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합신속대응군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합신속대응군단(ARRC)은 냉전 종식 후 창설된 신속 대응 군단 규모의 다국적 지상군으로, 1992년 영국 제1군단을 기반으로 독일 빌레펠트에서 창설되었다. 유럽 연합군 사령부의 지휘를 받으며, NATO 영토 밖에서 페테르스베르크 임무를 수행한다. 영국이 주도국이며, 21개 NATO 회원국 군인으로 구성된다. 주요 활동으로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의 평화 유지 작전, 코소보 전쟁 참전, 아프가니스탄 국제안보지원군 지휘 등이 있다. 현재는 NATO 신속 대응군 지상 구성 요소 책임을 맡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국적 군단 -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군단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군단(ANZAC)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양국 연합군을 지칭하는 약칭으로 시작되어 여러 전투에서 사용되었으며, 갈리폴리 전투에서의 활약으로 양국 간 유대감과 공동의 기억을 상징하고, 현재는 양국 국방력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상표권으로 보호받는다.
  • 다국적 군단 - 제1군단 (독일-네덜란드)
    제1군단 (독일-네덜란드)은 독일과 네덜란드 육군 군단을 통합하여 창설된 다국적 군단으로, 뮌스터에 사령부를 두고 평화 유지 및 인도주의적 지원 임무를 수행하며 NATO 고대비 태세 사령부 인증과 아프가니스탄 국제 안보 지원군 사령부 활동 등 국제 임무에 참여했다.
  • 신속대응군의 부대 및 편성 - 제18공수군단
    제18공수군단은 미국 육군의 군단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냉전, 걸프 전쟁 등 다양한 작전에 참여했으며, 현재는 노스캐롤라이나주 포트 리버티에 본부를 두고 여러 사단을 예하 부대로 둔다.
  • 신속대응군의 부대 및 편성 - NATO 대응군
    NATO 대응군은 위기 발생 시 신속 투입되어 위기 억제, 평화 유지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신속 대응 전력으로, 육해공군 및 특수부대 등으로 구성되며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 처음 활성화된 이후 규모가 확대되었다.
  •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부대 및 조직 - 코소보군
    코소보군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라 코소보의 안전과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배치된 다국적 평화유지군으로, 초기에는 적대 행위 억제와 치안 유지를 목표로 현재는 평화로운 공존을 위한 안전한 환경 조성 및 민주주의 발전 촉진을 목표로 활동하며, 여러 NATO 회원국과 비NATO 국가에서 병력이 파견되어 지역 사령부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부대 및 조직 - 유럽 연합군 최고사령부
    유럽 연합군 최고사령부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최고 군사 사령부 중 하나로 벨기에 몽스에 위치하며, 한국 전쟁 이후 유럽 방위 우려로 창설되어 냉전 시대 소련 위협에 대응하는 핵심 역할을 수행하다 2003년 NATO 지휘 체계 개편으로 전 세계 NATO 작전을 통제하는 본부로 기능한다.
연합신속대응군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연합신속대응군단 문장
연합신속대응군단 문장
창설일1992년 10월 1일
국가[[파일:Flag of the United Kingdom.svg|15px]] 영국
및 21개국
소속[[파일:Flag of the British Army.svg|15px]] 영국 육군
및 22개국
규모400+ 명의 직원
본부임진 병영, 인스워스
표어Audentis fortuna iuvat
행운은 용감한 자를 돕는다
역할[[파일:Flag of NATO.svg|15px]] 고강도 대응군 (지상) 사령부
[[파일:Flag of NATO.svg|15px]] NATO 즉응군 지상군 구성군 사령부 (2017)
[[파일:Flag of NATO.svg|15px]] NATO 즉응군 지상군 구성군 사령부 (2024년 1월-7월)
[[파일:Flag of NATO.svg|15px]] NATO 전략 예비 군단 지상군 구성군 사령부 (2024년 7월)
지휘
상위 부대[[파일:Flag of NATO.svg|15px]] SHAPE
현재 사령관중장 경 랠프 우디시, KCB, CBE, MC (영국 육군)
부사령관소장 잔루카 카라이 (이탈리아 육군)
참모총장소장 마이크 키팅, CBE (영국 육군)

2. 역사

영국 제1군단을 모체로 하여 1992년 10월 2일 독일 빌레펠트에서 창설되었다. 초대 군단장은 제레미 맥켄지 경이었다. 냉전 종식 후 등장한 신속 대응 군단 규모의 지상군으로, 유럽 연합군 사령부(ACE)의 지휘를 받아 NATO 영역 밖에서 페테르스베르크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었다.[2][3] 초기에는 영국군 중심이었으나, 점차 다국적 부대로 발전하였다.

