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예르겐 모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르겐 모에는 노르웨이의 민속학자, 성직자, 작가이다. 그는 페테르 크리스텐 아스비에른센과 함께 노르웨이 민담을 수집, 출판하여 노르웨이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노르웨이어 발전에 기여했다. 모에는 서정시를 발표하고, 어린이를 위한 산문집을 출판하는 등 문학 활동을 펼쳤으며, 크리스티안산 교구의 주교를 역임했다. 그의 아들 몰트케 모에는 아버지의 민속 연구를 이어받아 학문적 업적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스케루주 출신 - 레나테 레인스베
    레나테 레인스베는 노르웨이 출신의 배우로, 2021년 영화 《사랑할 땐 누구나 최악이 된다》에서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노르웨이의 민속학자 - 페테르 크리스텐 아스비에른센
    페테르 크리스텐 아스비에른센은 노르웨이의 동화 작가이자 동물학자로서 노르웨이 민담집을 출판하고 동물학 연구에 기여했으며 노르웨이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노르웨이의 민속학자 - 소푸스 부게
    노르웨이의 문헌학자이자 민속학자인 소푸스 부게는 크리스티아니아 대학교에서 고대 노르드어 교수를 지내며 《시 에다》 연구, 룬 문자 연구, 노르웨이 민요 및 전승 수집에 기여했다.
  • 노르웨이의 작가 - 페테르 크리스텐 아스비에른센
    페테르 크리스텐 아스비에른센은 노르웨이의 동화 작가이자 동물학자로서 노르웨이 민담집을 출판하고 동물학 연구에 기여했으며 노르웨이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노르웨이의 작가 - 옌니 발
    옌니 발은 1990년대 후반 밴드 활동을 시작한 노르웨이의 싱어송라이터이자 작가, 음악 프로듀서로, Rockettothesky라는 이름으로 데뷔 후 Jenny Hval이라는 예명으로 솔로 활동을 하며 다양한 앨범을 발매했고 소설가로서도 활동했다.
예르겐 모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돌프 클로스가 그린 예르겐 모에의 초상화
아돌프 클로스가 그린 "예르겐 모에"
이름예르겐 엥에브레첸 모에
원어 이름Jørgen Engebretsen Moe
출생1813년 4월 22일
출생지덴마크-노르웨이 홀레
사망1882년 3월 27일 (68세)
사망지노르웨이 크리스티안산
매장지크리스티아니아 베스트레 에이커 교회 묘지
국적노르웨이
종교기독교
배우자요하네 프레드릭케 소피에 쇠렌센
자녀몰트케 모에
직업사제
직위
직함크리스티안산 주교
소속 교회노르웨이 교회
교구크리스티안산 교구
임명1874년
임기1874년–1882년
교육
부모
부모엥에브레트 올센 모에와 마르테 예르겐스다테르

2. 생애

예르겐 엥게브레첸 모에는 노르웨이 링게리케의 홀레에 있는 외브레 모에 농가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지역 농부이자 정치인인 엥게브레트 올센 모에였다. 노르데르호브 교구청에서 시험을 준비하던 중 아스비에른센을 처음 만났는데, 이들은 곧 민속학에 대한 공통된 관심사를 발견하고 평생의 동반자가 되었다.[2]

1873년 성 올라프 훈장 기사로 임명되었고, 1881년에는 1등급 십자 훈장을 받았다. 1882년 1월, 건강 악화로 교구를 사임했고, 이듬해 3월에 사망했다. 아들 몰트케 모에는 아버지의 민속 및 동화 연구를 이어받아 크리스티아니아 대학교 (현재의 오슬로 대학교)에서 이 분야의 첫 번째 교수가 되었다.[6][7]

2. 1. 민속학 연구

1841년부터 모에는 거의 매년 여름 노르웨이 남부 지역을 여행하며 산악 지역에 사는 사람들로부터 전통과 이야기를 수집했다.[1] 이는 훗날 아스비에르센과 함께 펴낸 『노르웨이 민담(Norske Folkeeventyr)』 출간의 기반이 되었다.

