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나모, 오나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나모, '나모!'는 1867년 몬테네그로의 니콜라 1세가 작사한 범세르비아 국가로, 세르비아의 중세 국가 재건을 요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곡은 몬테네그로와 세르비아 간 민족주의적 갈등 속에서 여러 차례 국가로 제안되었으나, 세르비아 민족주의적 가사로 인해 최종적으로 채택되지 못했다. 이 노래는 발칸 반도에서 널리 불렸으며, "세르비아의 라 마르세예즈"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몬테네그로의 국가 - 우리의 아름다운 몬테네그로에게서
"우리의 아름다운 몬테네그로에게서"는 몬테네그로의 국가 가사로, 몬테네그로의 아름다움, 독립, 그리고 헌신을 노래한다. - 세르비아의 노래 - 우리의 아름다운 몬테네그로에게서
"우리의 아름다운 몬테네그로에게서"는 몬테네그로의 국가 가사로, 몬테네그로의 아름다움, 독립, 그리고 헌신을 노래한다. - 세르비아의 노래 - 세르비아의 국가
세르비아의 국가 "정의의 신이여"는 세르비아 왕국의 국가로 채택되어 세르비아 민족의 투쟁과 자유에 대한 염원, 슬라브 민족으로서의 연대 등을 상징하며 유고슬라비아 시기를 거쳐 2006년 세르비아의 공식 국가로 다시 확정되었다. - 몬테네그로 왕국 - 런던 조약 (1915년)
1915년 런던 조약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국이 이탈리아의 참전을 대가로 트렌티노, 남티롤, 달마티아 일부 등을 포함한 영토적 이익과 아프리카에서의 보상, 금전적 지원을 이탈리아에 약속한 비밀 조약이었으나, 이탈리아는 약속된 모든 영토를 얻지 못해 불만을 샀다. - 몬테네그로 왕국 - 우리의 아름다운 몬테네그로에게서
"우리의 아름다운 몬테네그로에게서"는 몬테네그로의 국가 가사로, 몬테네그로의 아름다움, 독립, 그리고 헌신을 노래한다.
오나모, 오나모! | |
---|---|
곡 정보 | |
제목 | Onamo 'namo! (오나모 '나모!) |
원어 제목 | Онамо, 'намо! |
원어 제목 (언어) | sr (세르비아어) |
번역 제목 | 저 너머, 저 너머! |
장르 | 애국가 |
제작 정보 | |
작사 | 니콜라스 1세 |
작곡 | 다보린 옌코 또는 프란티셰크 비머 (논쟁 중) |
기타 정보 | |
종류 | 몬테네그로와 세르비아의 애국가 |
2. 작곡 및 주제
''오나모, '나모!''의 가사는 1867년 세르비아어 문학 저널 ''다니차''(새벽별)에 처음 게재되었다.[4] 이 노래의 멜로디는 슬로베니아인 작곡가 다보린 옌코의 작품으로 추정되지만,[6] 다른 자료에 따르면 체코 출신의 몬테네그로 군목인 프란티셰크 비머가 작곡했으며, 주세페 가리발디를 칭송하는 노래를 바탕으로 했다고 한다.[3] 비머는 1889년 포드고리차에 설립된 몬테네그로 왕립 육군의 군악대 지휘자였다.[8]
''오나모, '나모!''는 14세기와 15세기에 오스만 제국에 의해 점령된 중세 세르비아 국가의 재건을 요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4]
2. 1. 니콜라 1세와 몬테네그로
니콜라 1세(Nikola I|Никола Isr)는 페트로비치-네고시 가문 출신으로, 1860년 몬테네그로 공국의 왕위에 올랐다. 몬테네그로는 수 세기 동안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실질적인 독립을 유지해 온 몇 안 되는 동남유럽 국가 중 하나였다. 니콜라 1세는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여러 전쟁을 벌여 영토를 크게 확장했다.[1] 그는 스스로를 세르비아인으로 여겼고 세르비아 민족 대의를 지지했다.[2] 또한 뛰어난 시인, 극작가, 웅변가였다.[3]2. 2. 노래의 배경과 내용
'오나모, '나모!'는 1867년 세르비아어 문학 저널 ''다니차''("새벽별")에 처음 게재되었다.[4] 이 노래는 오스만 제국으로부터의 해방과 중세 세르비아 국가의 재건을 요구하는 범세르비아 국가이다.[4]가사에는 프리즈렌, 비스키 데차니 수도원, 코소보 전투, 밀로스 오빌리치, 유그 보그단과 유고비치 형제 등 역사적 장소와 인물이 언급된다.[4] 멜로디는 슬로베니아 작곡가 다보린 옌코[6], 혹은 체코 출신 군목 프란티셰크 비머가 작곡한 것으로 추정된다.[3]
3. 역사적 의의와 영향
'''오나모, '나모!'''는 니콜라 1세가 작사한 노래로, 몬테네그로인들뿐만 아니라 발칸 반도의 세르비아인들 사이에서도 그를 뛰어난 시인으로 인정받게 했다.[11] 보그단 포포비치는 ''오나모, '나모!''를 "현대 세르비아 서정시 선집"에 수록했고, 요반 데레티치는 니콜라를 페타르 2세 페트로비치-녜고시의 문학적 후계자로 묘사했다.[3] 역사가 올가 지로예비치는 이 노래가 사람들에게 전투가로 받아들여졌으며,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는 세르비아 민족을 해방시키라는 외침이자 완수해야 할 국가적 의무로 여겨졌다고 기록했다.[10]
이 노래는 19세기 말 바사 펠라기치가 회장으로 있던 문학 단체 '크르노고르스키 보라츠'("몬테네그로 전사")의 비공식적인 국가가 되기도 했다.[12] 그러나 몬테네그로의 국가로 사용된 적은 없으며,[3] 세르비아에서도 오스만 제국을 자극할 것을 우려하여 공식 국가로 채택하지 않았다.[4] 몬테네그로는 1870년에 ''우바보이 남 크르노이 고리''를, 세르비아는 1882년에 ''보제 프라브데''를 국가로 선택했다.[3][4]
제1차 발칸 전쟁 이전에 니콜라는 ''오나모, '나모!''에서 언급된 프리즈렌을 몬테네그로에 합병하고자 했다.[15]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몬테네그로와 세르비아는 중앙 강대국에 맞서 함께 싸웠고, 이후 몬테네그로는 세르비아에 합병되어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에 편입되었다.[1]
3. 1. 세르비아 민족주의와 노래
