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리 이원익 영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오리 이원익 선생에 대해 질문하신 것이 맞다면, 다음과 같이 답해 드릴 수 있습니다.

오리 이원익(梧里 李元翼, 1547년 12월 15일 ~ 1634년 2월 26일) 선생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정치가입니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공려(功勵), 호는 오리(梧里)입니다. 태종의 서자 익녕군(益寧君)의 4대손으로, 왕족의 후손입니다.
주요 업적:


  • 관직: 1569년(선조 2년)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으며, 호조판서, 이조판서, 영의정 등 주요 요직을 두루 거쳤습니다. 특히 영의정을 여섯 번이나 역임했습니다.
  • 임진왜란: 임진왜란 당시 선조를 의주까지 호종하였으며, 전쟁 극복에 큰 공을 세워 충근정량효절협책호성공신 2등(忠勤貞亮効節協策扈聖功臣二等)에 녹훈되고, 완평부원군(完平府院君)에 봉해졌습니다.
  • 대동법: 인조반정 이후 영의정에 임명되어 서인, 남인 연립정권을 구성하였고, 백성들의 조세 부담을 덜어주는 대동법 시행을 적극적으로 지원했습니다.
  • 청백리: 근검절약하고 청렴한 관리의 표상으로,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되었습니다.

오리 이원익 영우(梧里 李元翼 影宇):

  • 정의: 오리 이원익 선생의 영정을 모신 사당입니다.
  • 위치: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충현서원(忠賢書院) 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 문화재 지정: 1996년 12월 24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61호로 지정되었습니다.
  • 건축: 정면 1칸, 측면 2칸의 익공(翼工)식 맞배지붕 건물로, 조선시대 후기 사당의 전형적인 형식을 보여줍니다. 사당 내부에는 감실(龕室)을 따로 두고 영정을 모셨습니다.
  • 건립 시기: 이원익 선생의 4대손인 이존도(李存道)가 1694년(숙종 20년)에 관감당(觀感堂)을 중건하면서 함께 건립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현판에는 이관징(李觀徵)이 쓴 '오리영우(梧里影宇)'라는 글자와 함께 건립 배경이 적혀 있습니다.

참고:

  • 오리 이원익 선생은 키가 작아 '키 작은 재상'이라는 별명으로도 불렸습니다.
  • 학문적으로는 이황의 학맥을 계승하여 남인 학통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 광해군 때 인목대비 폐모론에 반대하였고, 인조반정 이후에도 광해군을 죽여야 한다는 주장에 반대하며 만류하였습니다.


오리 이원익 영우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오리 이원익 영우 사진
오리 이원익 영우
유형경기도의 유형문화재
지정 번호161
지정일1996년 12월 24일
주소경기도 광명시 오리로347번길 5-6 (소하동)
시대조선 시대
참고 자료광명 충현서원
문화재청 ID21,0161000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