2. 2. 성직자 활동

1845년, 모에는 노르웨이 육군사관학교의 신학 교수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그는 오랫동안 성직을 갖기를 원했고, 1853년에 성직자가 되었다. 그는 10년 동안 크뢰스헤라드의 올베르그 교회와 시달의 홀멘 교회에서 거주 사제로 지냈다.[1]

첫 번째 교구에서 그는 ''den gamle Mester'' (늙은 거장)와 ''Sæterjentens Søndag'' (산목장의 일요일)과 같은 유명한 시에 대한 많은 영감을 얻었다. 1863년, 드람멘으로 이주하여 브라게르네스 교회의 교구 사제가 되었고, 1870년에는 크리스티아니아 (현재 오슬로) 근처의 베스트레 아케르로 이주했다. 1874년, 크리스티안산 대성당을 기반으로 한 크리스티안산 교구의 주교가 되었으며, 1874년부터 1882년 사망할 때까지 이 직책을 맡았다. 그는 매우 사랑받는 주교였고, 그의 가르침은 동시대 사람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3][4]

2. 3. 문학 활동

모에는 1850년에 시집을 출판하여 서정시에 대한 비평적인 관심을 받았다.[5] 모에는 서술에서 자아를 제거한다는 의미에서 글쓰기가 "객관적"이어야 한다고 강력하게 느꼈다.[5] 그럼에도 그는 자신의 작품에서 문학적 미학을 구축하고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5] 그는 독창적인 시를 거의 쓰지 않았지만, 그의 얇은 책에는 섬세하고 신선한 많은 작품들이 있다.[5] 그의 첫 번째 교구에서 그는 ''den gamle Mester'' (늙은 거장)와 ''Sæterjentens Søndag'' (산목장의 일요일)과 같은 그의 가장 유명한 시의 많은 영감을 얻었다.[1]

모에는 또한 어린이를 위한 매력적인 산문 단편집 ''I Brønden og i Tjernet'' (우물과 늪에서)를 1851년에, ''En liden Julegave'' (작은 크리스마스 선물)를 1860년에 출판했다.[5] 아스비에르센과 모에는 훌륭한 서술 산문 스타일을 가지고 있었다.[5] 활력은 아스비에르센에게서, 매력은 모에에게서 오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그들은 오랫동안 함께 글을 쓰는 습관을 통해 거의 정확히 동일한 문학적 표현 방식을 채택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5]

3. 아스비에른센과 모에의 업적

페테르 크리스텐 아스뵤르손과 함께 예르겐 모에는 노르웨이 민담을 수집하고 체계화하여 『노르웨이 민담』을 출간했다. 이 책은 그림 형제의 동화집과 비견될 정도로 노르웨이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다른 나라들도 풍부한 민속 문학을 가지고 있지만, 노르웨이인들은 일반적으로 아스뵤르손과 모에의 작업을 통해 자신들의 문학이 가장 독창적이고 풍부하다고 주장한다.[1] 모에의 시 중 일부는, 특히 그에 맞춰진 곡조 때문에 여전히 소중히 여겨진다. 그의 교회에서의 업적은 현재 지역적으로는 기억되지만 대부분 잊혀졌다.[1]

3. 1. 노르웨이어 발전에 기여

페테르 크리스텐 아스뵤르손과 함께 예르겐 모에는 노르웨이 문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 노르웨이인들에게 아스뵤르손과 모에라는 이름은 전통 민담과 동의어가 되었으며, 이는 그림 형제의 이름이 독일 문학의 이야기와 연관되는 방식과 같다. 그들은 노르웨이 동화의 부를 수집하고 보존하여 일반 독자를 위해 편집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노르웨이어의 발달에도 기여했다.

