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소리아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소리아과는 유라시아 대륙, 인도네시아, 일본에 분포하는 동물 과이다. 몸집이 뚱뚱하고, 얼굴이 길며, 짧은 다리와 날카로운 발톱을 가지고 있으며, 시력은 약하고 후각과 청각이 발달했다. 돼지코오소리속과 오소리속 2개 속으로 분류되며, 과거에는 여러 속을 포함하는 별도의 과로 분류되었으나, 2005년 이후 족제비아과에 포함되었다. 오소리의 모피는 의류로 사용되고, 털은 붓이나 솔로 사용되며, 고기는 식용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소리아과 - 오소리속
오소리속은 족제비과에 속하는 몸길이 52~90cm, 몸무게 10~16kg 정도의 잡식성 포유류로, 유라시아 대륙과 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숲에 굴을 파고 생활하고 유럽오소리, 아시아오소리, 일본오소리, 코카서스오소리 등이 속해 있고 과거 털이 붓이나 카펫 원료, 식용으로 이용되었으나 서식지 파괴와 부정적 관계로 보호 필요성이 제기된다. - 오소리아과 - 일본오소리
일본오소리는 혼슈, 시코쿠, 규슈 등 일본 지역에 서식하며 유럽오소리보다 작고 아시아오소리와 비슷하거나 약간 크며, 다양한 삼림 서식지에서 잡식성으로 생활하지만 서식지 축소 등으로 위협받고 무지나라는 요괴로도 알려져 있다.
오소리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 |
목 | 식육목 |
과 | 족제비과 |
아과 | 오소리아과 |
학명 | Melinae Bonaparte, 1838 |
속 | 돼지코오소리속 (Arctonyx) 오소리속 (Meles) |
2. 분포
유라시아, 인도네시아, 일본에 분포한다.
몸집이 뚱뚱하고, 얼굴이 길쭉하며, 사지는 짧고 앞발에는 날카로운 갈고리 발톱을 가지고 있다. 시력은 약하고, 후각과 청각이 발달했다.
몸집이 뚱뚱하고, 얼굴이 길쭉하며, 사지는 짧고 앞발에는 날카로운 갈고리 발톱을 가지고 있다. 시력은 약하고, 후각과 청각이 발달했다.
오소리아과는 족제비과에 속하는 포유류 분류군이다. 2008년 연구에 따르면, 오소리속과 돼지코오소리속은 단일 계통군을 형성하며, 이들은 아메리카오소리속, 꿀오소리속 다음으로 분기된 계통으로 추정된다.[4] 과거에는 오소리속, 아메리카오소리속, 족제비오소리속, 스컹크오소리속(스컹크과로 분할), 돼지코오소리속을 포함하는 아과로 여겨졌으나, 2005년 MSW3에서는 족제비아과에 포함되어 인정되지 않았다.[5]
3. 형태
4. 생태
앞발의 튼튼한 갈고리 발톱을 사용하여 땅속에 깊은 굴을 판다. 족제비과에는 단독 생활을 하는 종이 많지만, 오소리는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 잡식성이며, 쥐, 조류의 알, 곤충, 과실 등을 먹는다.
5. 분류
5. 1. 하위 분류
wiki5. 2. 계통 분류
2018년 로(Law영어) 등의 연구[10]와 2008년 Koepfli 등의 핵 DNA와 미토콘드리아 DNA의 베이즈 방법을 이용한 계통 추정[4]에 기초한 족제비과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
과거에는 오소리속, 아메리카오소리속, 족제비오소리속, 스컹크오소리속(스컹크과로 분할), 돼지코오소리속을 포함하는 아과로 여겨졌으나[2][3], 2005년 MSW3에서는 족제비아과에 포함되어 인정되지 않았다.[5] 2008년 연구에서는 오소리속과 돼지코오소리속이 단일 계통군을 형성하며, 이 계통군은 아메리카오소리속, 꿀오소리속 다음으로 분기된 계통으로 추정되었다.[4] 이 연구에서는 오소리아과를 오소리속과 돼지코오소리속만으로 구성하는 것을 제안했다.[4]
Sato (2016)[1], Wozencraft (2005)[5], Helgen ''et al.'' (2008)[7]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다.
속 | 종 | 한국어 명칭 및 영어 명칭 |
---|---|---|
돼지코오소리속 Arctonyx | Arctonyx albogularis | Northern hog badger |
Arctonyx collaris | Greater hog badger | |
Arctonyx hoevenii | Sumatran hog badger | |
오소리속 Meles | Meles anakuma | 일본오소리 Japanese badger |
Meles canescens | (유럽오소리에서 분할[8]) | |
Meles leucurus | 아시아오소리 Asian badger | |
Meles meles | 유럽오소리 European badger |
6. 인간과의 관계
일본에는 오소리가 서식하지만, 옛날부터 너구리 등과 혼동되어 호칭도 너구리, 오소리, 미(마미) 등이 뒤섞여 혼란스러웠다.
오소리의 모피는 의류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그 털은 붓이나 솔로 사용된다. 고기는 매우 맛있다고 하며, 된장으로 조린 냄비 요리는 "오소리 찌개", "너구리 찌개" 등의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참조
[1]
서적
Badgers: systematics, biology, conservation and research techniques
Alpha Wildlife Publications
[2]
서적
アナグマ
平凡社
[3]
서적
イタチ科の分類
東京動物園協会
[4]
논문
Multigene phylogeny of the Mustelidae: Resolving relationships, tempo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a mammalian adaptive radiation
https://doi.org/10.1[...]
[5]
간행물
Mustelinae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6]
논문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https://doi.org/10.1[...]
[7]
논문
“The hog-badger is not an edentate: systematics andevolution of the genus Arctonyx (Mammalia: Mustelidae)”
https://doi.org/10.1[...]
[8]
논문
The taxonomic status of badgers (Mammalia, Mustelidae) from Southwest Asia based on cranial morphometrics, with the redescription of Meles canescens
https://doi.org/10.1[...]
[9]
저널
Multigene phylogeny of the Mustelidae: Resolving relationships, tempo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a mammalian adaptive radiation
http://www.biomedcen[...]
2008-02
[10]
저널
Lineage Diversity and Size Disparity in Musteloidea: Testing Patterns of Adaptive Radiation Using Molecular and Fossil-Based Methods
2018-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