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염분비 일정의 법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염분비 일정의 법칙은 윌리엄 디트마르가 1873년부터 1876년까지 챌린저 탐사에서 얻은 자료를 분석하여 1884년에 발견한 법칙으로, 전 세계 바닷물의 염분비가 거의 일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닷물은 염화 나트륨, 염화 마그네슘, 황산 마그네슘 등을 포함하며, 주요 이온의 비율도 일정하다. 이 법칙은 바닷물 염소 농도를 측정하여 전체 염분 농도를 추정하는 데 사용되며, 마르틴 크누센의 경험적 식을 통해 염분 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양학 - 심해
    심해는 수심 200m 이상의 깊은 바다로, 태양광이 희박하고 높은 수압, 낮은 수온, 부족한 영양분 등 극한 환경을 가지며, 독특한 심해 생물과 생태계가 존재하지만 최근 인간 활동으로 위협받고 있고, 탐사를 통해 새로운 종과 자원이 발견되고 있다.
  • 해양학 - 해령
    해령은 대양 중앙부를 따라 뻗은 거대한 해저 산맥으로, 판이 갈라지면서 맨틀 물질이 상승하여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되는 곳이며, 활발한 화산 활동과 높은 지각 열류량을 보인다.
염분비 일정의 법칙
염분비 일정의 법칙
정의해수 중의 각 성분의 절대량은 장소와 시간에 따라 변하지만, 각 성분 원소의 양의 비는 일정하다는 법칙
발견자게오르크 포르히하머
내용해수의 염분은 장소와 시간에 따라 변동하지만, 염분 중 각 이온의 조성비는 거의 일정함
강물이나 빙하가 녹은 물이 섞이는 하구나 극지방의 표층에서는 예외가 발생할 수 있음
예외하천의 하구, 빙하가 녹는 곳, 강수량이 많은 곳에서는 달라질 수 있음
중요성한 곳에서 염분만 측정하면 다른 성분의 양을 알 수 있음
해수의 순환 연구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

2. 역사

윌리엄 디트마르는 1873년부터 1876년까지 챌린저 탐사를 통해 얻은 전 세계 77개 해역의 염분비 자료를 분석하여 1884년에 염분비가 일정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는 바닷물의 주된 구성 성분에 대한 최초의 분석으로 여겨진다.[3][4]

3. 염분비

1884년 스코틀랜드의 화학자 윌리엄 디트마르는 1873년부터 1876년까지 챌린저 탐사를 통해 얻은 전 세계 77개 해역의 염분비 자료를 조사하여 염분비가 일정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는 바닷물의 주된 구성 성분에 대한 최초의 분석으로 여겨진다.[3][4]

바다의 평균적인 염분비는 다음과 같다.[5]

해수 1kg 중의 염류 (g/kg) 및 전체 염류에 대한 성분비 (%)[5]
염류g/kg%
염화 나트륨(NaCl)27.277.7
염화 마그네슘(MgCl2)3.810.9
황산 마그네슘(MgSO4)1.74.8
황산 칼슘(CaSO4)1.33.7
황산 칼륨(K2SO4)0.92.6
기타0.10.3



해수 1kg 중의 주요 이온 및 전체 이온에 대한 성분비(무게 기준, %)는 다음과 같다.[6]

해수 1kg 중의 이온 (g/kg) 및 전체 이온에 대한 성분비 (무게 기준, %)[6]
이온g/kg%
염소(Cl-)19.3555.07
나트륨(Na+)10.7630.6
황산(SO42-)2.717.72
마그네슘(Mg2+)1.293.68
칼슘(Ca2+)0.411.17
칼륨(K+)0.10.3


4. 의의

염분비 일정의 법칙에 따라, 바닷물의 주요 성분 중 하나의 농도만 측정해도 모든 염분의 양을 알 수 있다.[7] 가령 염소를 기준으로 했을 때, 해양학자 마르틴 크누센은 1889년 다음과 같은 경험적인 식을 제시했다.[8][9]

:S = 0.030 + 1.805 Cl

(S는 전체 염분의 비율, Cl은 염소의 비율, 단위는 모두 퍼밀(‰))

이 공식은 1962년 JPOTS(Joint Panel for Oceanographic Tables and Standards)에서 크누센의 식에 새로운 비례상수를 붙여 사용하며 약간 수정되었다.[8] 간단하게 말하면 염분의 총량은 염소의 약 1.8배이다.[2]

:S = 1.80655 Cl

그러나 이 식은 발트해 같은 바다나, 강과 바다가 만나는 하구 같이 염분이 아주 낮은 해수에서는 잘 맞지 않는 경향이 있다.[8]

참조

[1] 웹인용 염분비 일정의 법칙 https://terms.naver.[...] 2022-12-12
[2] 웹인용 염분비일정의 법칙 https://terms.naver.[...] 2022-12-12
[3] 웹인용 Dittmar's law https://www.oxfordre[...] 2022-12-12
[4] 문서 Lecture 3: Temperature, Salinity, Density and Ocean Circulation http://ocean.stanfor[...]
[5] 웹인용 염분비 일정 법칙(law of the regular salinity ratio) https://www.sciencea[...] 2022-12-12
[6] 웹인용 5.3 Salinity Patterns https://rwu.pressboo[...]
[7] 웹인용 염분비일정의 법칙 https://terms.naver.[...] 2022-12-12
[8] 웹인용 Chlorinity and salinity of seawater - EniG. Periodic Table of the Elements https://www.periodni[...] 2022-12-12
[9] 서적 Practical Handbook of Marine Science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0-1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