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가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가면은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오원리면과 우가산면을 통합하여 신설된 면으로, 충청남도 예산군에 속한다. 고대에는 마한에 속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예산현에 해당했다. 12개의 법정리와 22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가초등학교, 양신초등학교, 임성중학교가 위치해 있다. 1983년 일부 지역이 삽교읍으로 편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산군의 행정 구역 - 삽교읍
삽교읍은 충청남도 예산군에 위치하며 삽교천과 아산만이 만나는 지점에 자리 잡은 읍으로, 1973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갯벌과 농경지가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지리적 특징을 가지며 삽교천을 중심으로 농업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 충청남도의 읍·면 - 광천읍
광천읍은 충청남도 홍성군 남부에 위치한 읍으로, 조선시대 옹암포를 중심으로 해상 교통의 요지였으며 충남선, 장항선 개통으로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고, 토굴 새우젓과 조선김이 유명한 곳이다. - 충청남도의 읍·면 - 송악읍
충청남도 당진시에 위치한 송악읍은 조선시대 여러 면과 홍주목 일부 지역이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당진군 송악면으로 통합된 후 2010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기지시줄다리기 등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서해안고속도로와 국도를 통해 교통망과 연결된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한남동
한남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성동구, 이태원동, 보광동과 접하고 한강과 마주하며, 한남대로를 통해 강남과 연결되고 능터골 전설이 전해지며, 한남역, 한강진역과 한남대교, 한남대로, 소월로 등의 교통 요충지이며, 서울한남초등학교, 리움미술관, 백범김구기념관 등 교육 및 문화 시설이 위치한 지역이다.
오가면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오가면 |
한자 표기 | 吾可面 |
영문 표기 | Oga-myeon |
광역시도 | 충청남도 |
시군구 | 예산군 |
면적 | 32.3 |
세대 | 2,313 |
세대 조사일 | 2011년 7월 31일 |
인구 | 5,704 |
인구 조사일 | 2011년 7월 31일 |
법정리 | 12 |
행정리 | 26 |
반 | 80 |
면사무소 | 오가면 오가중앙로 86-12 (역탑리 226-7) |
홈페이지 | 오가면 행정복지센터 |
2. 역사
마한에 속했다. 목지국의 성(城)이 있었던 삽교읍 성리(城里)에 접해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현이었고, 23부제에서 홍주부에 속했다. 1914년 오원리면(五元里面), 구화면(巨九火面), 우가산면(于可山面)을 통합하면서 오가면으로 정해졌다. 오가면은 오원리면의 오(五)자와 우가산면의 가(可)자를 따서 만들어졌다.
오원리면은 역리(驛里), 녹야리(綠野里), 오리지리(五里池里) 등 9개 리, 거구화면은 내동리(內洞里), 광률리(光律里), 좌이천리(佐耳川里) 등 4개 리, 우가산면은 벌리(伐里), 석우리(石隅里), 신효리(新孝里) 등 6개 리를 관할했다. 해동지도에는 일흥역(日興驛), 오원리면, 거구화면, 방가산면(方可山面) 등이 묘사되어 있다.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예산군 오원리면, 거구화면, 우가산면이 통합되어 오가면이 되었다.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예산군 오원리면 | 오가면 신원리, 역탑리, 오촌리, 원천리 |
예산군 거구화면 | 오가면 내량리, 분천리, 양막리, 좌방리 |
예산군 우가산면 | 오가면 신석리, 신장리, 원평리, 월곡리, 효림리 |
1983년 2월 15일 대통령령 제11027호에 따라 효림리, 좌방리, 월곡리 일부가 삽교읍으로 편입되었다.
2. 1. 고대 ~ 조선 시대
마한에 속했다. 목지국의 성(城)이 있었던 삽교읍 성리(城里)에 접해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현이었고, 23부제에서 홍주부에 속했다. 1914년 오원리면(五元里面), 구화면(巨九火面), 우가산면(于可山面)을 통합하면서 오가면으로 정해졌다. 오가면은 오원리면의 오(五)자와 우가산면의 가(可)자를 따서 만들어졌다.오원리면은 역리(驛里), 녹야리(綠野里), 오리지리(五里池里) 등 9개 리, 거구화면은 내동리(內洞里), 광률리(光律里), 좌이천리(佐耳川里) 등 4개 리, 우가산면은 벌리(伐里), 석우리(石隅里), 신효리(新孝里) 등 6개 리를 관할했다. 해동지도에는 일흥역(日興驛), 오원리면, 거구화면, 방가산면(方可山面) 등이 묘사되어 있다.
