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승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염승숙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문학 평론가이다. 2005년 단편 소설 《뱀꼬리왕쥐》로 등단하여 소설가 활동을 시작했으며, 소설집 《채플린, 채플린》(2008), 《노웨어맨》(2011), 장편 소설 《어떤 나라는 너무 크다》(2013), 《여기에 없도록 하자》(2018) 등을 출간했다. 2017년부터는 문학 평론가로 활동하며, 팟캐스트 쇼 '소설가 윤고은, 염승숙의 테이블 토크'를 진행하고 있다. 그녀의 작품은 환상과 현실을 혼합하는 문체로, 인간 존재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2005년 현대문학 신인상, 2017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경향신문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2년 출생 - 지성호
지성호는 1982년생으로 1996년 기차 사고로 왼손과 다리를 잃고 2006년 탈북하여 북한 인권운동가로 활동하다가 제21대 국회의원, 이북5도위원회 함경북도지사를 역임했다. - 1982년 출생 - 이언 소프
이언 소프는 22개의 세계 신기록을 세우고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수영계의 전설적인 오스트레일리아 경영 선수로, 은퇴 후에는 방송, 사업, 자선 활동을 하며 사회적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 살아있는 사람 - 릴 테르셀리우스
릴 테르셀리우스는 위키백과 문서에서 관련 문서와 추가 자료를 제시하는 데 사용되는 구성 요소이다. - 살아있는 사람 - 마그달레나 툴
폴란드의 가수 마그달레나 툴은 2007년 데뷔 앨범 발매 후 2011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폴란드 대표로 참가했으며, 이후에도 앨범 발매와 유로비전 관련 활동, 방송 출연 등 다양한 음악 활동을 하고 있다.
염승숙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염승숙 |
로마자 표기 | Yeom Seung-suk |
출생 | 1982년 |
출생지 | 서울특별시 |
직업 | 소설가 |
활동 기간 | 2005년–현재 |
모교 | 동국대학교 |
작품 | |
주요 작품 | 뱀꼬리왕쥐 (2005) 채플린, 채플린 (2008) 미래파와 굴착기의 속도: 박솔뫼의 도시의 시간 비평 (2017) |
2. 생애
염승숙은 서울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한국 현대 소설을 즐겨 읽으며 작가의 꿈을 키웠다. 대학교에서 문예창작을 전공하며 여러 문학상을 받았고, 교수들에게 '염작'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2] 동국대학교에서 문학 학사 및 국어국문학과 박사 학위를 받았다.[3]
2005년 현대문학 신춘문예로 등단하여 소설가로 활동했고, 2017년부터는 문학 평론가로도 활동하며 한국 젊은 세대의 문제에 대한 비판 의식을 담은 평론을 발표해 주목받았다.[6]
문학 외에도 대학원에서 국문학을 전공하고 작가 한무숙 연구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7] 2017년부터 팟캐스트 소설 쓰는 윤고은, 염승숙의 테이블한국어을 진행하며 작가 지망생 및 독자들과 소통하고 있다.[8][9]
2. 1. 초기 생애 (1982-2005)
염승숙은 1982년 대한민국 서울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한국 현대 소설 선집을 반복해서 읽으며 뒷이야기를 상상하곤 했다. 소설가의 꿈을 이루기 위해 대학교에서 문예창작을 전공했다. 대학교 재학 시절, 가장 좋아하는 한국 작가들을 떠올리며 그들 중 한 명인 것처럼 문학 작품을 썼다.[1] 문학을 연습하던 시절에는 한국어 사전을 가지고 다니며 외국어를 공부하듯 단어를 암기하거나, 자신만의 단어를 만들어 사용하기도 했다. 정식 문학 데뷔 전에 이미 대학에서 여러 문학상을 수상했고, 교수들은 그녀를 '염작'이라고 불렀다.[2]이후 동국대학교에서 문학 학위를 받았고,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3]
2. 2. 등단 및 소설가 활동 (2005-현재)
염승숙은 2005년 현대문학 신춘문예를 통해 단편 소설 뱀꼬리왕쥐|뱀 꼬리를 가진 큰 쥐한국어를 발표하며 등단했다.[3] 이후 2008년 앤솔로지 채플린, 채플린|채플린, 채플린한국어, 2011년 노웨어맨|노웨어맨한국어, 2013년 소설 어떤 나라는 너무 크다|어떤 나라는 너무 크다한국어를 출간했다.[3] 그녀는 여러 공저에 단편 소설을 기고하기도 했다.2018년에는 두 번째 소설 여기에 없도록 하자|여기에 없도록 하자한국어를 발표하며 문학 창작 활동을 재개했다.