1994년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JHQ 라인다헬름으로 본부를 이전하였다.[4] 1995년부터 1996년까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IFOR의 일원으로 평화 유지 작전을 수행하였고, 1999년에는 코소보 전쟁에 참가하였다.[4]

2002년, 고강도대응부대 지상군 본부(High Readiness Force (Land) HQ영어)로 재편되어 유럽 연합최고사령관(SACEUR) 예하 작전사령부가 되었다.[6]

2006년 5월 4일, 아프가니스탄 국제안보지원군(ISAF) 지휘를 맡았다.[7] 2010년 글로스터 외곽 임진 막사로 본부를 이전하였고,[7] 2011년 아프가니스탄 ISAF 합동 지휘 본부를 지원하였다.[8]

2017년 NATO 신속 대응군 (NRF)의 지상 구성 요소 책임을 맡아 훈련 NOBLE JUMP 2017을 주도하였다.[10] 2018년 1월 10일 NATO 신속 배치 군단 - 이탈리아에 NRF 지상 구성 요소 책임을 이양하였다.[10]

2019년 10월, 이탈리아의 아퀴 사단, 덴마크 사단, 제1 캐나다 사단, 제3 (영국) 사단, 미국의 제4 보병사단이 배치될 경우 연합신속대응군단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지정되었다.[11]

2021년에는 영국 제104 극장 지원 여단과[16][17] 영국 제1 신호 여단이[12] HQ ARRC의 직접 통제 하에 배치되었다.

2024년에는 영국 육군의 제7 방공 그룹과 제8 공병 여단, 제1 항공 여단 전투단이 HQ ARRC를 직접 지원하는 새로운 전쟁 수행 역할을 부여받았다.[13]

2. 1. 창설 배경

영국 제1군단을 기반으로 1992년 10월 2일 독일 빌레펠트에서 창설되었다. 초대 군단 사령관은 제레미 맥켄지 경이었다. 냉전 종식 이후 등장한 반응군 개념의 신속 대응 군단 규모 지상군으로 창설되었으며, 유럽 연합군 사령부(ACE) 내에서 재배치 및 증원하고 NATO 영토 밖에서 페테르스베르크 임무를 수행하는 임무를 가지고 있었다.[2] 초기에는 영국군 중심이었으나, 점차 다국적 부대로 발전하였다. 영국은 "틀 국가"로서 군단의 상당 부분을 지원하였다.[3]

2. 2. 주요 활동

1994년,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JHQ 라인다헬름으로 본부를 이전하였다.[4] 1995년부터 1996년까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IFOR의 일원으로 평화 유지 작전을 수행하였고,[4] 1999년에는 코소보 전쟁에 참가하였다.[4]

2002년에는 고강도대응부대 지상군 본부(High Readiness Force (Land) HQ영어)로 재편되어 유럽 연합최고사령관(SACEUR) 예하 작전사령부가 되었다.[6]

2006년 5월 4일, 아프가니스탄 국제안보지원군(ISAF) 지휘를 맡았다.[7] 2010년에는 글로스터 외곽 임진 막사로 본부를 이전하였고,[7] 2011년에는 아프가니스탄 ISAF 합동 지휘 본부를 지원하였다.[8]

2017년, NATO 신속 대응군 (NRF)의 지상 구성 요소 책임을 맡아 훈련 NOBLE JUMP 2017을 주도하였다.[10] 2018년 1월 10일, NATO 신속 배치 군단 - 이탈리아에 NRF 지상 구성 요소 책임을 이양하였다.[10]

3. 구조

연합신속대응군단(ARRC)은 영국 주도로 운영되며, 군단장은 영국 육군 중장이 맡는다. 영국은 군단 자산의 80%를 부담하고, 소속 장병의 60%를 차지한다.[14] 사령부에는 벨기에, 덴마크, 독일, 프랑스, 그리스, 영국, 헝가리, 이탈리아, 캐나다, 네덜란드, 노르웨이, 폴란드, 포르투갈, 스페인, 체코, 튀르키예, 미국 등 17개국에서 파견된 약 400명의 상설 요원과 연락 장교가 있다.

처음에는 군단을 구성하는 사단을 여러 국가 출신으로 섞어서 편성하려고 했으나, 현실적인 어려움 때문에 포기했다. 대신 각 회원국별로 사단을 편성하여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지휘를 받도록 하였다.

