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거는 프랑스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본래 에트루리아 신화의 식인 신 오르쿠스에서 파생되었다. 오거는 강력하고 흉폭한 인간형 괴물로 묘사되며, 서양의 동화, 판타지 소설, 영화, 게임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서 등장한다. 특히, 《던전 & 드래곤》과 같은 역할 수행 게임에서 몬스터나 플레이 가능한 종족으로 나타나며, 《슈렉》과 같은 작품에서는 독특한 캐릭터로 묘사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거 - 트롤
트롤은 노르드 신화에서 유래하여 악마, 귀신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닌 신화적 존재로, 요툰의 한 종류로 묘사되며 인간에게 적대적인 특징을 갖고, 스칸디나비아 민속에서는 햇빛에 닿으면 돌로 변하는 늙고 어리석은 존재로 나타나며, 대중문화에서는 괴물이나 인기 캐릭터, 온라인에서는 악성 댓글을 다는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 식인 - 바바 야가
바바 야가는 슬라브 민담에 등장하는 닭다리 오두막에 살며 절구와 공이를 타고 빗자루로 흔적을 지우는 마녀 또는 요괴 할머니로, 때로는 악역으로, 때로는 조력자로 등장하는 동유럽 민속의 독특한 인물이다. - 식인 - 예티
예티는 히말라야 산맥에 전해지는 전설적인 유인원으로, 과학적 증거는 부족하지만 문화적 중요성을 가지며 관광 산업에도 영향을 미친다.
오거 | |
---|---|
개요 | |
![]() | |
다른 이름 | 기신(鬼神), 악귀(惡鬼) |
어원 | 숨다 (隠 (お) ぬ, Onu) 망령 (音霊 (おとだま), Otodama) |
출신 | 일본 |
특징 | |
외형 | 인간과 유사하거나 크게 다른 모습 뿔, 뾰족한 손톱, 헝클어진 머리카락, 송곳니 크고 빛나는 눈, 붉거나 푸른 피부 |
복장 | 호피 (虎皮) 훈도시 차림 |
소지품 | 쇠몽둥이 (金棒, kanabō) |
능력 | 강력한 힘, 초자연적인 능력, 변신 |
문화적 의미 | |
역할 | 재앙, 파괴, 질병의 원인 악인 징벌, 선인 보호 |
상징 | 힘, 공포, 초자연 악으로부터의 보호 |
관련 문화 | 세쓰분 (節分) 모모타로 (桃太郎) |
대중문화 속 오니 | |
등장 작품 | 영화,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 다양한 매체에서 등장 요괴워치 (妖怪ウォッチ), 귀멸의 칼날 (鬼滅の刃) 등 |
이미지 | 긍정적 이미지: 정의롭고 용감한 모습 부정적 이미지: 사악하고 파괴적인 모습 |
참고 | |
관련 항목 | 요괴 (妖怪) 도깨비 악마 |
2. 어원
'오거(ogre)'라는 단어는 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그 기원은 사람의 살을 먹는 에트루리아 문명의 신 오르쿠스(Orcus)로 여겨진다.[2] 이 단어가 처음 등장한 문헌은 12세기 후반 크레티앙 드 트루아의 운문 로맨스 ''페르스발, 성배의 이야기''이다.
"오거(ogre)"라는 단어는 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원래 사람을 먹었다고 전해지는 에트루리아 문명의 신 오르쿠스(Orcus)에서 파생되었다. 이 단어는 크레티앙 드 트루아의 12세기 후반 운문 로맨스 ''페르스발, 성배의 이야기''에서 처음 등장한다. "오르코(orco)"라는 단어는 13세기부터 이탈리아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잠바티스타 바실레는 그의 이야기에서 나폴리 방언 단어 "우에르코(uerco)" 또는 표준 이탈리아어로 "오르코(orco)"를 사용했다.