2. 2. 일제강점기 ~ 현대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예산군 오원리면, 거구화면, 우가산면이 통합되어 오가면이 되었다.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예산군 오원리면 | 오가면 신원리, 역탑리, 오촌리, 원천리 |
예산군 거구화면 | 오가면 내량리, 분천리, 양막리, 좌방리 |
예산군 우가산면 | 오가면 신석리, 신장리, 원평리, 월곡리, 효림리 |
1983년 2월 15일 대통령령 제11027호에 따라 효림리, 좌방리, 월곡리 일부가 삽교읍으로 편입되었다.
2. 3. 자연 부락의 변화
역탑리는 역촌리(驛村里)와 탑동(塔洞)을, 신석리는 신대리(新垈里)와 백석리(白石里)를, 좌방리(佐方里)는 좌천리(佐川里)와 방하리(方下里)를, 양막리(良幕里)는 굴량리(屈良里)와 막동(幕洞)을, 월곡리(月谷里)는 월산리(月山里)와 죽곡리(竹谷里)를, 오촌리는 화천리, 신탄리, 아지리, 녹야리, 상촌리의 다섯 마을을 통합하면서 부르게 된 지명이다.분천마을은 현재의 분천리가 시작된 마을로, 부나냇가가 되므로 부나내, 또는 부난내라 하다가 분천으로 바뀌었다. 거룻들마을은 분천 서북쪽에 있는 마을로, 전에는 이곳에 나루가 있어 거룻배가 다녔다 하여 유래된 이름이다. 농소마을은 조선시대 때 이곳에 농소(고려 말기ㆍ조선 초기에, 세력가들이 사사로이 차지하고 있던 대토지 소유 형태의 땅)가 있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남부마을은 현재의 분천4리의 대다수를 차지한다. 거룻들 남쪽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으로, 6.25 사변 때 이재민을 이곳에 정착시키면서 시작된 마을이다. 황해도 황주 출신들이 많다고 전해진다. 세집뜸마을은 분천 서쪽에 있는 마을로 전에 세 집이 살았다 하여 불리게 된 이름이라 한다.
한자 표기 | 자연 부락 | 현재 위치 |
---|---|---|
광진리(光津里) | 광쟁이 | 분천3리 |
굴량리(屈良里) | - | 내량리 |
내동리(內洞里) | 안골 | 내량리 |
농소리(農所里) | 거룻들 | 분천2리 |
남부(南部) | - | 분천4리 |
목소리(木所里) | - | - |
방하-리(方下-里) | 방하다리 | 좌방리 |
분천리(汾川里) | 부나내·부난내 | 분천리 |
좌이천리(佐耳川里) | 자구내 | 좌방리 |
갈림리(葛林里) | 칙데비 | 효림리 |
상벌리(上筏里) | 윗벌말 | 원평리 |
석우리(石隅里) | 돌모루 | 월곡리 |
신대리(新垈里) | - | 신석리 |
신효리(新孝里) | 방죽머리 | 효림리 |
지장리(池莊里) | 지장말 | 신장리 |
하벌리(下筏里) | 아랫벌말 | 원평리 |
오가면은 12개의 법정리와 22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3. 행정 구역
법정리 행정리 비고 내량리 내량1리, 내량2리, 내량3리 분천리 분천1리, 분천2리, 분천3리, 분천4리 신석리 신석리 신원리 신원1리, 신원2리 신장리 신장1리, 신장2리 양막리 양막리 역탑리 역탑1리, 역탑2리 면 행정복지센터 소재지 오촌리 오촌1리, 오촌2리 원천리 원천1리, 원천2리, 원천3리, 원천4리 원평리 원평1리, 원평2리 월곡리 월곡리 좌방리 좌방1리, 좌방2리
4. 교육
5. 비고
오가면에는 부나내, 거룻들, 농소, 남부, 세집뜸마을 등의 자연마을이 있다. 분천마을은 현재 분천리의 시초가 된 마을로, 부나냇가에 있어 부나내, 또는 부난내라 불리다가 분천으로 바뀌었다. 거룻들마을은 분천 서북쪽에 위치하며, 과거 나루터가 있어 거룻배가 다녔던 것에서 유래했다. 농소마을은 조선시대에 농소(고려 말기ㆍ조선 초기에 세력가들이 사사로이 차지하고 있던 대토지)가 있던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남부마을은 현재 분천4리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거룻들 남쪽에 있다. 6.25 전쟁 당시 이재민 정착촌이 조성되면서 시작되었으며, 황해도 황주 출신 실향민들이 많이 거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집뜸마을은 분천 서쪽에 위치하며, 과거 세 집이 살았던 것에서 유래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