ARRC 본부의 전개 가능한 본부 인프라 및 통신은 제1신호여단에서 제공한다.[18]

'''상설 기관·부대'''[14]

기관/부대설명
중추 참모부군단장 지원
작전부계획, 지휘 지원
부(副) 지원 사령부군단 사령부 기능의 전진 이동
전투 후방 지원부전투 후방 지원
G6부정보 기술(IT) 지원
공병부공병 사령 부문
영국 제1통신여단엘름푸트와 라인데르렌에 위치



'''지정 부대'''[14]

국가부대
--제1기갑사단
--아퀴 사단 (국외 파견 시 여단을 통합하기 위한 임시 편성)
--제1(UK)사단
--제3(UK)사단
--제1사단


3. 1. 지휘부



연합신속대응군단(ARRC)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14]

  • 사령관 (영국)
  • 부사령관 (이탈리아)
  • 참모장 (영국)
  • 공병 및 민군 통합 (영국)
  • 훈련 및 안보 지원 (영국)
  • 합동 화력 및 영향력 부서 (영국)
  • 작전 부서 (미국)
  • 인사 및 군수 (영국)
  • 지휘 정보 시스템 (영국)
  • 지원 부서 (스페인)
  • 제1 신호 여단, 임진 병영, 글로스터셔[15]
  • 제104 극장 지원 여단, 글로스터 공작 병영, 사우스 서니[16][17]
  • 제7 방공 그룹, 베이커 병영, 소니 아일랜드(웨스트 서섹스)[13]
  • 제8 공병 여단, 지브롤터 병영, 민리(Gibraltar Barracks, Minley).[13]


ARRC 본부의 전개 가능한 본부 인프라 및 통신은 제1 신호 여단에서 제공한다.[18]

3. 2. 상설 부대

Headquarters Allied Rapid Reaction Corps영어는 사령부, 지휘 지원대, 공병 및 경비대가 상설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조직을 갖추고 있다.[14]

  • 중추 참모부 (군단장 지원 그룹)
  • 작전부 (계획, 지휘 지원)
  • 부(副) 지원 사령부 (군단 사령부 기능의 전진 이동 책임)
  • 전투 후방 지원부 (전투 후방 지원)
  • G6부 (정보 기술(IT) 지원)
  • 공병부 (공병 사령 부문)
  • 영국 제1 통신 여단 (엘름푸트와 라인데르렌에 위치)


연합신속대응군단의 주도국은 영국이며, 군단장은 대대로 영국 육군 중장이 임명된다. 영국은 군단 자산의 80%를 부담하며, 소속 장병의 60%를 차지한다. 사령부에는 약 400명의 상설 요원이 있으며, 벨기에, 덴마크, 독일, 프랑스, 그리스, 영국, 헝가리, 이탈리아, 캐나다, 네덜란드, 노르웨이, 폴란드, 포르투갈, 스페인, 체코, 튀르키예, 미국 등 17개국에서 파견된 요원 및 연락 장교로 구성되어 있다.

최초에는 군단을 구성하는 사단을 국제 혼성으로 편성하려 했으나, 어려움이 있어 포기하고, 가맹국별로 사단을 편성하여 북대서양 조약 기구 고(高) 즉응 부대 사령부 아래에서 운용하기로 결정되었다.

현재 편성은 다음과 같다.

국가부대
--제1기갑사단
--아퀴 사단[14] (국외 파견 시 여단을 통합하기 위한 임시 편성)
--제1(UK)사단[14]
--제3(UK)사단[14]
--제1사단



과거에 존재했던 편성은 다음과 같다.

국가부대존속 기간
북부다국적사단? ~ ?
중부다국적사단1994년 4월 1일 ~ 2002년 10월 25일
남부다국적사단1994년 ~ 2002년
미국 제1기갑사단? ~ ?
독일 제7기갑사단? ~ 2006년 6월 30일
터키 제1기계화사단? ~ ?
이탈리아 제3기계화사단? ~ ?