2. 3. 문학평론가 활동 및 기타 활동 (2017-현재)
2017년, 염승숙은 문학 평론가로 활동을 시작했다.[4] 다른 작가들의 작품을 꾸준히 읽으면서 독자로서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면서 문학 평론을 쓰게 되었다고 한다.[5] 그녀의 데뷔작인 ''없는 미래와 굴착기의 속도-박솔뫼 《도시의 시간》론''없는 미래와 굴착기의 속도-박솔뫼 《도시의 시간》론|없는 미래와 굴착기의 속도-박솔뫼 《도시의 시간》론한국어은 안정적인 미래를 기대할 수 없는 한국의 젊은 세대가 직면한 문제에 대한 확고한 비판 의식과 진지한 관심을 보여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6]염승숙은 문학계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해 왔다. 대학원에 진학하여 국문학을 전공했으며, 작가 한무숙의 한국 전쟁 후 문학 연구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7] 2017년부터는 팟캐스트 쇼 '소설가 윤고은, 염승숙의 테이블 토크'소설 쓰는 윤고은, 염승숙의 테이블|소설 쓰는 윤고은, 염승숙의 테이블한국어를 진행하고 있다.[8] 염승숙은 이 팟캐스트 쇼를 시작한 이유에 대해, 작가가 되기 전 소설을 어떻게 써야 할지에 대한 고민이 많았기에 '소설 쓰기에 대해 작가를 지망하는 사람들과 독자들과 소통하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9]
3. 작품 세계
김경연은 염승숙의 문체가 환상과 현실을 혼합하는 것이라고 묘사하며, "염승숙의 소설은 평범한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상황을 펼치는 환상적인 이야기로 특징지어진다. 그러나 그녀의 소설 속 환상은 우리의 현실과 그렇게 동떨어져 있지 않다. 그 안에서 환상과 현실은 불편함 없이 공존하며, 그 경계는 모호하다."라고 언급했다.[10]
염승숙은 2005년 단편 소설 《뱀꼬리왕쥐》를 발표하며 문단에 데뷔했고,[3] 이후 앤솔로지 《채플린, 채플린》(2008)과 《노웨어맨》(2011), 소설 《어떤 나라는 너무 크다》(2013), 《여기에 없도록 하자》(2018)를 출간했다.
3. 1. 주요 작품 경향
김경연은 염승숙의 문체가 환상과 현실을 혼합하는 것이라고 묘사한다.[10]김경연은 "염승숙의 소설은 평범한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상황을 펼치는 환상적인 이야기로 특징지어진다. 그러나 그녀의 소설 속 환상은 우리의 현실과 그렇게 동떨어져 있지 않다. 그 안에서 환상과 현실은 불편함 없이 공존하며, 그 경계는 모호하다."라고 언급하며 이를 뒷받침한다. 또한 김경연은 작가가 이러한 소설적 전략을 통해 '나는 누구인가?', '나는 지금 여기 실제로 존재하는가?', '만약 그렇다면, 이것을 어떻게 증명할 수 있는가?'와 같은 인간 존재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고 지적하며, 그녀의 소설이 어떤 진실을 담고 있다면 그것은 우리가 어떤 진실에 대해서도 확신할 수 없다는 사실일 것이라고 말한다. 독자들은 환상과 현실이 뒤섞인 그녀의 이야기에 몰입하면서 우리가 어떤 세상에 살고 있으며 그러한 세상에서 우리는 어떤 존재인지 스스로에게 질문하게 된다.[10]
3. 2. 작품 목록
염승숙은 2005년 단편 소설 《뱀꼬리왕쥐》를 발표하며 문단에 데뷔했고,[3] 이후 앤솔로지 《채플린, 채플린》(2008)과 《노웨어맨》(2011), 소설 《어떤 나라는 너무 크다》(2013)를 출간했다. 2018년에는 소설 《여기에 없도록 하자》를 발표하며 문학 창작 활동을 재개했다.3. 2. 1. 소설집
영어 제목한국어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