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화부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화부인은 춘주(현재의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출신으로, 대광 왕유의 딸이며 해주 왕씨이다. 고려 태조의 부인으로, 태조와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 《고려사》에 생애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없으며, 생몰년이나 능지에 대한 기록도 전해지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춘천 박씨 - 박지윤 (성우)
박지윤은 성신여자대학교 성악과를 졸업하고 KBS 성우 연기대상 신인 연기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성우로, 다양한 애니메이션과 외화 더빙에 참여했으며 배우 박용식의 딸이자 성우 정형석의 배우자이다. - 춘천 박씨 - 왕유 (해주)
왕유는 고려 태조 왕건의 장인으로 광해주 출신이며, 궁예 밑에서 동궁기실을 지냈으나 항거하여 은거하였고, 왕건이 즉위 후 왕씨 성을 하사받았다. - 해주 왕씨 - 왕자지
왕자지는 고려 시대 문신으로, 왕국모의 쿠데타를 통해 요직에 발탁되었고, 윤관의 여진족 정벌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으며, 여러 관직을 역임하고 송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기도 했다. - 해주 왕씨 - 왕유 (해주)
왕유는 고려 태조 왕건의 장인으로 광해주 출신이며, 궁예 밑에서 동궁기실을 지냈으나 항거하여 은거하였고, 왕건이 즉위 후 왕씨 성을 하사받았다. - 고려의 후궁 - 순정왕후
순정왕후는 고려 공민왕의 후궁으로, 한씨이며, 1371년 우왕의 법적 어머니로 선포되었고 1374년 순정왕후로 추존되었으나 우왕 폐위 후 의릉이 철폐되었다. - 고려의 후궁 - 경화궁부인
고려 혜종과 의화왕후의 딸인 경화궁부인은 이복 숙부 광종과 혼인하여 경화궁부인의 호를 받았으나, 왕비가 아닌 부인의 위치에 머물렀으며, 소생 없이 생몰년과 능에 대한 기록이 없어 자세한 정보는 알 수 없다.
예화부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예화부인 |
원래 이름 | 미상 |
다른 이름 | 미상 |
로마자 표기 | Yehwa Buin |
한글 표기 | 예화부인 |
한자 표기 | 禮和夫人 |
직위 | |
직책 | 고려 태조의 후궁 |
재위 기간 | 미상 |
전임 | 동산원부인 |
후임 | 대서원부인 |
생애 | |
출생 | 생년 미상(生年 未詳) |
출생지 | 강원도 춘천(江原道 春川) |
사망 | 몰년 미상(沒年 未詳) |
사망지 | 강원도 춘천(江原道 春川) |
매장지 | 미상 |
가족 관계 | |
부군 | 고려 태조(太祖) |
자녀 | 미상 |
아버지 | 왕유 (해주)(王儒) |
어머니 | 미상 |
기타 정보 | |
가문 | 해주 왕씨(海州) |
왕조 | 고려(高麗) |
종교 | 불교(佛敎) |
2. 생애
예화부인은 춘주(지금의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출신으로, 대광 왕유의 딸이다.[5][6] 본관은 해주이다.[7] 왕유는 원래 박씨였다가 태조로부터 왕씨 성을 하사받은 인물로, 해주 왕씨의 시조이기도 하다. 왕유는 태봉의 궁예 휘하에 있었으나, 궁예의 난정으로 깊은 산 속에 은거하였다가 고려 개국 후 태조에게 찾아왔으며, 이후 여러 요직을 거쳤다.[7][8] 예종 때 여진을 격파하는 전공을 세우고 참지정사가 된 왕자지는 그의 현손이다.[7][8]
아버지는 해주 왕씨의 시조 왕유이며, 어머니는 미상이다. 남편은 고려 태조(877~943, 재위: 918~943)이다.
[1]
문서
He was said to had a straight personality and was proficient in [[Confucianism]], also served as ''Donggunggisil'' ({{Korean|hangul=동궁기실|hanja=東宮記室|labels=no}}) under [[Gung Ye]]'s reign. After hiding among the mountains, when Yu came down after hearing the news that Wang Geon had ascended to the throne, Wang Geon treated Yu greatly and made him take on administrative duties. Since Wang Yu's activities as a Writer made the great helps to Wang Geon, his daughter then was chosen as Wang Geon's consort.
당시 춘주는 개경에서 강원도로 가는 길의 요충지 역할을 하던 곳으로, 태조가 이러한 춘주 지역의 특성을 바탕으로 영서 지방을 중심으로 한 강원도 지역을 점령하기 위해서 이 지역 출신의 여인을 부인으로 맞이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9]
《고려사》에는 예화부인의 생애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없으며, 생몰년이나 능지에 대한 기록 역시 남아있는 것이 없다. 호는 '''예화부인'''이다. 남편 태조와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
3. 가계
4. 기타
참조
[2]
웹사이트
ko:성씨정보 고려 왕후록(王后錄) – 고려의 왕비 :+
http://www.surname.i[...]
2021-10-04
[3]
웹사이트
ko:고려시대 史料 Database
http://db.history.go[...]
2021-09-04
[4]
웹사이트
ko:고려시대 史料 Database
http://db.history.go[...]
2021-09-04
[5]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춘주〉항목
https://terms.naver.[...]
[6]
서적
《고려사》권88〈열전〉권1 - 예화부인 왕씨
[7]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왕유〉항목
https://web.archive.[...]
2012-06-22
[8]
서적
《고려사》권92〈열전〉권5 - 왕유
[9]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예화부인〉항목
https://web.archive.[...]
2012-06-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