3. 3. 지정 부대

다음은 과거 연합신속대응군단(ARRC) 운용에 포함되었던 10개 사단 목록이다.[14]

국가부대비고
--영 제1 기갑 사단독일 주둔, 18,500명
--영 제3 기계화 사단영국 주둔, 18,500명
--미 제1 기갑 사단독일 주둔, 22,000명
--독 제7 기갑 사단독일 주둔, 19,000명. 2006년에 해체되어 제1 기갑 사단으로 계승
--스페인 긴급 대응 사단스페인 주둔, 10,000명
--이 제3 기계화 사단이탈리아 주둔, 18,000명
--그리스 제2 기계화 보병 사단그리스 주둔
--터키 제1 기계화 사단튀르키예 주둔, 13,600명
--------북부 다국적 사단, 중앙 다국적 사단영국, 독일, 네덜란드, 벨기에 국제 부대로 사령부는 독일, 1994년에 편성되어 2002년에 해체
------남부 다국적 사단이탈리아, 그리스, 튀르키예 국제 부대로 이후 해체됨


3. 3. 1. 현재

Allied Rapid Reaction Corps영어 (ARRC)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14]

  • 사령관 (영국)
  • 부사령관 (이탈리아)
  • 참모장 (영국)
  • 공병 및 민군 통합 (영국)
  • 훈련 및 안보 지원 (영국)
  • 합동 화력 및 영향력 부서 (영국)
  • 작전 부서 (미국)
  • 인사 및 군수 (영국)
  • 지휘 정보 시스템 (영국)
  • 지원 부서 (스페인)
  • 제1신호여단, 임진 병영[15]
  • 제104극장지원여단, 글로스터 공작 병영[16][17]
  • 제7방공그룹, 베이커 병영[13]
  • 제8공병여단, 지브롤터 병영, 민리[13]


ARRC 본부의 전개 가능한 본부 인프라 및 통신은 제1신호여단에서 제공한다.[18]

연합 신속 대응 군단은 사령부, 지휘 지원대, 공병 및 경비대가 상설되어 있으며 군단장 아래에 다음과 같은 조직이 있다.

'''상설 기관·부대'''

기관/부대설명
중추 참모부군단장 지원
작전부계획, 지휘 지원
부(副) 지원 사령부군단 사령부 기능의 전진 이동
전투 후방 지원부전투 후방 지원
G6부정보 기술(IT) 지원
공병부공병 사령 부문
영국 제1통신여단엘름푸트와 라인데르렌에 위치



연합 신속 대응 군단의 주도국은 영국이며 군단장에는 대대로 영국 육군 중장이 임명된다. 영국은 군단 자산의 80%를 부담하며, 소속 장병의 60%를 차지한다. 사령부에는 약 400명의 상설 요원이 있으며, 벨기에, 덴마크, 독일, 프랑스, 그리스, 영국, 헝가리, 이탈리아, 캐나다, 네덜란드, 노르웨이, 폴란드, 포르투갈, 스페인, 체코, 튀르키예, 미국 등 17개국에서 요원을 파견한다.

당초 군단 구성 사단은 국제 혼성으로 하는 안이 있었지만, 곤란하다는 것이 확인되어 단념되었고, 지상군 고(高) 즉응 부대 사령부 아래에서 가맹국별로 사단을 편성하기로 했다.

'''지정 부대'''

국가부대
제1기갑사단
아퀴 사단
제1(UK)사단
제3(UK)사단
제1사단


3. 3. 2. 과거


  • 북부다국적사단, 창설일 미상 ~ 해체일 미상[14]
  • 중부다국적사단, 1994년 4월 1일 ~ 2002년 10월 25일[14]
  • 남부다국적사단, 1994년 ~ 2002년[14]
  • 미국 제1기갑사단, 창설일 미상 ~ 해체일 미상[14]
  • 독일 제7기갑사단, 창설일 미상 ~ 2006년 6월 30일[14]
  • 터키 제1기계화사단, 창설일 미상 ~ 해체일 미상[14]
  • 이탈리아 제3기계화사단, 창설일 미상 ~ 해체일 미상[14]

3. 4. 참가국



연합신속대응군단(ARRC)은 위에 나열된 21개의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회원국 군인으로 구성된다.[19]

4. 임무

연합신속대응군단은 NATO 및 유럽 연합의 지휘를 받으며 위기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 군단은 다음 부대 및 기관 중 하나 이상을 갖춘다.


  • 군단 사령부
  • 지상 부대 사령부
  • 합동 통합 지상 부대 사령부
  • NATO 신속 대응군 지상 부대 사령부


사령부는 명령 하달 후 5일에서 30일 이내에 지원 관리를 포함한 세계 규모의 긴급 전개 작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준비된다.

연합신속대응군단은 부여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훈련을 받고 전투, 전투 지원 및 전투 후방 지원 부대와 필요한 장비를 보유하며 능력을 갖춘다. 단, 연합신속대응군단 사령부는 유럽 연합군 최고 사령관으로부터 작전 개시 명령을 수령하기 전까지 실동 부대는 가동되지 않는다. 전개 명령 수령 시 부대를 제공하는 각국 군대에 대해 해당 부대의 지휘권은 배치 기간 동안 NATO를 경유한다.