3. 2. 노르웨이 정체성 확립

페테르 크리스텐 아스뵤르손과 함께 예르겐 모에는 노르웨이 문화에 큰 영향을 끼쳤다. 노르웨이인들에게 아스뵤르손과 모에라는 이름은 그림 형제독일 문학에서 차지하는 위상처럼, 전통 민담과 동의어가 되었다. 그들은 노르웨이 동화의 풍요로움을 수집하고 보존하여 일반 독자를 위해 편집했을 뿐만 아니라, 노르웨이어 발달에도 기여했다.[1]

다른 나라들도 풍부한 민속 문학을 가지고 있지만, 노르웨이인들은 일반적으로 아스뵤르손과 모에의 작업을 통해 자신들의 문학이 가장 독창적이고 풍부하다고 주장한다. 그들의 작품은 노르웨이 정체성의 매우 중요한 부분을 구성한다. 창의성과 기지를 통해 항상 공주와 왕국의 절반을 얻는 인물인 '아스켈라덴'(잿더미 소년)은 전형적인 노르웨이적인 것으로 여겨진다.[1]

4. 주요 작품

예르겐 모에의 주요 작품
제목출판 연도기타
노르웨이 민간 방언 노래, 민요 및 스티브 모음집1840년[1] (1869년 증보판[1])린데만이 작곡한 멜로디와 함께 출간
노르웨이 민담1841년–1852년[1] (1882년 확장판[1])아스비에른센과 공동 저술, 조지 웹 데이선트 번역의 영어판 1859년 출간
(Digte)1849년[1]시집
우물과 샘에서1851년[1]민요를 바탕으로 한 청소년 소설 및 설교
크리스마스 트리에 걸기1855년[1]
작은 크리스마스 선물1860년[1]
전집1877년[1]민담 제외한 작품집


5. 링에리케스 박물관

링에리케스 박물관은 회네포스에 있으며, 아스비에르센과 모에가 처음 만난 옛 노르데르호브 교구 사택 부지에 자리 잡고 있다. 이곳은 현재 링에리케 지역의 지역 박물관으로, 이들의 기념품을 소장하고 있다.[9] 박물관은 예르겐 모에의 개인 소장품 컬렉션으로도 유명하다. 1930년대에 예르겐 모에의 딸인 마리 모에는 예르겐 모에의 개인 집에서 가져온 수백 개의 물건을 기증했다.[9]

6. 평가

페테르 크리스텐 아스비에른센과 함께 예르겐 모에는 노르웨이 문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 노르웨이인들에게 아스비에른센과 모에라는 이름은 그림 형제독일 문학의 이야기와 연관되는 방식처럼, 전통 민담과 동의어가 되었다.[6] 이들은 노르웨이 동화의 풍부함을 수집, 보존하고 일반 독자를 위해 편집했을 뿐만 아니라, 노르웨이어 발달에도 기여했다.

다른 나라들도 풍부한 민속 문학을 가지고 있지만, 노르웨이인들은 일반적으로 아스비에른센과 모에의 작업을 통해 자신들의 문학이 가장 독창적이고 풍부하다고 주장한다. 그들의 작품은 노르웨이 정체성의 매우 중요한 부분을 구성한다. 창의성과 기지를 통해 항상 공주와 왕국의 절반을 얻는 인물인 ''아스켈라덴''(잿더미 소년)은 전형적인 노르웨이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모에의 시 중 일부는, 특히 그에 맞춰진 곡조 때문에 여전히 소중히 여겨진다. 그의 교회에서의 업적은 현재 지역적으로는 기억되지만 대부분 잊혀졌다.[6]

참조

[1] 웹사이트 Jørgen Moe https://snl.no/J%C3%[...] 2017-04-25
[2] 간행물 Buskerud, Hole herad, Hole sokn http://www.dokpro.ui[...]
[3] 웹사이트 Jørgen Engebretsen Moe http://www.gonorway.[...] GoNorway.no
[4] 웹사이트 Domkirkens historie før 1880 R. Stav Johanssen Printing A/S Kristiansand 2007-01-01
[5] 웹사이트 The Norwegian Folk Tales and their Illustrators http://www.rootsweb.[...] Norway List
[6] 웹사이트 Jørgen Moe http://www.norsknett[...]
[7] 웹사이트 Asbjørnsen and Moe http://www.pookpress[...] Pook Press 2016-06-01
[8] 웹사이트 Norske Folkeeventyr. A Polysystemic Approach to Folk Literature in Nineteenth-Century Norway http://www.kuleuven.[...]
[9] 웹사이트 Jørgen Moe minnet http://www.ringerike[...] Ringerikes Museu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