이탈리아어에서는 '오르코(orco)'라는 단어가 적어도 13세기부터 사용되었으며,[2] 잠바티스타 바실레는 자신의 이야기에서 나폴리 방언인 '우에르코(uerco)'를 사용하며 여성 오거(예: 페트로시넬라)를 처음으로 언급했다.[4]
'오거'라는 단어는 샤를 페로와 마리-카트린 도롤누아의 동화에서 널리 사용되면서 대중화되었다. 일각에서는 '오거'라는 단어가 '헝가리인(Hongrois)'에서 유래했다는 주장도 있는데, 이는 서구 문화가 헝가리인을 괴물처럼 여겼기 때문이라는 설이다.[5]
3. 다양한 문화권에서의 오거
"오거"는 제프리 오브 몬머스의 가공역사 작품 ''브리튼 열왕사''에서 인간 정착 이전 브리튼 거주자를 지칭하는 단어로 언급될 수 있으며, J.R.R. 톨킨의 ''오크(Orc)''에 영감을 준 라틴어 "오르쿠스(orcus)"와 베오울프 112–113행에 나오는 고대 영어 "오르크네아스(orcnēas)"와 어원적 관련이 있을 수 있다.[4]
프랑스 학술원은 이 단어가 "헝가리인(Hongrois)"에서 파생되었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서구 문화가 헝가리인을 괴물로 여겼기 때문이다.[5] 오거는 성경의 오그(Og), 마지막 거인(또는 그리스 강신 오이아그로스, 오르페우스의 아버지)에서 파생되었을 수도 있다.
3. 1. 서양
"오거(ogre)"라는 단어는 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원래 사람의 살을 먹었다고 전해지는 에트루리아 문명의 신인 오르쿠스(Orcus)에서 파생되었다. 이 단어의 가장 초창기 증거는 크레티앙 드 트루아의 12세기 후반의 운문 로맨스 ''페르스발, 성배의 이야기''에 등장한다.
"오르코(orco)"라는 단어는 적어도 13세기부터 이탈리아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이탈리아 작가 잠바티스타 바실레 (1575–1632)는 그의 이야기 중 일부에서 관련 나폴리 방언 단어 "우에르코(uerco)" 또는 표준 이탈리아어로 "오르코(orco)"를 사용했으며, 최초로 여성 오크(예: 페트로시넬라)에 대해 언급했다.
현대에는 오거가 던전 & 드래곤 역할 수행 게임에 등장하는 크고 강력한 인간형 생물로, 지능은 평균보다 약간 낮다.[6][7] 이들은 여러 판본에서 적대자[8][9][10][11][12][13][14][15][6]로 등장하지만,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로도 등장한다.[16][17][18]
슈렉은 1990년부터 윌리엄 스테이그의 책, 드림웍스 애니메이션의 여러 영화, TV 시리즈, 뮤지컬에 등장하는 녹색 피부의 오거 캐릭터이다.
3. 1. 1. 서양 동화 속 오거
샤를 페로(1628–1703)와 마리-카트린 주멜 드 베르네빌, 콩테스 도롤누아(1650–1705)는 프랑스 작가로, "오거(ogre)"라는 단어를 널리 사용했다. 페로의 작품에서 "오거"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한 것은 ''과거의 이야기 또는 이야기''(1696)였다. 이 단어는 이후 바실레의 나폴리 이야기를 기반으로 한 그의 다른 여러 동화에 등장했다. 여성 오거가 "오그레스(ogress)"로 언급된 최초의 예는 ''잠자는 숲속의 미녀''에서 발견되며, "오그레스(ogresse)"로 표기되었다. 마담 도롤누아는 ''오랑지에와 라베이유''(1698)에서 "오거(ogre)"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했으며, 이 생물의 자손을 지칭하기 위해 "오그리(ogree)"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했다.[5]
다음은 오거가 등장하는 동화 목록이다.