'오나모, '나모!'는 발칸반도의 세르비아인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었으며, 절정에 달했을 때는 "세르비아의 라 마르세예즈"라고 불렸다.[9] 이 노래는 오스만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에서 금지되기도 했다.[4] 20세기 초,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세르비아인들 사이에서 '오바모, '바모!'("여기, 저기로!")라는 변형이 인기를 얻었는데, 이 노래는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가 보스니아와 헤르체고비나를 오스만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지배로부터 해방시키라고 외쳤다.[13]3. 2. 몬테네그로 국가 제안과 논란
1992년, 2003년, 2006년에 '오나모, '나모!'는 몬테네그로의 국가로 제안되었으나, 세르비아 민족주의적인 가사 내용 때문에 채택되지 않았다.[16][17][4] 몬테네그로의 친독립 정치인들은 이 노래가 몬테네그로나 몬테네그로인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고, "세르비아 땅"과 코소보 전투를 언급하는 등 몬테네그로의 정체성을 반영하지 못한다고 비판했다.[4][18]2006년 2006년 몬테네그로 독립 국민투표 이후 몬테네그로가 독립하면서, 이 노래는 주로 세르비아인으로 구성된 야당에 의해 새롭게 독립한 국가의 국가로 제안되었으나, 친독립 성향의 사회주의 민주당은 이러한 이유로 부적합하다고 판단했다.[4]
알렉산다르 파브코비치와 크리스토퍼 켈렌은 "몬테네그로 정부는 몬테네그로인, 즉 노래하는 사람들이 세르비아인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암묵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정당화할 노래를 찾고 있었다."라고 설명했다.[4]
최종적으로는 세쿨라 드르예비치가 가사를 개사한 '오이, 스비예틀라 마이스카 조로'가 국가로 선정되었는데, 많은 몬테네그로 세르비아인들은 이 노래의 "파시즘적 함축"을 슬퍼했다고 케네스 모리슨은 말했다.[18]
4. 가사
이 노래는 1860년대 니콜라 1세가 작사한 세르비아의 애국적인 노래이다.
영어 |
---|
4. 1. 원문 가사 (세르비아어 키릴 문자, 라틴 문자)
세르비아어 키릴 문자 | 세르비아어 라틴 문자 |
---|---|
4. 2. 한국어 번역 가사
세르비아 키릴 문자 | 세르비아 라틴 문자 | 한국어 번역 |
---|---|---|
오나모, '나모... 자 브르다 오나, | 'Onamo, namo... za brda ona,'' | 저기, 저 너머... 저 언덕 너머에, |
참조
[1]
서적
Nationalism, Identity and Statehood in Post-Yugoslav Montenegro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
서적
Serbia: The History Behind the Name
https://books.google[...]
Hurst & Company
[3]
서적
Knjiga o himni: Jugoslovenski narodi u himni i himna među narodima
Nova knjiga
[4]
서적
Anthems and the Making of Nation States: Identity and Nationalism in the Balkans
https://books.google[...]
I.B.Tauris
[5]
뉴스
Istorijat crnogorske himne
https://www.politika[...]
2023-05-06
[6]
서적
Die Nationalhymnen der europäischen Völker
M. & H. Marcus
[7]
서적
Czech Relations with the Nations and Countries of Southeastern Europe
https://www.academia[...]
Srednja Europa
[8]
서적
Die Musik in Geschichte und Gegenwart: Allgemeine Enzyklopädie der Musik
Bärenreiter
[9]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Balkan and Southeast European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10]
서적
The Road to War in Serbia: Trauma and Catharsis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11]
서적
Russia and the Balkan Alliance of 1912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2]
서적
Balkan Anschluss: The Annexation of Montenegro and the Creation of the Common South Slavic State
https://books.google[...]
Purdue University Press
[1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ontenegro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14]
문서
Pavlovic 2008, p. 46
[15]
서적
The Balkan Wars 1912–1913: Prelude to the First World War
https://books.google[...]
Routledge
[16]
뉴스
Postojani "Hej Sloveni"
https://www.novosti.[...]
2023-05-06
[17]
뉴스
Državne simbole odrediće stručnjaci?
http://arhiva.glas-j[...]
2023-05-06
[18]
문서
Morrison 2018, p. 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