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등포구 갑 (1963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1963년 영등포구 갑 선거구는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로, 당시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의 일부 지역을 관할했습니다. 이 선거구는 1963년에 신설되어 1971년까지 존속했습니다.
역사:


  •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영등포구 갑 지역과 시흥군에서 편입된 지역을 토대로 신설되었습니다.
  •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영등포구 갑 선거구 가운데 일부 지역이 분리되어 새로운 영등포구 갑 선거구를 형성했습니다.
  •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영등포구 을과 합쳐지며 중선거구제 선거구인 영등포구 갑 선거구가 신설되면서 폐지되었습니다.

역대 국회의원:

  • 제6대: 박한상 (민정당, 1963년 12월 27일 ~ 1967년 6월 30일)
  • 제7대: 박한상 (신민당, 1967년 ~ 1971년)

역대 선거 결과:

  • 제6대 국회의원 선거 (1963년):
  • 유권자 수: 134,753명
  • 박한상 (민정당): 22,461표 (29.64%) - 당선
  • 윤명운 (민주당): 16,688표 (22.02%)
  • 성인기 (민주공화당): 13,469표 (17.77%)
  • 윤재욱 (국민의당): 11,130표 (14.69%)
  • 유진순 (자유민주당): 8,387표 (11.07%)
  • 길봉기 (신민회): 1,449표 (1.91%)
  • 이강섭 (보수당): 1,369표 (1.80%)
  • 황상기 (추풍회): 803표 (1.05%)

  • 제7대 국회의원 선거 (1967년):
  • 유권자 수: 174,280명
  • 박한상 (신민당): 59,203표 (60.17%) - 당선
  • 조효원 (민주공화당): 35,613표 (36.19%)
  • 김인태 (대중당): 1,468표 (1.49%)
  • 이강섭 (한국독립당): 1,351표 (1.37%)
  • 김지환 (정의당): 746표 (0.75%)
  • 조영석 (자유당): 0표 (0%)


1963년 영등포구 갑 선거구에 대한 추가 정보가 필요하시면 알려주세요.

영등포구 갑 (1963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의회국회
큰 지도서울특별시
연도1963년
폐지1971년
유형국회
이전 선거구영등포구 을
김포군
부천군
이후 선거구영등포구 갑
영등포구 을
의원 수1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