제목 |
---|
장화 신은 고양이 |
호프오브마이섬 |
잠자는 숲속의 미녀 |
곰가죽 |
벌과 오렌지 나무 |
코르베토 |
비둘기 |
요술 암사슴 |
피네트 샌드론 |
벼룩 |
가룰포 |
리사 앤 더 프린스 |
미스터 미아카 |
이기적인 거인 |
오거의 이야기 |
세 개의 왕관 |
바이올렛 |
4. 현대 문학 및 매체에서의 오거
현대 판타지 소설, 영화, 게임 등에서 오거는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한다. 던전 앤 드래곤을 비롯한 여러 롤플레잉 게임에서 오거는 몬스터 혹은 플레이 가능한 종족으로 등장한다.[6] [8][9][10][11][12][13][14][15] [16][17][18] 《Dungeons & Dragons for Dummies》의 저자들은 오거가 "플레이어들에게 크고 강력하며 어리석은 몬스터와의 전투를 가르쳐주며, 이는 D&D의 상징적인 경험"이라고 말한다.[19]
드림웍스의 영화 슈렉은 녹색 피부의 오거이지만, 전통적인 오거의 이미지와는 달리 친근하고 유머러스한 캐릭터로 그려진다. 1990년부터 윌리엄 스테이그의 책을 시작으로, 여러 영화, TV 시리즈, 뮤지컬에 등장하였다.
오거 멀가라스는 《스파이더위크 연대기》 도서 시리즈의 주요 악당으로, 영화와 TV 시리즈로도 각색되었다.
오거는 《곰돌이 푸우의 모험》에서 악당인 이그손 공작의 군대를 구성한다.[20] 이 어린이 TV 시리즈에서 그들은 의류와 장비에서 신중세주의적 장식을 통해 강조된 의인화된 생물로 표현된다.[21]
스머프에서 오거는 인간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인간보다 튼튼하다.
디스인챈트에서 엘포의 모계 가족은 오거이며, 이는 그를 오거와 엘프의 혼혈로 만든다.
참조
[1]
서적
Why do Ogres Eat Babies?
SpringerLink
[2]
서적
Dizionario Biografico degli Italiani
2019
[3]
웹사이트
Vocabolario Degli Accademici Della Crusca
http://vocabolario.b[...]
2007-10-13
[4]
웹사이트
Beowulf
http://www.humanitie[...]
Humanities.mcmaster.ca
2012-03-28
[5]
문서
Dictionnaire de l'Académie française (1932–35)
[6]
서적
The Monsters Know What They're Doing
https://books.google[...]
Saga Press
2019
[7]
간행물
Aide Au Jouer: Talents & Pouvoirs
1998-05
[8]
문서
Dungeons & Dragons
TSR
1974
[9]
문서
Monster Manual
TSR
1977
[10]
문서
Dungeons & Dragons Basic Set
TSR
1977
[11]
문서
Dungeons & Dragons Set 1: Basic Rules
TSR
1983
[12]
서적
Dungeons & Dragons Art & Arcana: a visual history
Ten Speed Press
2018-10
[13]
문서
Dungeons & Dragons Adventure Game
TSR
1999
[14]
문서
Monster Manual
Wizards of the Coast
2000
[15]
문서
Monster Manual
Wizards of the Coast
2008
[16]
문서
The Complete Book of Humanoids
TSR
1993
[17]
간행물
Dungeon Master's Guide
2000-11
[18]
문서
Savage Species
Wizards of the Coast
2003
[19]
서적
Dungeons & Dragons for Dummies
https://books.google[...]
Wiley Publishing
2012-03-27
[20]
논문
Some Like It Hot – Goblin-Style: 'Ozhivliazh' in Russian Film Translations
https://scholarsarch[...]
2011
[21]
논문
'Dashing and daring, courageous and caring': Neomedievalism as a Marker of Anthropomorphism in the Parent Fan Fiction Inspired by ''Disney's Adventures of the Gummi Bears''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