5. 역대 지휘관

#사진계급성명취임이임Ref
1중장Jeremy Mackenzie|제레미 맥켄지영어1992년1994년
2중장Michael Walker|마이클 워커영어1994년1997년
3중장Mike Jackson|마이크 잭슨영어1997년2000년
4중장Christopher Drewry|크리스토퍼 드위리영어2000년2002년
5중장Richard Dannatt|리처드 단나트영어2002년2005년
6중장David Richards|데이비트 리처드스영어2005년2007년
7중장Richard Shirreff|리처드 시이레프영어2007년2011년
8중장James Bucknall|제임스 버크날영어2011년2013년
9중장Timothy Evans|티모시 에반스영어2013년2016년
10
중장Tim Radford|티모시 래드포드영어2016년2019년
11중장Sir Edward Smyth-Osbourne|에드워드 스미스-오스본 경영어2019년2021년[27][28]
12중장니콜라스 보턴2021년2024년
13중장랄프 우디스2024년현재[23]


참조

[1] 웹사이트 Headquarters Allied Rapid Reaction Corps https://www.army.mod[...] UK MoD 2024-07-11
[2] 웹사이트 Challenges to NATO http://www.nato.int/[...] 2008-11-25
[3] 웹사이트 Blue Hackle http://www.bluehackl[...] 2009-11-08
[4] 웹사이트 British general scheduled to lead NATO's Kosovo peacekeeping force https://www.baltimor[...] 1999-06-05
[5] 간행물 ARRC Assigned Forces NATO's Sixteen Nations 1998
[6] 웹사이트 Other High Readiness Forces (Land) https://arrc.nato.in[...] NATO 2018-06-23
[7] 문서 UK Parliament Statement https://www.theywork[...] 2008-05-17
[8] 웹사이트 UK MOD website http://www.mod.uk/De[...]
[9] 웹사이트 Information regarding British Army brigades being regionally aligned https://assets.publi[...] Ministry of Defence UK 2019-08-02
[10] 웹사이트 Allied Rapid Reaction Corps (ARRC) https://www.usanato.[...] 2024-10-07
[11] 웹사이트 ARRC {{!}} Assigned Formations https://arrc.nato.in[...] 2019-10-17
[12] 웹사이트 6th (United Kingdom) Division https://www.army.mod[...] 2021-09-30
[13] 웹사이트 SOLDIER https://edition.page[...] 2024-10-06
[14] 웹사이트 About ARRC: Structure http://www.arrc.nato[...] 2012-06-14
[15] 웹사이트 6th (United Kingdom) Division https://www.army.mod[...] 2021-09-30
[16] 웹사이트 Headquarters Allied Rapid Reaction Corps https://www.army.mod[...] 2021-09-16
[17] 웹사이트 104th Logistic Support Brigade https://www.army.mod[...] 2021-09-16
[18] 문서 Army 2020 Report http://www.army.mod.[...]
[19] 웹사이트 Today we officially welcome Romania and... - Headquarters Allied Rapid Reaction Corps (HQ ARRC) https://www.facebook[...] Facebook.com 2017-09-01
[20] 문서 Army Commands http://www.gulabin.c[...] 2015-07-05
[21] 트윗 Lieutenant General Tim Radford (left) at the handover of command to Lieutenant General Sir Edward Smyth-Osbourne 2019-07-18
[22] 웹사이트 Top Brass Picks Up https://view.joomag.[...] The Imjin 2019-07-19
[23] 웹사이트 Commander NATO ARRC https://arrc.nato.in[...] NATO 2024-04-05
[24] 문서 Headquarters Allied Rapid Reaction Corps http://www.theyworkf[...] Thay Work For You.com 2008-05-15
[25] 뉴스 UK personnel to deploy to Afghanistan with HQ Allied Rapid Reaction Corps http://www.mod.uk/De[...] [[国防省 (イギリス)|イギリス国防省]] Defence news 2010-09-13
[26] 뉴스 UK personnel to deploy to Afghanistan with HQ Allied Rapid Reaction Corps https://www.gov.uk/g[...] 영국 국방부 2010-09-13
[27] 트윗 Lieutenant General Tim Radford (left) at the handover of command to Lieutenant General Sir Edward Smyth-Osbourne 2019-07-18
[28] 웹인용 Top Brass Picks Up https://view.joomag.[...] The Imjin 2019-07-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