수 있다고 보았다. 즉, 의도적인 연습이 시작되기 전에 먼저 기술 향상에 대한 열정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3]
3. 5. 의학 교육에서의 의도적 연습
Duvivier 등은 의도적 연습의 개념을 임상 기술 습득과 관련된 과정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용적인 원칙으로 재구성했다. 그들은 의도적 연습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17]- 의도된 인지적 또는 정신 운동 기술의 반복적인 수행.
- 엄격한 기술 평가
- 구체적인 정보 피드백
- 더 나은 기술 수행
그들은 또한 임상 기술을 성공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기술 개발의 다양한 단계에서 학습자가 보여야 하는 개인적인 기술을 설명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17]
- 계획 (구조적인 방식으로 작업 구성).
- 집중/헌신 (더 높은 주의력)
- 반복/수정 (연습하려는 강한 경향)
- 학습 스타일/자기 성찰 (자신을 규제하는 학습 경향)
이 연구는 의과대학생만을 대상으로 했지만, 저자들은 반복적인 연습이 초보 학습자(1학년)에게만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전문성이 개발됨에 따라 학습자는 특정 결함에 맞춰 학습에 집중하고 계획해야 한다고 밝혔다. 커리큘럼은 학생들이 경력이 발전함에 따라 학습을 계획하는 능력을 개발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과는 학생들의 자기 규제 행동을 개발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친다. 처음에 의과대학생은 강사로부터 집중적인 피드백이 필요할 수 있지만, 발전함에 따라 스스로 평가하는 능력을 개발해야 한다.
Susan Howick의 기사에서 의학 분야에서 혼합된 방법의 연습을 사용하는 아이디어가 실무자와 연구자에게 유익하다는 것이 입증될 수 있다.[18]
3. 6. 신체 훈련과의 비교
K. 앤더스 에릭슨은 의도적 연습과 신체 훈련의 차이점에 주목했다. 그는 전문가의 수행 능력이 일반인과 질적으로 다르지만, 이것이 타고난 재능 때문만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대신 전문가와 일반인의 차이는 특정 분야에서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기간의 의도적인 노력의 결과라고 보았다.[3]에릭슨의 연구에 따르면, 기술 숙련도는 단순히 반복 횟수보다 연습 방법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 전문가는 기술을 세분화하고, 각 부분을 집중적으로 개선하며,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는다. 또한, 숙달을 목표로 더 어려운 수준에서 지속적으로 연습한다.[4]
최근 ''심리학 연구의 현재 방향''에 실린 논문들은 의도적인 연습이 높은 수준의 수행에 필요하지만, 재능과 같은 다른 요소도 중요하다고 지적한다.[10][11] 메타 분석 결과, 의도적인 연습과 수행 간의 상관 계수는 0.40으로 나타났다.[12]
한편, 집중 연습은 높은 수준의 전문가적 수행을 달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인지적 노력이 필요하고 즉각적인 보상이 없는 고도로 구조화된 활동으로 정의된다.[19] 일부 연구자들은 자기 조절 학습이 운동선수의 연습 제약 극복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
4. 연습의 유지 (Maintenance)
기술은 사용하지 않으면 퇴보한다.[20] 이러한 현상은 종종 "연습 부족"이라고 불린다. 따라서 기술과 능력을 연마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연습을 수행한다. 학습자와 연습자가 학습과 연습 과정에서 소진 또는 탈진 단계에 도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새로운 기술을 배우는 데 상당한 시간을 연습에 할애하는 것과 함께, 정신적, 정서적 건강을 위한 시간을 갖는 것 또한 그만큼 중요하다.
참조
[1]
웹사이트
πρακτικός
https://www.perseus.[...]
[2]
웹사이트
πράσσω
https://www.perseus.[...]
[3]
논문
The role of deliberate practice in the acquisition of expert performance.
1993-07
[4]
서적
Learning and Instruction.
Pearson Education, Inc.
[5]
서적
Talent is Overrated: What Really Separates World-Class Performers from Everybody Else
[6]
서적
The Talent Code: Greatness Isn't Born. It's Grown. Here's How
[7]
서적
Grit : the power of passion and perseverance
Simon and Schuster
2016-05-03
[8]
서적
Featured book review : Outliers.
https://archive.org/[...]
"[Soundview Executive Book Summaries]"
2009-01-01
[9]
웹사이트
Noncognitive Factors Affecting Student Success
http://www.aera.net/[...]
2017-04-25
[10]
논문
Deliberate Practice: Necessary But Not Sufficient
2011-10
[11]
논문
Limits on the Predictive Power of Domain-Specific Experience and Knowledge in Skilled Performance
2011-10
[12]
논문
To be or not to be (an expert)? Revisiting the role of deliberate practice in improving performance
2020-01-02
[13]
논문
Practice for Knowledge Acquisition (Not Drill and Kill): (501912017-001)
[14]
논문
Given that the detailed original criteria for deliberate practice have not changed, could the understanding of this complex concept have improved over time? A response to Macnamara and Hambrick (2020)
https://doi.org/10.1[...]
2021-04-01
[15]
논문
Training history, deliberate practice and elite sports performance: an analysis in response to Tucker and Collins review—what makes champions?
2013-06
[16]
논문
Motivation: Theory and Research
[17]
논문
The role of deliberate practice in the acquisition of clinical skills
2011-12
[18]
논문
Learning from mixed OR method practice: The NINES case study
https://strathprints[...]
2017-06
[19]
논문
Can athletes' reports of self-regulated learning distinguish deliberate practice from physical preparation activity?
2018-10-18
[20]
웹사이트
SKILL FADE
http://www.wranx.com[...]
2014-10-14
[21]
웹사이트
πρακτικός
https://www.perseus.[...]
[22]
웹사이트
πράσσω
https://www.perseus.[...]
[23]
웹인용
Deliberate Practice
https://www.effectiv[...]
2021-09-03
[24]
문서
The Role of Deliberate Practice in the Acquisition of Expert Performance.
http://graphics8.nyt[...]
1993
[25]
서적
Learning and Instruction.
Pearson Education, Inc.
[26]
서적
Talent is Overrated: What Really Separates World-Class Performers from Everybody Else
[27]
서적
The Talent Code: Greatness Isn't Born. It's Grown. Here's How
[28]
서적
Grit : the power of passion and perseverance
[29]
서적
Featured book review : Outliers.
https://archive.org/[...]
"[Soundview Executive Book Summaries]"
2009-01-01
[30]
웹인용
Noncognitive Factors Affecting Student Success
http://www.aera.net/[...]
2017-04-25
[31]
문서
Deliberate practice: Necessary but not sufficient.
2011
[32]
문서
Limits on the predictive power of domain-specific experience and knowledge in skilled performance.
2011
[33]
저널
To be or not to be (an expert)? Revisiting the role of deliberate practice and improving performance.
https://www.tandfonl[...]
2018
[34]
서적
Learning and Instruction.
Pearson Education, I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