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통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통제는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국내외 독립운동 자금 모집 및 연락을 위해 설치한 비밀 행정 조직이다. 1919년 5월 안창호의 상해 도착과 함께 설치 작업이 시작되어, 7월 임시정부 국무원령으로 공포되었고, 같은 해 11월 서울에 임시총판부가 설치되며 국내 조직이 확대되었다. 연통제는 각 지역별로 조직을 갖추고 운영되었으나, 일제의 감시와 탄압으로 인해 조직원들이 체포되고 조직이 노출되는 어려움을 겪었다. 1921년 일제의 탄압이 심해지면서 연통제 조직은 와해되었고, 임시정부의 활동도 위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창호 - 안수산
    안수산은 안창호와 이혜련의 장녀이자 미국 해군 최초의 아시아계 여성 장교 및 여성 포술 장교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해군에서 복무하고 종전 후 해군 정보국, 미국 의회도서관, 국가안보국 등에서 근무하며 인종 및 성차별을 극복하고 활약한 인물이다.
  • 안창호 - 최능진
    최능진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 활동했으며 광복 후 경무부 수사국장을 지냈으나, 이적 혐의로 총살된 후 재심을 통해 무죄를 선고받았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 - 3·1 운동
    3·1 운동은 1919년 일본의 무단 통치에 저항하여 시작된 한국의 독립운동으로, 민족대표 33인의 독립선언서 낭독을 시작으로 전국으로 확산되었으며, 일본의 무력 진압으로 많은 사상자를 냈지만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의 계기가 되었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 - 김학규 (1900년)
    김학규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 군인, 정치인으로, 3·1 운동 후 만주로 건너가 신흥무관학교 졸업 후 독립운동에 참여, 한국 광복군 창설에 기여했으며 광복 후 우익 정치인으로 활동,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받고 국립묘지에 안장되었으나 본관, 출생년도, 친손녀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다.
  • 일제강점기 -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3·1 운동 직후 독립운동 세력의 통합을 목표로 상하이에서 수립되어 일본 제국에 맞서 무장 투쟁과 외교 활동을 펼쳤으나, 해방 후 정치적 난관을 겪으며 정통성과 역할에 대한 논쟁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일제강점기 - 광복절
    광복절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기념하는 날로서, 대한민국에서는 1945년 8월 15일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난 것을 기념하여 국경일 및 공휴일로 지정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국해방의 날로 기념한다.
연통제
정보
유형비밀 연락망
창설1919년
해체1921년
목적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국내 간의 연락 및 정보 수집
활동 지역한반도
관련 인물이륭양행
안동교회
백산상회
교남학교

2. 역사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이후, 국내외 조직을 연결하고 독립운동을 효율적으로 전개하기 위해 설치된 비밀 행정 조직이 연통제이다.[1][4] 연통제는 임시정부의 지령을 국내에 전달하고, 국내의 정보를 임시정부에 보고하며, 독립운동 자금을 모집하는 등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2. 1. 설치 (1919)

1919년 5월 25일 임시정부 내무총장 안창호가 상해에 도착하면서 연통제 설치 작업이 본격화되었다.[1][4] 7월 10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원령 제1호로 '임시연통제'가 공포되었다.[1][4] 10월 17일에는 연통제 관제가 발표되었고, 11월 30일에는 서울에 임시총판부가 설치되면서 국내 조직이 확대되었다.[1]

임시정부는 1920년 10월, 국민회 관할을 연길(延吉)·화룡(和龍)·돈화(敦化)·액목현(額穆縣)으로 확장하여 연통제 조직을 강화했다.[1] 1920년 12월 4일에는 간서총판부가 설립되었으나 활동이 부진하였다.[1]

연통제는 국내 각 도, 군, 면 단위별로 설치되었으며, 도에는 감독부, 군에는 총감부, 면에는 사감부를 두었다.

행정 단위기관 명칭구성원
감독부감독 1인, 부감독 1인, 서기 3인, 재무 2인
총감부총감 1인, 부총감 1인, 서기 2인, 재무원 1인
사감부사감 1인, 서기 1인, 재무 1인



황해도, 평안남북도, 함경남북도에서는 비교적 활발하게 운영되었으나, 강원도, 경상남북도, 전라남북도, 제주도 등지에서는 조직에 어려움을 겪었다.[3] 만주 지방에는 총판부가 설치되었으며, 해외에는 거류민단제가 실시되었다.[2] 연통제 요원 중에는 사립학교 교사, 학생, 전도사, 승려 등 지식인이 많았다.[1]

2. 2. 일제의 색출 (1919~1920)

연통제는 비밀리에 운영되었으나, 일제의 감시와 탄압으로 인해 많은 조직원들이 체포되고 조직이 노출되는 어려움을 겪었다.[1]

  • 1919년 12월, 함경북도 독판부원 임대욱, 임정발 등이 나남경찰서에 체포되면서 함경북도 조직이 노출되었다. 함경북도 감독부는 같은 해 6월경 회령 야소교학교 교사 김인서와 박원혁이 상해 임시정부로부터 직접 지시를 받아 조직되었으며, 부감독 김인서 이하 연루자 47명은 모두 함흥지방법원 청진지청에서 실형을 선고받았다.
  • 1919년 12월 31일, 평안북도 창성군에서 통신원 김지일, 재무 강우여, 창성면감 강제박 등이 체포되었다.
  • 1920년 5월 3일, 평안남도 독판 안병찬 등이 체포되었다.
  • 1920년 6월 7일, 평안북도 독판부, 교통선 시설 특파원 권창훈이 체포되었다.
  • 1920년 7월 24일, 의주군 통신원 양승업이 체포되었다. 1919년 이후 의주군에서 연통제와 관련되어 의주군감 송문정 외 22명이 복역하였다.
  • 1920년 9월, 회령의 연통제 조직이 발각되어 정희용 등 29명이 체포되었다. 이들은 국내의 연통제 조직이 탄로나자 조직을 변경하여 연락이 용이한 간도에 독판부를 설치, 운영하였다.


임시정부는 국내외에서 인구세, 공채, 적십자회비 등 다양한 명목으로 독립운동 자금을 모집하려 했으나, 일제의 탄압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1920년 7월 안정근, 왕삼덕에게 임무를 주어 간도로 파견하여 노령(露領)의 독립운동가와 연계를 맺고 총기, 폭탄 등을 입수하려 하였다.

2. 3. 와해 (1921)

1921년 후반, 일제의 철저한 색출, 검속, 미행으로 인해 연통제 조직이 와해되면서 임시정부의 활동도 위축되었다.[1][2]

참조

[1] 웹인용 연통제(聯通制) https://encykorea.ak[...] null
[2] 웹인용 연통제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null
[3] 웹인용 1) 內務部 經過狀況 報告(內務部 呈文 第16號) http://db.history.go[...] 1920-12-20
[4] 웹인용 1) 臨時地方聯通制關係法令集 http://db.history.go[...] nu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